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들을 이론화하고 종합하여 기술하는 연구 분야를 가리킨다.어휘 연구와 어휘론은 그 성격이 다르다. 어휘론은 어휘 연구들 을 대상으로 다시 종합 정리하고 체계를 모색하는 것 ... 다. 이런 개념을 도입할 경우 언어학 내의 어휘론의 위상 정립이 가능하고, 부문별 어휘 기술에 대한 혼란상이 정연하게 정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혼란 상의 예로 은어·속어 ... 전문어의 특성과 유형 고찰과 정 : 국어의미론 연구지도교수 : 이찬규 교수님발 표 조 : 강우규·정우선·김현자 (5조)발 표 자 : 정우선 (2차){< 차 례 >Ⅰ. 머 리 말Ⅱ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이것은 좁게는 언어학 안에서도 비슷하다. 언어 단위의 기준을 두고 보아도 음운론 (音韻論), 형태론(形態論), 통사론(統辭論) 등으로 그 관심 분야가 갈릴 ... 이나 직함 계열의 호칭으로 나누어 본다.대명사 호칭한국어 대명사의 경어법은 대개 다음 표와 같이 정리될 수 있다.청자 신분경어 등급대명사上位가장 높임어르신(귀하, 각하, 귀댁)同位 ... 는 그것대로 복잡하게 세분화되어 있다. 영어 uncle 하나를 우리는 등으로 나누어 이해해야 한다.대체로 한국어에서는 서열의 앞이냐 뒤냐가 이름을 호칭으로 쓸 수 있는지 없
으로 추대되어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주시경은 현대에까지 국어 문법의 연구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는 '국어 문법'(일제 시기에 '조선어 문법'으로 고쳐 간행됨), 음운론 분야 ... 다. 후에 배재 학당에 들어가 영어를 익혔으며, 만국 지리를 공부하였다. 그리고 국어를 연구하는 중에도 항해술과 측량술을 학습했으며, 역사학, 물리학, 수학 등에도 손댈 정도로 배우 ... 고 '국문 동식회'를 조직해 맞춤법의 정리에 손을 대었고, 문법 연구와 사전 편찬의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열 여덟 살부터 '국어 문법'이란 책을 짓기 시작해 스물 세 살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