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으로 보이며, 대부분의 미륵반가사유상(彌勒半跏思惟像)이 구리 또는 돌로 만들어졌다. 이 반가사유상을 포함하여 7세기 전반(前半)의 삼국 불상은 종래의 북위 전통에서 벗어나 북제(北齊 ... 암은 화강암재(花崗岩材)를 쌓아올려서 만든 원형석굴(圓形石窟)로, 중앙에는 석가 좌상이 있고 주위의 벽면에는 나한(羅漢) ·보살(菩薩) 등의 부조상(浮彫像)이 배치되어 종교적인 ... )와 석가 대신 약사(藥師) ·대일여래(大日如來)가 주류를 이루었다. 신라 공예 중 가장 뛰어난 것은 범종(梵鐘)이다.넷째, 그렇다면 고려시대 미술은 어떠한가?10세기부터 14세기
경복궁 안에 있다. 불상(佛像)으로는 부석사 무량수전 안에 있는 소조여래상(塑造如來像)은 목조좌상(木造坐像)인 아미타여 래상으로 신라 불상 형식을 계승한 고려시대 제일의 걸작이 ... 다. 이 밖에도 967년에 세운 은진미륵(恩津彌 勒), 충주(忠州)의 철불좌상(鐵佛坐像)이 있다. 이 철불은 양 팔이 없어졌으나 아담하고 균형이 잘 잡혀 있다. 범종(梵鐘)으로는 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