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
· 박일용, 「전기계 소설의 양식적 특징과 그 소설사적 변모 양상」, 『민족문화연구』제28호, 민족문화연구소, 1995.
· 지준모, 「전기소설의 효시는 신라에 있다 - 『조신전』을 해부함」, 『어문학』제32집, 1975.
· 임형택, 「나말여초의 ‘전기’문학」, 『한국한문학연구』제5집, 한국한문학연구회, 1981.
· 김종철, 「전기소설의 전개 양상과 그 특성」, 『민족문화연구』제28호, 민족문화연구소, 1995.
· 박희병, 「한국고전소설의 발생 및 발전단계를 둘러싼 몇몇 문제에 대하여」, 『관악어문연구』제17집, 서울대국문과, 1992.
· 이인영, 「태평통재잔권소고」, 『진단학보』제12호, 진단학회, 1940.
· 이헌홍, 「최치원전의 전기소설적 구조」, 『수련어문논집』제9집, 부산여대 국어교육과, 1982.
· 김종철, 「서사문학사에서 본 초기소설의 성립문제 - 전기소설과 관련하여」, 『고소설 연구논총』, 경인문화사, 1988.
· 박희병, 「나려시대 전기소설 연구」, 『대동문화연구』제30집, 대동문화연구원, 1995.
· 소인호, 「나말∼선초의 전기소설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 이검국·최환, 「『신라수이전』 최치원본고」, 『중국어문학』제33집, 영남중국어문학회, 1999.
· 이동환, 「「쌍녀분기」의 작자와 그 창작배경」, 『민족문화연구』제37호, 고려대민족문화연구원, 2002.
· 차용주, 「조신설화의 비교연구」, 『한국문화인류학』제2집, 한국문화인류학회, 1969.
· 이구의, 「조신전의 구성과 의미」, 『영남어문학』제30집, 영남어문학회, 1996.
· 김수업, 「조신설화와 중국 전기의 비교에서 본 「구운몽」」, 『개척자』11호, 1974.
· 이윤석, 「조신설화의 문학적 가치에 대한 소고」, 『한국전통문화연구』,제4집, 효성여대한국전통문화연구소, 1988.
· 오대혁, 「「조신전」의 구조와 형성배경」, 『한국문학연구』제20호,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998.
· 정병욱, 「김시습연구」, 『서울대논문집』제7집, 1958.
· 정주동, 「「금오신화」에 대한 의문점, 『국어국문학』제26호, 국어국문학회, 1963.
· 이재호, 「금오신화고-작자 김시습의 저항정신을 중심으로-」, 『논문집』제14집, 부산대, 1972.
· 임형택, 「현실주의적 세계관과 금오신화」, 『국문학연구』제13집, 서울대국문학회, 1971.
· 이재수, 「금오신화고」, 『가람 이병기 교수 송수논문집』, 1966.
· 임형택, 「현실주의적 세계관과 금오신화」, 『국문학연구』제13집, 1971.
· 이원주, 「금오신화소고」, 『논문집』제2집, 상주농잠 전문대, 1970.
· 김수성, 「금오신화의 자연배경고-전등신화와의 비교적 입장에서-」, 『중국학보』제9호, 한국중국학회, 1968.
· 김수성, 「만복사저포기와 전등신화의 비교연구」, 『논문집』제4집, 경기공전, 1971.
· 이상익, 「한·중 고전소설 비교연구-금오신화와 전등신화-」, 문교부 학술연구보고서, 1971.
· 김수성, 「이생규장전과 전등신화의 비교연구」, 『논문집』제5집, 경기공전, 1972.
· 최삼룡, 「금오신화의 구조적 특질-기괴를 중심으로-」, 『국어문학』제21집, 전북대학교, 1980.
· 김창진, 「금오신화의 순환구조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 신덕룡, 「금오신화의 시간구조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0.
· 강준철, 「금오신화의 문법」, 『어문학교육』제5집, 부산교육학회, 1982.
· 김수성, 「금오신화와 전등신화의 배경에 관한 비교연구」, 『논문집』제10집, 경기공전, 1976.
· 김진두, 「금오신화와 전등신화의 비교 연구」, 『논문집』제21집, 공주사대, 1983.
· 김수성, 「금오신화와 전등신화에 출현하는 시에 대한 비교」, 『논문집』제12집, 1983.
· 김재민, 「금오신화 구성상의 특성 연구-삽입시가를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85.
· 김미란, 「금오신화에 나타난 여귀」, 『연세어문학』제9·10 합병호, 연세대학교, 1977.
· 설중환, 「금오신화의 화신」, 『어문논집』제23집, 고려대 국어국문학 연구회, 1982.
· 최삼룡, 「금오신화의 비극성에 대한 초월의 문제」, 『어문논집』제22집, 고려대 국어국문학 연구회, 1981.
· 서규태, 「금오신화의 구조와 작가의식」, 『논문집』제24집,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연구회, 1985.
· 김갑진, 「금오신화의 공간구조와 작가의식」, 『한국어문학』제12집, 영남대학교, 1986.
· 백남오, 「금오신화연구-갈등과 화해의 미적 구조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7.
· 설중환, 「만복사저포기와 불교」, 『석현 정규복박사 환력기념편집호』, 고대국어국문학연구회, 1987.
· 강원대 인문과학연구소편, 「매월당-그 문학과 사상」, 강원대 출판부, 1989.
· 이문규, 「매월당의 문학관을 통해 본 금오신화의 기본 의미망」, 『선청어문』, 제18집, 서울사대, 1989.
· 안동준, 「김시습문학사상연구」, 정신문화연구원 박사논문, 1994.
· 문범두, 「매월당의 유가적 이념과 금오신화」, 『영남어문학』제30집, 영남어문학회, 1996.
· 윤승준, 「김시습의 귀신론과 금오신화」, 『국문학논집』제14집, 단국대학교, 1994.
· 장개종, 「한·중·월 전기소설의 비교연구-금오신화·전등신화·전기만록-」,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김수성, 「금오신화와 전등신화의 비교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장종법, 「고전소설의 환상성 연구:금오신화, 구운몽, 삼한습유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이혜진, 「「만복사저포기」에 나타난 환상성에 대한 일고찰」, 『한국어문학연구』제20집,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회, 2004.
· 안민정, 「고전소설에 나타난 환상성의 미학 연구 : 『금오신화』를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오대혁, 「김시습의 선불교적 현실주의와 『금오신화』」, 『한국문학연구』제26집,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3.
· 김창현, 「<만복사저포기>에 나타난 불교와 비극성의 초극」, 『불교학보』제44집, 동국대학교출판부, 2006.
· 박태상, 「불교와 창조적 상상력」, 『유심』제28호, 만해사상실천선양회, 2007.
· 홍대봉, 「금오신화에 나타난 김시습의 사상 연구」, 중부대 인문사회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이길원, 「금오신화에 나타난 김시습의 사상 연구」, 공주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이원상, 「『금오신화』에 나타난 제사상과 현실비판의식 연구」, 공주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오대혁, 「『금오신화』의 연구 : 선사상적 사유체계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강소영, 「전기소설에 나타난 삽입 시가의 기능-『금오신화』를 중심으로-」, 『동방학』제9집, 한서대학교 부설 동양고전연구소, 2003.
· 박종우, 「전기소설 삽입시의 기능과 성격-『금오신화』소재 삽입시를 중심으로-」, 『한국시가연구』제13집, 한국시가학회, 2003.
· 정품종, 「『금오신화』의 삽입시 연구」, 경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심형근, 「금오신화 공간 구조 연구」, 고려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이대형, 「금오신화의 서사방식 연구」, 연세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김현양, 「「만복사저포기」의 서사적 특성과 장르적 위상」, 『열상고전연구』제15집, 열상고전연구회, 2002.
· 최일규, 「고전소설 교육의 개선방안 연구-금오신화를 중심으로」, 공주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김영재, 「전기소설 교육 연구-『금오신화』를 중심으로」, 상명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박수진, 「전기소설의 학습자 중심 교육방안 연구-「금오신화」의 환상성을 이끌어내며」, 계명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김진용, 「삽입시를 이용한 효과적인 『금오신화』교육방안 연구」, 국민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소재영, 「신광한의 기재기이」, 『숭실어문』제3집, 숭실대국어국문학회, 1986.
· 이지영, 「금오신화와 기재기이의 비교연구 -공간구조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 유정일, 「기재기이의 전기소설적 특성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신태수, 「기재기이의 환상성과 교환 가능성의 수용방안」, 『고소설연구』제17집, 2004.
· 김보현, 「기재기이의 사상적 토대와 미의식」, 『한국고전연구』제10집, 2004.
· 신상필, 「기재기이의 성격과 위상」, 『민족문학사연구』24, 민족문학사학회 민족문화연구소, 2004.
· 김종철, 「전기소설의 전개 양상과 그 특성」, 『민족문화연구』제28호, 민족문화연구소, 1995.
· 채연식, 「조선조 전기소설 연구 - 애정류 소설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김일렬, 「주생전 소고」, 『어문논총』제11집, 전북대 국문과, 1977.
· 김제수, 「주생전연구」, 『한국언어문학』제21집, 한국언어문학회, 1982.
· 조광국, 「주생전과 16세기 소외양반의 의식변화와 기녀의 자의식 표출에 시대적 의미」, 『고소설연구』제8집, 한국고소설학회, 1999.
· 윤경희, 「주생전의 문체론적 접근」, 『한국고전연구』제6집, 한국고전연구학회, 2000.
· 윤승준, 「취향과 현실이탈의 꿈-주생전의 문학적 감염장치-」, 『동양학』제31집,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01.
· 임형택, 「전기소설의 연애주제와 위경천전」, 『동양학』제22집,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92.
· 김기동, 「불교소설 최척전 연구」, 『불교학보』제11집,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1974.
· 강진옥, 「최척전에 나타난 고난과 구원의 문제」, 『이화어문논집』제8집, 이화여대 한국어문학연구소, 1985.
· 정환국, 「17세기 애정류 한문소설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이현정, 「17세기 애정전기소설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 대곡삼번, 「운영전 소고」, 『조선학보』제37·38호, 일본 천리대 조선학회, 1966.
· 정규복, 「운영전의 문제」, 『고대문화』제11호, 1970.
· 소재영, 「운영전연구-운영의 비극을 중심으로」, 『아세아연구』제41호, 고려대 아세아문화연구소, 1971.
· 배원룡, 「운영전과 영영전의 비교고찰」, 『국제어문』제2집, 국제대, 1981.
· 신경숙, 「운영전의 반성적 검토」, 『한성어문학』제9호, 한성대, 1990.
· 박일용, 「운영전과 상사동기의 비극적 성격과 그 사회사적 의미」, 『국어국문학』제98집, 국어국문학회, 1987.
· 심치열, 「운영전의 서사체계와 주제의식」, 『어문연구』제89집,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996.
· 신경숙, 「운영전의 반성적 검토」, 『한성어문학』, 한성대, 1990.
· 형찬수, 「운영전 연구-비극성을 중심으로-」, 영남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이상구, 「운영전의 갈등양상과 작가의식」, 『고소설연구』제5집, 한국고소설학회, 1998.
· 정출헌, 「운영전의 중층적 애정갈등과 그 비극적 성격」, 『고전소설사의 구도와 시각』, 소명출판, 1999.
· 손명숙, 「운영전 연구」,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정해주, 「운영전의 비극적 구조 고찰」, 『향란어문』제6집, 성신여대, 1976.
· 김장동, 「운영전의 시점과 시제의식」, 『한국문학연구』제8집,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1985.
· 이연희, 「운영전 연구」, 성심여대 석사학위논문, 1989.
· 하은하, 「운영전에 대한 양식내적 접근」, 서울여대 석사학위논문, 1994.
· 서나경, 「운영전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 이성동, 「운영전과 영영전의 대비적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 신동흔, 「운영전에 대한 문학적 반론으로서의 영영전」, 『국문학연구』제5호, 국문학회, 2001.
· 정길수, 「「절화기담」 연구 - 19세기 애정전기 전통의 계승과 변용」,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저서
· 조윤제, 『국문학개설』, 탐구당, 1981.
· 조동일, 『한국소설의 이론』, 지식산업사, 1977.
· 조동일, 『한국문학통사』1, 2권, 지식산업사, 2005.
· 이가원, 『한국한문학사』, 민중서관, 1949.
· 장덕순, 『국문학통론』, 신구문화사, 1973.
· 차충환, 『한국고전소설작품연구』, 월인, 2004.
· 박일용, 『조선시대의 애정소설』, 집문당, 1993.
· 김태준, 증보『조선소설사』, 한길사, 1990.
· 김기동, 『국문학개론』, 진명문화사, 1973.
· 장덕순, 『한국문학사』, 동화출판사, 1975.
· 한영환, 『한·중·일 소설의 비교연구』, 정음사, 1985
· 소재영, 『기재기이 연구』, 고려대민족문화연구소, 1990.
· 유기옥, 『신광한의 기재기이 연구』, 한국문화사, 1999.
· 김대현, 『조선시대 소설사 연구』, 국학자료원, 1996.
· 박희병, 『한국전기소설의 미학』, 돌베개, 1997.
· 이명선, 『조선문학사』, 범우사, 1948.
· 김현룡, 『한·중소설설화비교연구』, 일지사, 1976.
· 박일용, 『조선시대 애정소설』, 집문당, 1993.
· 민영대, 『조위한과 최척전』, 아세아문화사, 1993.
· 안자산, 『조선문학사』, 한일서점, 1922.
· 김기동, 『이조시대 소설론』, 정연사, 1959.
· 박희병, 「최척전」, 『한국고전소설작품론집』, 집문당, 1991.
· 성현경, 「운영전의 구조」, 『조선후기의 언어와 문학』, 형설출판사, 1982.
· 소재영, 「운영전의 비극성」, 『고소설 통론』, 이우출판사, 1983.
· 차용주, 「운영전의 갈등양상에 반영된 작가의식」, 『한국 고소설의 조명』, 한국고소설연구회, 아세아문화사, 1990.
· 박일용, 「주생전」, 『한국고전소설작품론』, 집문당, 1990.
· 이석래, 「그오신화는 전등신화의 모방인가」,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 조동일, 「김시습의 귀신론과 금오신화」, 『문학사와 철학사의 관련양상』, 한샘, 1992.
· 이혜순, 「금오신화에 나타난 인귀교환 소설의 유형적 고찰」, 『이숭년선생 고회기념 국어국문학논총』, 팁출판사, 1986.
· 박혜숙, 「금오신화의 사상적 성격」,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 설성경, 「이생규장전의 구조와 의미」, 『고소설의 구조와 의미』, 새문사, 1986.
· 한영환, 『전등신화와 금오신화의 구성 비교 연구』, 새문사, 1975.
· 이혜순, 「전기소설의 전개」, 『고소설사의 제문제』, 집문당,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