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9) 권선지로가(勸善指路歌, 별칭, 권의지로사) : 명종, 조식. 세속을 근심하고, 후학에게 도덕을 가르치는 노래10) 수월정가 : 명종, 송인. 내용은 부전(不傳)11) 남정가 ... 에서 구어체가 중시되어 언문일치를 실현해야 함에 이르렀다. 갈래 체계에도 변화가 일어나 교술시와 서정시의 공존이 청산되고, 문학은 서정시·소설·희곡으로만 이루어지게 되었다. 가사 ... 네의 가 있는데, 4구체와 10구체로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생긴 과도기적 형식으로 이해할 수 있다.현존 작품의 작가 중 승려가 가장 많고 그 다음이 화랑으로 귀족층이 대부분이
지」에는 권선지로가는 조남명이 지은 것으로 성리(性理)의 본말(本末)을 형용하고 도학의 지름길을 지시한 것이니 실은 유학의 지남(指南)이라 적혀있는데 이것은 권선지로가가 이황 ... 졌다. 이러한 범주에 드는 가사로 명종 10년 을묘왜변이 일어나자 양사준이 우도방어사였던 김경석의 막하에 들어가 남정군과 더불어 전남 영암에서 왜구를 토벌하고 지은 남정가 가 있 ... 려 창해수 부어내여저먹고 날머겨다 서너잔 거후로니화풍이 습습힝야 양액을 추혀내니구만리 장공애 져기면 다리로다 기봉의 관서별곡 (가)와 (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선경 속에서 황홀
으로 남긴 《학기류편(學記類編)》이 있고, 작품으로는 《남명가》,《권선지로가(勸善指路歌)》등이 있다.3. 남명학파의 성격과 영향남명학파의 성격은 무엇보다도 남명 조식(이하 남명 ... 때《성리대전(性理大全)》에 있는 허형(許衡, 1209~1281)의 글을 읽고 자신의 갈 길이 세속적인 입신출세에 있지 않고 다른 데에 있음을 크게 자각하게 되고 이때부터 성리학 ... 는 孔子의 말로써 일상생활의 쉽고 가까운 것부터 차례대로 배워 올라가야 한다는 학문의 방법을 말한다.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이러한 방법을 통해 남명은 경의사상(敬義思想
되어 남명학은 그 후 제대로 계승되지 못하였다. 저서에 문집 《남명집》과 그가 독서 중 차기 형식으로 남긴 《학기유편》이 있고, 작품으로 《남명가》 《권선지로가》 등이 있다.☆산천재 ... 천재에 들어가는 입구에 작은 비석이 하나있는데 여기에도 남명 선생의 시 한수가 적혀있다.덕산 시냇가 정자 기둥에 쓴다.천섬 들어가는 큰 종을 보소서!크게 치지 않으면 소리 없 ... 다오어떻게 해야만 두류산처럼하늘이 울어도 울지 않을까?이 시는 남명선생께서 예순 한 살때 지리산 덕산으로 옮겨와 산천재를 짓고 시냇가 정자에 써붙인 시로써 남명선생의 정신세계가 잘 나타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