되는 증인 이숭녕(李崇寧)은 우리 나라의 국한문 옥편은 이지음에서 약 200여년의 옛적에 저자 미상의 "전운옥편"(全韻玉篇)을 비롯하여 융희(隆熙) 3년 5월에 간행된 지석영(池錫永 ... , 나, 다 표시의 간행물(刊行物)인 국한최신홍자옥편(國漢最新弘字玉篇)의 출판 및 발매를 금지한다. 소송비용은 피고의 부담으로 한다는 판결을, 피고 소송대리인은 주문과 같은 판결 ... 을 각각.$ 이유당사자들의 주장을 볼 것 같으면 원고는 "국한명문신옥편"(國漢明文新玉篇)을 간행하고 있고, 피고는 원고 주장과 같은 "국한최신홍자옥편"(國漢最新弘字玉篇)을 간행하고 있
전운옥편[全韻玉篇]≪전운옥편≫은 근세에 들어와 한국에서 가장 권위있는 옥편의 하나로 널리 쓰여왔다.상하 2권 1책으로 합본된 것도 있고, 또 2권 2책으로 된 것도 있다.저자사항 ... (海東農書)≫·≪전운옥편 (全韻玉篇)≫ 등 정치·경제·사회·문화·천문·지리에 걸쳐 다양한 문헌이 편찬되었다.일반 학계에서도 실사구시(實事求是)의 학풍이 일어나고 있었다. 영조조 ... 규장전운음(奎章全韻音), 속음(俗音), 화동정음음(華東正音音) 등 세 종류를 구별하여 표기하여 규범음 중심이었던 ≪규장전운≫의 불편을 보완하고 있다.규장각 소장본중에는「묘신간 춘방
으로會玉篇』(2권),『小學便蒙』(4권) 편찬하여 임금께 바쳤으며 한이문의 교육을 위한 『吏文緝覽』을 저작하였다. 『韻會玉篇』,『小學便蒙』은 모두 한자 학습과 관련이 있는 것 ... 으로 최세진이 이를 진상하면서“우리나라에서는 『운회』는 있으나 『옥편』이 없기 때문에 상고하여 보기 어려우므로 신이 글자의 유(類)를 모아 『韻會玉篇』을 만들어 바칩니다. 만약 간행 ... 1冊으로 되어 있으며 초간본은 조선 世祖元年(1455)에 강희안의 글을 字本으로 하였다. 표지에는‘訓蒙字會 全’이라는 書題가 있고 訓蒙字會引이 2엽, 범례와 언문자모 5엽, 訓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