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있었다. 그 후로 한 세기 반이 지났다. 이제 우리는 디지털 시대에 진입하면서 거리와 관계없이 멀티미디어 정보를 순식간에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다. 유전공학도들은 인간의 뇌를 조작 ... 하여 행복과 우월의 감정을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유전자 기호를 재배열할 수도 있다. 머지않아 생태계의 비밀코드를 풀고 자연과 인간 그리고 우주와 연결된 연기의 법칙까지도 계량화 ... 하게도 소통수단의 증가는 개인간 소통의 빈약화를 초래하고 있다. 개개인은 네트윅속에 편재화된 하나의 결절점화하고 있고, 점점 더 옛날의 연대의식을 잃어버린 채 아직 새로운 형태의 연대의식
, 그리고 측정방법으로 객관화된 검사인 지필검사에 의존한 것을 지적하였다. 그는 자연 상태에서의 지능에 관심을 가지고 언어능력과 논리-수리적 능력이 학교에서는 물론이고 기존의 지능, 적성 ... )으로 불렀던 것으로 인간의 존재 이유, 생과 사의 문제, 희로애락, 인간의 본성, 가치 등 철학적인, 어떤 의미에서는 상당히 종교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이다. 이 지능은 뇌 ... 고 있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도 (p 74) 가드너는 실존지능에 대한 영역편재 가능성을 한껏 열어두고 글을 써 나가고 있다. 많은 학자들이 다른 지능에 대한 존재 가능성을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