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라 배경⒝ 당태종전, 금우태자전, 왕랑반혼전, 금원전 ⇒ 중국 배경⑵ 역사소설⒜ 홍길동전, 임진락, 최척전, 박씨전, 임경업전, 최고운전 최치원과는 다른 작품⇒ 한국 배경⒝ 중국 ... ↓ ↑↑ ↓대립의 축작품의 내적 세계 ←→ 작품의 외적 세계전환의 축 : 문학의 예술성문학작품이 창작됨 ←―→ 문학작품이 창작되기 전(작가의식만 있음)서정교술희곡서사--------- 자아 ... 는 대립- 작품 외의 서술자가 개입(물론, 작품의 자아가 개입하였다는 전제하에 세계도 개입)자아와 세계는 대립 ⇒ 서사장르의 특성(다른 장르와 변별적으로 구분할 수 있어야 함)
다가 만나는 조위한의 [최척전]은 여성의 비판적 발언이나 국제적 시각이나 모두 호란이 없었으면 나올 수 없었던 작품들일 듯하다. 17세기에 소설이 발달한 것은 대중의 주변부가 변화 ... 영의 [의승기(義勝記)]에서 임금은 도적에게 쫓겨 황야로 도망친다. [유충렬전]¸ [조풍전]¸ [소대성전]¸ [용문전]¸ [이대봉전]¸ [황운전] 등 남녀이합의 군담소설 속 ... 에 대하여 기록된 글을 보면¸ 송시열·이선·황경원의 전기를 모은 [임충민공실록]과 이형상의 [임경업전]과 고소설 [임장군전]으로 나아가면서 서술의 무게 중심이 상층에서 하층으로 이동
, pp.15② 최척전(崔陟傳) : 임란 당시 '최척'과 '옥영'의 이산·재합을 통한 사랑의 위대성을 다룬 작품으로, 전후 사실주의 소설의 새 이정표를 보여주고 있다. 유몽인(柳夢寅 ... )설-2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작품들로는 , , , 같은 작품을 들 수 있다.① 박씨전(朴氏傳)과 임경업전(林慶業傳) : 박씨전 말미에는 "이 책의 미진한 말은 임경업전에 가 ... 서 보라"고 하고, 또 "세자대군과 조선인물을 본국으로 데려온 사적은 임경업전에 있기로 이만 그치노라"고 하여, 두 작품이 동일 작자에 의해 쓰여진 전, 후편의 성격을 가진 작품임
의 비극적 현실주의 형태를 지니는 한문 애정소설과 16,17세기에 모습을 드러낸 주생전, 최척전, 운영전 등의 사실적인 소설형태의 애정소설, 그리고 조선 추기의 대중적 기반을 확보 ... 의 서사적 전통 위에 중국의 전기 소설인 '전등신화'의 영향을 받아 이루어졌다. 전기적 요소를 간직한 한문 소설은 고대 소설의 출발을 보이며 국문 소설이 나오기 전에, 임제 ... 에 담겨있는 것으로 알려진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용궁부연록, 남염부주지 등의 5작품과 연암 박지원의 호질, 허생전, 양반전, 광문자전, 예덕선생전,민옹전, 김신선
■운영전당당한 여성의 모습고대 애정소설은 초기 금오신화의 비극적 현실주의 형태를 지니는 한문 애정소설과 16,17세기에 모습을 드러낸 (주생전)(최척전)(운영전)등의 사실적인 ... 소설형태의 애정소설, 그리고 조선 추기의 대중적 기반을 확보한 기녀를 주인공으로 하는 신분 갈등형 애정소설의 세 단계로 구분된다.고대 애정소설의 대표작인 운영전. 이 소설을 통해서 ... 적으로 사회에 자리 잡혔으며, 여성들은 지배 계층에 의해 집안에 가둬져야 했던 것이다.하지만 운영전에서 여성의 모습은 당당하다.운영전의 줄거리를 요약해보자.■ 임진왜란이 끝난 선조 34년
이 고전소설의 참신한 맛을 더해주고 있다. 과거의 고전소설에서 도외시되었던 역사성과 지리적 감각이 이 「최척전」을 계기로 사실적으로 접근하고 있어 더욱 그 가치를 높게 평가할만 ... 「소대성전(蘇大成傳)」『소대성전』은 영웅소설 또는 군담소설의 대표적인 작품의 하나이다. 판각본 및 활자본으로 출간된 횟수로 보아 『춘향전(春香傳)』과『조웅전(趙雄傳)』에 이어 3 ... 위를 차지할 정도로 인기가 높았던 작품이다.『소대성전』의 작자 이옥(李鈺)은『설인귀전』의 주요 모티프인 정동(征東)의 개념을 역으로 도입하여 작품에 설정하고 여기에 병자호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