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지도 작성에 가장 파급효과가 컸던 대표적인 기술혁신으로서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들 수 있다. 이로써 제한효소자리나 돌연변이 ... array는 대상 유전자 DNA의 한 부위(subsequence)와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갖는 oligonucleotide들로 구성되어 있어서, 대상 DNA를 결정하고 정량할 수 ... 에, 이로써 세포의 종류, 발생 단계, 그리고 반응성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모든 유전자의 발현 조절을 동시에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세포 한개 당 한개의 mRNA도 측정할 수 있
. 호흡기 분비물에서 IF법을 이용한 항원 검출법은 민감도가 낮으며, 요중 항원을 검출하는 방법은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다. 중합효소연쇄반응도 진단에 이용될 수 있 ... 법을 이용한 세포지방산의 정성 및 정량 측정으로 균종의 분류가 가능하다. 배양 3일 후 BCYE배지에 아주 작은 집락을 형성하며, 이 집락은 5∼7일 사이에 직경 3∼4mm의 회색 ... 하여에서 효소산화, 추출,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라피와 분자체 크로마토그라피 방법으로 지질-단백-탄수화물 복합체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L. pneumophila의 편모항원은 응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