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심리학과 교수), 풀리지 않을 미스터리로 남아 있는 인간의 이타적 속성과 진화 과정을 규명(최정규,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교수)하였으며,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잡 ... 에 알법이 국내의 한 의학자에 의해 발견된 것이다. 그 주인공은 서울대 약대 오정미 교수. 오정미 교수는 “기질 특이성의 변화를 유발하는 MDR1 유전자의 침묵변이”라는 제목의 논문
의 강의도 실시하고 있음. 자매 학교간에 학점 상호인정제도를 도입. 대구·경북지역에서는 국립대학인 경북대학교를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타대학에 앞선 평가를 받고 있음. 복수전공 ... 을 선호. 대학의 심장이라 할 수 있는 도서관의 시설이 타대학에 비하면 초라할 정도로 낙후 되어 있음. 공대, 상대, 법대, 약대, 사범대 등의 일부 학과를 제외한 임문대, 이과대
는 없다.하지만 편입생들 사이에서는 지방대학 중 유일하게 미달되어도 자격이 되지 않으면 뽑지 않는 학교는 부산대와 경북대 정도로 보고 있다.(표5참조)전남대, 전북대, 충남대 ... , 충북대 등 위 두 학교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인원정족수를 왠만한 경우는 모두 채우고 있다.(사범대 및 의. 치. 약대 제외)부산대 2009년 상과대학 합격자 현황2009학년도 편입학
소비조합▣수련원▣학군단▣(특)전남대병원▣(사)전남대출판부▣(특)산업협력단▣(재)발전기금재단▣전남대소비조합▣전남대신용협동조합▣간호대학▣경영대학▣공과대학▣법과대학▣사범대학▣약학대학▣예술 ... 국립대인 경북대와 부산대가 지방대학의 어려움을 뚫고 눈에 띄게 보이고 있는 약진이다. 특히, 경북대는 주요 부문들 에서 상위 20위권 내 대학에 랭크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 ... 에서 전남대가 선택받을 확률이 점점 낮아지는 건 자명한 사실이다. 특히, 앞의 자료에서 전남대와 비슷한 환경에 처해 있는 지방 국립대 중 경북대와 부산대가 있었는데 부산대의 한의학전문
지는 않는다. 학부모의 경우에도 막대한 사교육비를 써가면서 서울로 보내지는 않을 것이다.우리 사회에서 '지역할당제' 문제가 처음 제기된 것은 경북대 박찬석 前 총장으로부터 비롯 ... 받침되고 있기 때문이다.현재 우리나라의 의과대학과 사범대학은 실질적으로 인재의 지역할당제를 하고 있는 셈이다. 지방 의대·치대·약대를 졸업해도 의사·치과의사·약사가 되므로 굳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