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갈래 : 고려가요2) 작자 : 미상3) 형식 : 3음보(3.3.2조), 매연 끝에 후렴, 연장체, 3연 14절4) 주제 : 이별의 슬픔(恨)5) 구조 : 남녀 사이의 대화를 담 ... : 청산별곡과 함께 고려속요 중의 절조7) 출전 : 악장가사, 시용향악보3. 작품 해설1연(1~8행)에서는 떠나는 임을 끝까지 따르겠다는 간절한 여인의 마음, 2연(9~16행 ... 샤공아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大洞江 아즐가 大洞江 건넌편 고즐여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타들면 아즐가 타들면 것고리이다 나위 두어렁셩 두어렁셩 다링디리8-1. 위의 시
고 있다. 「삼국유사」 14편, 「균여전」 11편, 예종의 《도이장가》, 현전향가의 전부 중 월명사, 충담사가 두 작품씩 지었고 《서동요》,《헌화가》,《풍요》는 민요로서 작자미상 ... 이 아니라, 선행 양식들과 공존하면서 향가의 폭과 너비를 확장시켜 나갔던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내용면에서 살펴보면 향가는 숭구한 이상을 추구하는 내용으로 고려속요와 대조적이 ... 》와 《용비어천가》에 대해서도 살펴보도록 하겠다.2. 향가의 전반적인 특성분석향가란 본래 중국의 노래에 대한 우리의 노래'를 뜻하는 명칭으로, 보다 좁은 의미로는 신라 시대부터 고려 초기
1 향가란 항찰로 표기된 신라시가 14수(모두 출전은 [삼국유사])와 고려초 균여의 『보현십종원왕가(普賢十種願往歌)』11수, 예종의 『도이장가(悼二將歌)』 1수를 지칭한다.2 '향 ... 이란 말은 고려속요 뿐만 아니라 가사에도 쓰이고 있다.6 XX 景(경)이란 표현은 장르적 성격을 좌우할 만큼 중요한 구실을 하는 것이므로 이것을 살리는 것이 좋다.2.경기체가의 개관 ... 악★ 고려시대 속악에 사용되었고 그 시가가 이어(俚語)인 것: 장한성, 선운산, 무등산, 방등산, 정읍, 지리산, 내원성, 연양, 명주제 2 장. 향가(鄕歌)1.향가의 명칭과 갈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