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 목신의 오후 를 음악이나 발레 혹은 그래픽화 등으로 전환시킬 수 있음을 지적한다.일리아드 나 오딧세이 를 희화화시킨다는 생각은 엉뚱하게 들리겠지만, 이 경우에도 말의 평태는 사라지 ... 더라도 그 줄거리의 어떤 구조적 특징은 그대로 남아 있을 것이다.언어는 그 모든 다양한 기능에 관해서 연구되어야 한다. 시적 기능에 관한 논의에 앞서 언어의 제기능 가운데에서 그것
는 한 사람이 창작한 것도 아 닌데다가, 계속 시대를 거듭해 내려오며 첨가, 증보되어 그 분량과 내용이 상 당히 많은 편이다. 또, 그것이 어느 한 주인공이 한 줄거리를 가지 ... 고 이야기 를 풀어 나가는 식도 아닌, 수많은 각기 다른 신들의 에피소드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보고서에서 그 내용과 줄거리를 설명하는 것은 일단 불가능하다고 생각하는 데 ... 다가, 또한 쓸 데없는 일이라고 생각되어서 줄거리를 굳이 설명하지는 않으려 한다. 대신에, 본 보고서에서 는, 신화의 의의, 당시 그리스의 상황과 문화, 그리스 신화의 탄생 배경, 왜
는 고대의 무명시인이 《일리아스》를 흉내 낸 서사시 《개구리와 쥐의 전쟁》에까지 간다. 패러디란 말은 16세기 후반 그리스계 라틴어 'paroidia'에서 왔는데, secondary ... 이 무거워진다면 우리는 그것을 패러디라 하지 않고 딱딱한 사회적 비평이라 할 것이다. 즉, 패러디의 희극적 요소는 한 마디로 경쾌하고 흥미 있는 줄거리와 인물을 통하여 인간성의 결점
생명, 새로운 인간이 뒤따르게 된다.넷째 마당 : 영웅과 모험의 이야기영웅신화의 서사구조신들에 대한 설화와는 달리 영웅설화는 일관성 있는 줄거리가 있다. 영웅들은 신들과는 달리 죽 ... 오디세우스의 전략과 기지에 힘입고서야 트로이를 함락 할 수 있었다.[일리아스]는 '전형적 영웅' 아킬레우스가 헥토르에게 영광된 승리를 거두는 데서 끝을 맺고 있지만, 트로이 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