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종분리 개선4. 교육훈련 및 조직화5. 사회적 지원체계 강화6. 여성 비정규직의 임신, 출산권 확보 방안Ⅵ. 결론Ⅰ. 서론오늘날 지구촌 전체를 휩쓰는 구호는 ‘세계 ... 이 드는 일에 부적합작업조건이 나쁘거나 노동법이 적용되지 않거나 판에 박힌 일에 적합한 것으로 분류함간호사, 의사, 유모, 사회복지 노동자(social worker), 교사, 조산원 ... 들은 여성을 더 순종적이고 덜 조직적이며 결혼이나 임신 같은 사유로 해고하기 쉬운 존재로 보고 있다.또한 세계문맹자의 2/3는 여성이라는 것이다. 근로여성중 대다수가 노동시장의 최하층
다. (Cross등, 1984).2. 연구의 목적대학 의료기관에 종사하는 다양한 직종의 근로자들 가운데 국가 면허를 소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관련법의 제한적 사유 등으로 인하여 개업 ... 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근로자들이 대부분이다. 이들의 대다수는 여러 이유로 다른 직종의 종사자들과는 다르게 학문에 대한 의욕이 보다 강하며, 특히, 행정직종 또는 간호직종 ... 보고하였다. 정인선 ( 일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약사, 임상병리사의 직무만족도 조사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1)은 직무만족의 요인 별 비교에서 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