에서 나타나는 애절하고 순수한 주인공 커플의 사랑이 아니다. 이 연극의 등장인물들은 각자가 자기의 사랑을 한다. 나름대로의 사랑은 사랑의 방법도 형태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뜨레쁠레프 ... 사랑. 이렇게 여섯가지의 사랑이 나타난다. 정말 신기하게도 서로에 대해 같은 감정을 가지는 경우는 없다. 물론 극의 초반에 꼬스차와 니나가 또 극의 중반에 니나와 뜨레고린이 서로 ... 배우를 꿈꾸는 니나 앞에 나타난 소설가 뜨레고린을 보고는 니나의 마음이 변한다. 니나는 그를 동경하면서 사랑에 빠지게 된다. 또 뜨레고린도 니나의 순수한 사랑에 감동받는다. 뜨레고린
와서 니나 밭밑에 총에 맞은 갈매기를 던진다. (지금 나는 이와같이 자살하게 될거요) 이렇게 외치는 뜨레쁠레프, 니나는 뜨레쁘레프의 속마음을 알 수 없어 당황하고 있다. 이 때 뜨리 ... 고 다닌다고 주장하면서도 메드베젠꼬의 구혼에는 조금도 관심을 두지 않는다.쏘린과 그의 조카인 뜨레쁠레프가 나온다. 뜨레쁠레프는 극작가 지망의 청년으로 오늘밤 이 가설무대에서 공연되는 연극 ... 의 작가이다. 뜨레쁠레프는 유명한 여배우인 어머니 아르까지나에게는 상당히 비판적이고, 외삼촌을 상대로 새로운 연극의 형식에 대하여 열렬히 역설한다. 그가 신경을 쓰고 있는 것
다. 이 공연에서 메이예르홀드는 개인적으로 아픔이 있는 작품이었다. 그 이유는 주인공 표도르 역에 낙점하였다. 하지만 메이예르홀드는 곧 체홉작품의 『갈매기』에서 주인공 뜨레쁠레프 역 ... 을 맡으며 자신감과 열정을 되찾는다. 이후『갈매기』공연과 메이예르홀드의 뜨레쁠레프 역은 모두 대 성공적이었다.메이예르홀드는 모스크바 예술극장에서 1898년~1902년까지 4년, 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