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외국의신도시개발사례및시사점

외국의신도시개발사례및시사점
1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9.01.09 최종저작일 2008.09
13P 미리보기
외국의신도시개발사례및시사점
  • 미리보기

    소개

    외국의신도시개발사례및시사점

    목차

    외국의 신도시 개발사례 및 시사점
    1. 선진국의 신도시 개발 사례
    (1) 영국
    (2) 미국
    (3) 프랑스
    (4) 일본

    2. 최근 외국의 도시 개발 사례
    (1) 환경중심의 도시
    1) 브라질의 쿠리티바
    2) 캐나다의 벤쿠버
    (2) 주민중심의 신도시
    1) 일본 도쿄의 세타가야
    2) 네덜란드의 델프트와 덴마크 코펜하겐
    (3) 문화중심의 신도시
    1) 이탈리아의 밀라노와 독일의 뮌스터
    2) 프랑스 파리 주변의 라데팡스

    3. 시사점

    본문내용

    1. 선진국의 신도시 개발 사례
    선진국의 신도시 개발사례로 영국, 미국, 프랑스, 일본 등 4개국과 최근 외국의 도시 개발 사례에서 나타난 도시개발의 새로운 경향을 탐색해봄으로써 우리나라 신도시 개발의 추진방향에 대해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1) 영국
    1) 신도시 개발의 방향
    영국의 신도시 출발은 19세기 말 산업화의 결과, 주거환경의 악화로 이를 개선하려는 이상주의 운동에서 시작되었다. 하워드의 이상주의 이념이 1903년 레치워스(Letchworth), 1919년 웰윈(Welwyn) 등의 신도시로 나타났으며, 직주(職住) 근접의 원리에 따라 농촌과 도시의 장점을 살린 전원도시로 출발하였던 것이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시가지 복구를 위하여 오스만은 신도시 개발을 주장하였고 1944년 광역런던계획이 작성되면서 대도시 인구과밀 억제와 도시권의 광역적 정비를 위한 정책수단으로 신도시가 강조되기 시작하였다.
    영국의 신도시 개발전략은 세 가지의 기본목표를 설정하고 있는데, 그것은 ①런던 및 그 주변지역의 인구증대와 고용증대 억제 ②미개발지역의 개발촉진 ③최대의 광역도시권인 런던의 발전 양상을 수정하려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표들을 달성하여 과밀대도시의 여러 가지 비경제성과 낙후지역의 실업 및 인구유출 추세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역발전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표들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러 방안이 시도되었는데, 주로 도시계획자들이 주장한 것은 런던의 규모를 제한하고 런던시의 주변에 개발제한구역을 설정하면서 제한구역 밖의 지역이나 주변의 벽지에 자급자족의 소규모신도시를 건설하여 런던시의 인구밀도를 낮추려는 것이었고, 한편 경제기획가들에 의한 또하나의 구상은 런던권역 내에 공업시설의 건설을 억제하는 한편, 이러한 공장들이 저개발지역에 위치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해 주려는 것이었다

    참고자료

    · Lloyd Rodwin, Nation and Cities : A Comparison of Strategies for Urban Growth(Boston: Houghton Mifflin Co., 1969), pp.107~108.
    · Lloyd Rodwin, op. cit., pp.113.`
    · 노융희,「전게서」, pp.56~58.
    · Andrew Derbyshire, “The Plan-making Process and the Structure of the Urban Form”, in John L. Taylor(ed.), Planning for Urban Growth : British Perspective on the Planning Process (NY: Frederic A. Praeger Publishers, 1977), p.72.
    · John R. James, “Regional Planning in Briton”, in Sam Bass Warner, Jr.(ed.), Planning for a Nation of Cities (Cambridge, Mass.: The M.I.T. Press, 1966), pp.194~195.
    · 신정철, 김상조,「신도시 개발정책 개선방안 연구」, 1998.12, pp.103~104.
    · 노융희,「전게서」, pp.69~70.
    · John C. Bollens and Henry J. Schmandt, The Metropolis(NY: Harper & Row, 1965), pp.13~14.
    · Ibid., pp.45~46.
    · 노융희,「전게서」, pp.71~72.
    · 신정철, 김상조,「전게서」, pp.127~128.
    · 엄상권, “미국의 신도시계획에 관한 연구,”「한라대학교논문집」, 3(1999), pp.213~222.
    · 노융희,「전게서」, pp.93~94.
    · 노융희,「전게서」, pp.92~93.
    · www.chosun.com/w21data/html/news/2001.03~2001.06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