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북한의 권력개편과 8월 종파 사건

북한학, 한국현대사관련 학사졸업논문으로 적합하게 작성되었습니다. 총 35페이지 입니다.
3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11.28 최종저작일 2008.12
35P 미리보기
북한의 권력개편과 8월 종파 사건
  • 미리보기

    소개

    북한학, 한국현대사관련 학사졸업논문으로 적합하게 작성되었습니다.
    총 35페이지 입니다.

    목차

    1. 서론

    2. 연구동향

    3. 전후 북한의 권력 지형
    (1) 김일성의 위상 차이
    (2) 갑산계와 국내계의 부상

    4. 사회주의 개조를 둘러싼 세력구도의 변화
    (1) 중공업 우선 노선의 진퇴
    (2) ‘종파’문제와 소련계 비판

    5. ‘8월종파사건’과 유일지도체제 성립
    (1) 개인숭배 비판
    (2) 8월 전원회의와 중·소의 개입
    (3) ‘반종파투쟁’과 유일지도체제 성립

    6. 보론 : 숙청 이후의 소련계와 연안계
    (1) 연안계의 말년생활
    (2) 숙청 이후의 소련계

    7. 결론

    본문내용

    1956년 8월 29일 북한 로동당 당중앙은 전원회의 일정을 발표한다. 30일과 31일, 양일간 열릴 이 회의의 주요의제는 두 가지였는데, 하나는 ‘형제국가를 방문하고 돌아온 당 및 정부대표단의 사업보고-보고자 김일성’이었고 다른 하나는 ‘인민보건사업을 개선강화할 데 대하여-보고자 박금철’이었다 呂政, 『붉게 물든 대동강 : 前인민군 사단 정치위원의 수기』, 東亞日報社, 1991, 80쪽.. 의제만을 놓고 본다면 이 회의는 그렇게 특별할 것이 없다. 하지만 북한이 훗날 ‘8월종파사건’이라 지칭하는 사건이 바로 이 회의에서 일어난다. 조선 로동당 중앙 위원회의 1956년도 결정집을 보면 이 회의에서 결정된 사항은 이 두 가지 의제에 관한 것 말고도 한 가지가 더 포함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바로 ‘최 창익, 윤 공흠, 서 휘, 리 필규, 박 창옥 등 동무들의 종파적 음모 행위에 대하여「최 창익, 윤 공흠, 서 휘, 리 필규, 박 창옥 등 동무들의 종파적 음모 행위에 대하여 (전원 회의 결정, 1956년 8월 30일~31일)」『결정집』(1956년도), 조선 로동당 중앙 위원회, 12-17쪽. ’라는 결정서인데, 이는 본래 예정된 의제에 관한 것이 아니었다. 결정집을 살펴보면 ‘당 중앙 위원회를 불의에 공격’하여 ‘당내에서 「헤게모니야」를 쟁취’하려 했었던 최창익, 윤공흠, 서휘, 리필규, 박창옥에 대한 심의의 결과인데, 이들의 ‘죄행’은 구체적으로 ‘당과 정부의 지도부를 공격’하려한 ‘종파적 음모’였다고 규정되어 있다 위와 같음. 12-13쪽.. 결정서에 명기된 사람 중에 ‘종파적’ 발언을 한 사람은 윤공흠이었다. 그의 발언 요지는 “당을 경찰식 체제가 지배하고 있으며 ······ 김일성 개인숭배가 보급되고 있고, 지도부에 불필요한 사람들이 들어가 있다“는 것이었다 김광린 역, 안드레이 란코프,『소련의 자료로 본 북한 현대정치사』, 오름, 1995, 227쪽.. 윤공흠은 이 발언에서 김일성 개인숭배를 직접적으로 비판하고 있는데, 이는 당시 북한 권력층의 내부 알력을 반영한 것이며 뒤이어 시작될 ‘반종파투쟁’의 기폭제가 된다.

    참고자료

    · 1. 단행본
    · · 呂政, 『붉게 물든 대동강 : 前인민군 사단 정치위원의 수기』, 東亞日報社, 1991.
    · · 김광린 역, 안드레이 란코프,『소련의 자료로 본 북한 현대정치사』, 오름, 1995, 227쪽.
    · · 『北傀의 派閥鬪爭史』, 내외문제연구소, 1961.
    · ·『김일성과 북한』, 내외문제연구소, 1978.
    · ·『나는 金日成을 告發한다』, 공산권문제연구소, 1982.
    · · 이원복 역, 柴田穂,『金日成의 野望』, 兼知社, 1986.
    · · 이상우 외, 『북한 40년』, 을유문화사, 1988.
    · · 方仁厚, 『北韓「朝鮮勞動黨」의 形成과 發展』, 高麗大學校出版部, 1962.
    · · 下斗米伸夫,『モスクワと金日成:冷戦の中の北朝鮮 1945-1961年』, 岩波書店, 2006.
    · · 서동만, 『북조선 사회주의 체제 성립사(1945~1961)』, 선인, 2005.
    · ·『정치사전』, 사회과학출판사, 1973.
    ·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당력사연구소, 『조선로동당략사(1979년판)』, 돌베개, 1989.
    · ·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조선전사』,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0.
    · · 김한길, 『현대조선력사(1983년판)』, 일송정, 1988.
    ·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당력사연구소, 『조선로동당력사』, 조선로동당출판사, 1991.
    · ·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당력사연구소『위대한수령 김일성동지 약전』, 조선로동당출판사, 2003.
    · · 한국일보 편, 『증언 : 김일성을 말한다』, 한국일보사, 1991.
    · · 고봉기,『김일성의 비서실장 - 고봉기의 유서』, 천마, 1989.
    · · 이종석,『조선로동당 연구』, 역사비평사, 1995.
    · · 이종석,『북한-중국관계 1945-2000』, 중심, 2000.
    · · 이혁재 역, 시모토마이 노부오,『기밀 해제된 구(舊)소련 공산당 정치국 사료로 본 북한 정권 탄생의 진실』, 기파랑, 2006.
    · · 강칠성 역, 윌리엄 힌튼,『翻身-혁명은 중국의 한 농촌을 어떻게 변화시켰는가』1·2, 풀빛, 1986.
    · · Andrei Lankov, 『Crisis in North Korea: The Failure of De-Stalinization, 1956.』,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5.
    · · 박상철 역, 니키타 흐루시초프,『개인숭배와 그 결과들에 대하여』, 책세상, 2006.
    · 2. 논문
    · · 백준기, 「정전 후 1950년대 북한의 정치 변동과 권력 재편」『북한의 정치』1, 景仁文化社, 2006.
    · · 류길재, 「“8월 종파 사건”과 사회주의적 개조의 기반 구축」『기독교사상』454, 대한기독교서회, 1996.
    · · 이종석, 「북한연구방법론, 비판과 대안」『역사비평』11, 역사비평사, 1990.
    · · 이종석,「냉전기 북한-중국관계 : 밀월과 갈등의 전주곡」『전략연구』17, 세종연구소, 1999.
    · · 서동만,「1950년대 북한의 정치갈등과 이데올로기 상황」『1950년대 남북한의 선택과 굴절』, 역사비평사, 1998.
    · · 이신철,「국가사회주의의 아시아적 형태로서의 북조선체제론의 몇 가지 문제 - 서동만의 입론을 중심으로」『사림』26, 수선사학회, 2006.
    · · 강윤희,「스탈린의 산업화 전략과 소련 공산당 기능의 변화, 1928-1932: 레닌그라드의 사례연구」『국제정치논총』42, 한국국제정치학회, 2002.
    · · 이정우,「시모토마이 노부오, <북한 정권 탄생의 진실>(기파랑, 2006)-구소련 사료를 바탕으로 한 또 다른 오류」『통일한국』268, 평화문제연구소, 2006.
    · · 고성준,「서평 : 북한연구의 새로운 출발 - 안드레이 란코프 저, 김광린 역『소련의 자료로 본 북한현대정치사』(도서출판 오름, 1995)와 방찬영,『기로에 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박영사, 1995)를 읽고」『한국과 국제정치』12,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1996.
    · · 박수헌,「스딸린사후 흐루시초프의 공산당 개혁정책 - 당내 공공원칙의 전개를 중심으로」『러시아연구』1,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1992.
    · · 강승희, 「증언해외의 반김일성운동과 숙청된 소련파의 확인운동」『북한』244, 북한연구소, 1992.
    · · 이상일, 「북한정치에 참여한 소련파 한인들」『동국역사교육』5, 동국역사교육회, 1997.
    · 3. 문건류
    · ·「최 창익, 윤 공흠, 서 휘, 리 필규, 박 창옥 등 동무들의 종파적 음모 행위에 대하여 (전원 회의 결정, 1956년 8월 30일~31일)」『결정집』(1956년도), 조선 로동당 중앙 위원회, 12-17쪽.
    · · 김태서, 「8월종파와 당집중지도사업」『북한』44, 1975.
    · · 朴東雲, 「特輯:勞動黨大會로 본 北韓 共産主義 - 3次大會와 反스탈린 運動對應」『北韓』71, 北韓硏究所, 1977.
    · · 崔光石, 「北韓의 肅淸과 反抗運動(上)」『北韓』82, 北韓硏究所, 1978.
    · ·「형제적 제 국가를 방문한 정부 대표단의 사업 총화와 우리 당의 당면한 몇가지 과업들에 관하여 (전원 회의 결정 1956년 8월 30일~31일)」『결정집』(1956년도), 조선 로동당 중앙 위원회, 2-11쪽.
    · ·「최 창익, 윤 공흠, 서 휘, 리 필규, 박 창옥 동무들에 대한 규률문제를 개정할 데 관하여 (전원 회의 결정, 1956년 9월 23일)」『결정집』(1956년도), 조선 로동당 중앙 위원회, 24쪽.
    · ·「‘정전협정 체결과 관련한 전후 인민경제 복구 발전을위한 투쟁과 당의 금후 임무’에 대하여 (1953년8월5-9일)」『결정집』(1953년도), 조선 로동당 중앙 위원회, 2-34쪽.
    · 4. 기사류
    · · 정창현, 「북한 최대의 권력투쟁 ‘8월종파사건’의 전모」『월간 WIN』, 중앙일보사. 1997.06.
    · · 安成奎, 「“1956년 소련은 김일성을 제거하려 했다」『월간중앙』, 1994.5.
    · · 강상호, 「내가 치른 北韓 숙청」『한국일보』1993.1.11.~10.12. 연재.
    · · 沙英,「逐步实现国家对农业的社会主义改造」『人民日报』, 1953年11月17日.
    · ·「프로레타리아 독재와 관련한 력사적 경험에 관하여」『로동신문』1956년 4월 8일.
    · ·「关于无产阶级专政的历史经验」『人民日报』1956年4月5日.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