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명백한 객관성은 지각대상이 신의 마음 속에 있는 관념이라는 주장에 의해 주관주의와 모순없이 조화된다. 더 객관적인 관념론이 나타날 수 있는 토대는 18세기말 이마누엘칸트가 마련 ... 했다. 칸트는 '선험적 자아'인 주관이 감각인상을 질료로 삼고 이 질료에 어떤 보편개념을 부과함으로써 지식을 구성해낸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자신의 관념론을 선험적 관념론이라 이름붙였 ... 다. 그리고 이때 우리가 부과하는 보편개념을 범주라고 불렀다. 19세기초 J.G. 피히테, F.W.J. 셸링, G.W.F. 헤겔은 칸트 철학에 기초하여 각각 특유한 관념론 체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