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승제, (한국이민사연구), 장문각, 1973.
· 권 철, (광복 전 중국 조선민족문학 연구), 한국문화사, 1999
· 김기주ㆍ정덕준, 「재중 조선족소설의 전개 양상과 그 특성」,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21집, 20003. 12
· 김열규(외), (대륙 문학을 다시 읽는다), 대륙연구소 출판부, 1992
· 김종호, 「일제강점기 만주 유이민 소설 연구」, 경북대 박사학위 논문, 1995.
· 김중하(외), (중국조선족문학의 전통과 변혁), 부산대 출판부, 1997
· 민현기(편), (일제강점기 항일독립투쟁소설선집), 계명대 출판부.1989.
· 박충록, (조선문학간사), 연변출판사, 1987
· 서경석, (한설야), 건국대 출판부, 1996.
· 소재영(외), (중국 조선족문학 연구), 숭실대 출판부, 1992
· 신주백, <만주지역 한인의 민족운동사(1920-1945)>, 아세아문화사, 1999.
· 연변사회과학원 문학예술연구소(편), (김학철론),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90
· 오오무라 마스오(이상범 편역), (<만선일보> 문학 관계 기사 색인(1939.12-1942. 10))
· 오상순, (중국조선족소설사), 료녕민족출판사, 2000
· 오양호, (일제강점기 만주 조선인 문학 연구), 문예출판사, 1996
· 김정범, (한국문학과 간도), 문예출판사, 1988
· 유광열, (간도소사), 경성, 태화서관, 1933
· 유치진, 「만주 분산 개척민 촌을 보고」, (춘추), 1942. 9
· 윤영천, (한국의 유민시), 실천문학사, 1987
· 이경훈, 「만주와 친일 로맨티시즘」, (한국근대문학연구), 2003. 4.
· 이상경, 「간도 체험의 정신사」, (작가연구 2), 새미, 1996.
· 이상갑, (한국문학과 시대의 상상력), 월인, 2003.
· 임범송ㆍ권철(편), (조선족문학연구),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89
· 장석홍, (한설야 소설 연구), 박이정, 1997.
· 장춘식, (해방 전 조선족이민소설연구), 북경 민족출판사, 2004.
· 전성호, (중국조선족 소설 연구), 국학자료원, 1997
· 정덕준·리광일, 「중국조선족 소설 연구」, (성곡논총) 31집, 2002.
· 조성일·권철(편), (중국조선족문학사), 연변인민출판사, 1990
· 채 훈, (일제강점기 재만 한국문학 연구), 깊은샘, 1990
· 흥아협회(편), (재만 조선인 통신), 봉천, 흥아협회, 1937-1944
· 任展慧, (일본에 있어서의 조선인 문학의 력사), 법정대학출판국, 1994
· R. 윌리암즈(이일환 역), (이념과 문학), 문학과지성사, 19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