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 문학교육 발표문Ⅰ. 작품에 대한 이해 및 설명< 국순전(麴醇傳) - 임 춘(林 椿) >국순(麴醇)의 자(字)는 자후(子厚)이다. 그 조상은 농서(朧西) 사람이다. 90 ... 적감상 : 술을 의인화하여 술에 탐닉하다가 패망함을 풍자한 가전 문학의 효시이다. 고려 고종 때 임춘이 지은 작품으로, 가전 문학이 모두 그렇듯이 이 작품도 교훈성이 강하고 세상 ... 을 말한다.(안병설의 가전에 대한 정의)3. 가전의 형식국순전을 포함한 고려후기 가전 작품들은 당?송의 가전과 마찬가지로, 거북을 의인화한「청강사자현부전」을 제외하면 모두 무정지물
다. 박인량의 '수이전', 이규보의 '백운소설', 최자의 '보한집', 이인로의 '파한집' 등이 있다.② 가전체사물의 의인화하여 전기 형식으로 쓴 우의적 문학이다. 교훈과 현실 ... 의 풍자를 목적으로 하며, 허구성을 갖춘 소설에 근접한 국문학 장르로 설화와 소설의 교량적 구실을 담당했다. 임춘의 '국순전'과 '공방전', 이규보의 '국선생전', 이곡의 '죽부인전 ... 다.3) 작품감상① 沙里花)黃雀何方來去飛一年農事不曾知鰥翁獨自耕耘了耗盡田中禾黍爲고려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요로서 본래의 가사는 전하지 않고, 다만 이제현의 소악부와 악지에 노래
들이다. 중?고등학교 시절에 배운 바로는, ‘기행문’은 여행을 하면서 겪는 체험?견문?감상 등을 바탕으로 한 문학이라고 하였는데, 감상문을 적기 전에 갑자기 ‘원래 기행문이 수필 ... 라는 말이었다. 꿈보다 해몽이 더 좋다고 했던가?「공방전」이나 「국순전」과 같은 글을 살펴볼 때에도 느낀 것이지만, 평소 시와 술을 즐길 줄 알았던 인물답게 재미있는 사람 같 ... 수려한 경치에 대한 탄복-임춘의「동행기」와 이곡의「동유기」를 읽고-“아, 떠나고 싶다.”임춘의「동행기」와 이곡의「동유기」두 작품들을 읽고, 금강산 사진들까지 실컷 감상 한 뒤
동문선이해와 감상국선생전 은 술(누룩)을 의인화하여 교훈을 목적으로 한 가전체 문학이다. 비록 국순전 의 영향을 받았다고는 하지만, 술을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이나, 위국 충절 ... 들에 대한 풍자출전 서하선생집(西河先生集)감상이 작품은 최초의 가전으로 술을 의인화하였고, 이규보의 가전 국선생전 에 영향을 주었다.국순전은 교훈성이 강하고 계세징인을 목적으로 하 ... 의 주제를 내세웠다는 점에서 다르게 평가한다. 또한 인물의 행동 양식 면에서도 국순전 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 준다. 즉 국선생 은 비록 미천한 몸이지만 성실히 행동해서 관직에 등용
에 자연고려말기 사회의 성윤리의 타락성을 상징과 풍자로서 비판2. 국순전: 임춘 작품, 가전체 문학, 술을 의인화, 현존하는 가전체 문학의 효시※ 가 전: 열전이나 본기의 형태를 빌 ... -배비장 봉욕담방자(뛰어난 중개자의 역할)는 배비장을 개, 거문고, 업궤신으로 비속화시키고 있다.근원설화- 발치설화 미궤설화7) 춘향전-고전소설중 최고의 걸작, 유동의 문학이며, 적층 ... 어서 인간 주위의 동물이나 식물, 사물, 혹은 심성을 소재 로 하여 쓴 의인 전기체로서 교훈성, 풍자성, 오락성등의 성격을 강조하는 우의적인 문학작품 이다.3. 한림별곡: 악장가사
의 견문이나 감상 등의 내용을 담은 기행문(紀行文), 우언적인 이야기를 담은 우화(寓話), 기이한 이야기를 담은 전기(傳奇), 의인체 기법을 사용한 각종 의인체 산문(擬人體 散文 ... )과 각종 시화(詩話), 패설(稗說) 등이 있다. 또한 많은 고문(古文) 작품들이 문학류 산문으로 전하고 있다.기행문으로는 혜초의 {왕오천축국전(往五天竺國傳)} 등과 각종 산수유기 ... ), 성현의 용재총화( 齋叢話), 어숙권의 {패관잡기(稗官雜記)} 등이 그것이다.의인체 산문으로는 가전(假傳)의 형태로 전하며, 임춘의 [국순전(麴醇傳)], 이규보의 [국선생전(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