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의 현실을 주제로 한 풍자의식이 넘치는 작품을 중심으로 시 490수를 남긴 나은(833~909)을 다시 거론할 필요성을 느낀다. 나은은 한국한문학의 비조라 할 최치원의 스승 ... 에서 오는 위압감과 낯설음이 엄습해왔지만 중국어를 공부하는 학생으로서 중국을 이해하기 위한 한 과정이라 생각하고 나름대로 열심히 과제에 임했다.설능과 나은 이 두 시인 모두 각자 ... 에 나타나는 다양한 시의 성격, 특히 시의 기탁에 의한 간기와 비유의 관계를 구명해야 겠다. 나은의 생애에 불명한 부분이 많아 주어진 자료들만으로 몇 가지 이설들을 재조명하고 이해
제 1부 21세기와 신한국신한국의 인간상인문학 이란 인간의 어리석음을 깨우쳐서 비극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인간의 지혜를 모으는 학문이다. 또한 파사현정 이란 불의를 깨부수 ... 깨부수는 것 그 자체가 목적이 될 수는 없다. 우리는 바로 현정 을 서두를 때다. 그것은 새시대 새한국인상 을 정립,구현시키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단기 ... 처럼 인간이 문화라는 사치를 버리지 못하고 최고,최후의 가치로 추구하는 이유는 재물과 권력이 일시적인 물거품 같은 것인데 비해 문화만은 그 생명이 길뿐 아니라 그것으로서 모든 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