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일화기록.보고서.기타의 업적 분석4 평가의 실시 및 결과처리교육 목적에 표시된 행동의 증거를 실지로 수집수량적으로 처리하는 통계적인 조작 활동이 뒤따라야 할 것이며 양 ... 를 하기 위해서는 교육 목표를 알아야 더욱 더 쉽게 평가가 가능2 교육 목표 : 교수 활동중 학교의 교실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구안된 활동인 수업을 통하여 교실 수업에 적용할 수 있 ... 으며, 행동 그 자체의 성취정도를 확인 불가능3. 교육 평가의 절차1 평가 목적의 설정먼저 무엇을 평가할 것인가의 문제로써, 이것이 교육 목적이므로 교육목적을 분석하고 그 개념
가 1996.2.9(제3차 대통령보고서) 수준별 교육과정의 유형과 수업 운영의 형태를 예시하면서, 1996년부터 여건이 허락하는 학교는 교과 수준별 분단 또는 학급 편성을 통해 수업을 실시 ... . ∼ 7.). 교원 연수; 전국 기본 연수, 시·도별 연수, 학교자체 연수 (1998∼2002). 교과용 도서(교과서, 지도서) 개발 (1998. 3. ∼ 2001. 12.). 실험 ... 을 편성, 운영한다.3 교육과정의 평가와 질 관리.가. 이 교육과정의 질 관리를 위하여 국가 수준에서는 주기적으로 학생 학력 평가, 학교와 교육 기관 평가, 교육과정 편성·운영
방법의 개선 , 학교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장학의 방향, 장학제도에 관한 세 미나 보고서 (대한교육연합회, 1985), pp. 29-54.인천 남부초등학교, 자체평가를 통한 학교 ... 는 연구과제나 도움이 필요한 사항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업활동에 대한 자기평가를 실시해 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수업활동 자기평가의 영역을 제시하여 본다.{) 인천광역시 교육과학연구원 ... 에서 개발한 수업활동 자기평가 영역으로서 교사가 도움이 필요 한 사항 또는 연구과제를 확인·선정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시된 평가의 영역 은 학교급별, 지역별, 과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