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로 나선 것을 제외하고 방이지(方以智)와 왕부지(王夫之) 등은 기화유행의 본체론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이는 기에 내재한 조리, 즉 과학적 법칙으로서만 인정하여 주희의 기에 대한 ... 를 닦는 것을 교육이라 한다(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고 한 것은 이를 나타낸 말이다.대학 은 중용 에서 완성된 도덕형이상학을 실천할 수 있는 유가적 방법론을 서술 ... 하였다. 자신의 가슴에 빛나는 도덕성을 밝혀내고[明明德], 인간을 새롭게 해주며[親民], 지극히 성실한 우주의 운행질서를 돕는 데서 그친다는[止於至善] 3강령과, 격물로 시작하여 평천하
는 하나이고 석씨는 둘이며 우리 유가는 連續이고 석씨는 間斷인 것이다.) 鄭道傳, 『三峰集』 권5, 「佛氏雜辨」 儒釋同異之辨.여기서 볼 수 있듯이 정도전은 유교(성리학)와 불교 ... 되는 方外人의 삶을 영위한 매월당의 이러한 성리학에 대해서는 조선중기 퇴계와 율곡의 엇갈린 평가부터 시작해서 다양한 평가가 내려지고 잇다. 매월당의 다른 면은 일단 치지도외하고 그 ... , 『韓國思想史』(以文出版社, 1981) p.223.유숭조는 『大學』의 明明德條를 해석하면서,情은 性에서 動하니 純善無雜한 것이요, 義는 心에서 發하니 義는 善과 惡이 나뉘는 기틀인 것이
는 군자와 進德, 修業1) 成德之人인 군자역에서 나오는 군자의 개념은 인격의 개념이다. 특히 주목할 것은 역의 대표적인 괘로서 역의 문이라 일컬어지는 건곤 두 괘의 은 모두 도덕 수양 ... , 聽命은 본질적으로 행위를 전제한 것이기 때문이다.그리고 논어와 중용의 不器時中의 군자관은 주역의 趣時의 군자론, ‘无方无體’의 神易 군자론으로 연결된다. ‘역’은 본질적으로 變易이 ... 을 내건느 《대학》은 대인을 양성하기 위한 교학 체계를 제시한다. ‘明德’과 ‘新民;을 통해 ’止於至善‘의 세계를 구현하는 것이 《대학》의 목표요 대인의 과제이다.대인에 대해 《주역
등의 高位軍職을 세습하는 동시에 대를 이어 고위직을 역임하고 여러 宰相之宗 및 權門, 世族 가문들과 혼인 관계를 맺으면서 지배 세력의 일원으로 등장하였다.反元 改革을 주도했던 恭愍 ... 왕의 외가이자 宰相之宗에 속했던 경주 김씨 가문 金信의 딸과 혼인하여 두 아들과 세 딸을 두었다. 장남은 元忠이고, 차남은 원관보다 먼저 사망했다. 그리고 세 딸은 각각 春川人 朴 ... 元忠(1290~1337)은 洪奎(1242~1316)의 넷째 딸과 혼인하여 세 아들과 다섯 딸을 두었다. 宰相之宗에 속하면서 여러 王妃와 首相을 배출한 남양 홍씨 가문과의 통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