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교수양식과 그 연구의 패러다임

교수양식과 그 연구의 패러다임
17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03.21 최종저작일 2003.07
17P 미리보기
교수양식과 그 연구의 패러다임
  • 미리보기

    소개

    교수양식과 그 연구의 패러다임

    목차

    I. 서론
    II. 교수양식의 개념
    1. 교수의 개념
    2. 양식의 개념
    3. 교수양식의 개념
    4. 교수양식의 형성 요인
    5. 교수양식의 유형
    6. 교수 양식의 연구의 Paradigm
    III.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교수양식과 그 연구의 패러다임


    I. 서론
    학교교육에서 교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능가할 수 없다”는 말은 학교교육에서 교사가 차지하는 비중을 가장 적절히 표현해주는 말일 것이다.
    정범모(1984), 황정규(1992), Bloom(1968), Shuman(1986) 등은 교육력을 결정하는 수많은 변인 중에 교사변인을 가장 중요하게 다루고 있다.
    학교교육에서 교사변인이 이처럼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유는 우선 교사의 역할에서 찾을 수 있다. 학교 교육의 중핵이라고 할 수 있는 수업이나 학생의 생활지도, 상담과 같은 활동은 물론 학교나 학급의 제반 운영과 관리 같은 일들은 대부분 교사에 의해 기획되고 실천된다. 따라서 학교 교육에 있어서 교사는 기획자이자 실천자의 지위에 있기 때문에 교사 변인은 학교 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이 아닐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교사가 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어 져야 하는 더 큰 이유는 학생에 미치는 영향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일찍이 J. Holt(1964)는 교실 속의 선생님을 아주 밝은 손전등을 들고 한 밤중에 숲 속에 서 있는 사람에 비유하였다. 한밤중에 밝은 불빛을 숲 속으로 비추면 그 빛이 어디로 향하던 간에 불빛에 비추는 생물체들은 불빛이 비춰짐을 알고 그들이 어둠 속에서 행하던 대로는 행동하지 않는 것처럼 교사는 학생의 행동을 주시하는 것만으로도 그들의 행동을 아주 다른 무엇인가로 바꾸어 놓는다고 하였다.
    이처럼 교사는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성패는 말할 것도 없고 학습외적인 면에도 무한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다른 어떤 요인보다도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교육공학의 비약적인 발전은 교수환경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관점의 교사관이나 교사의 역할을 크게 바꾸어 놓고 있다.
    박완희(1996)가 예견한 것처럼 지금까지의 수업 구조(Instruction paradigm)가 교사중심→아동중심→교사·아동상호작용중심→교사·아동·매체 상호작용중심→아동·매체 상호작용중심으로 변화되어 학습자 한사람 한 사람이 매체(컴퓨터)와 상호작용 해 가는 구조로 바뀌고 있다. 또 교육당국은 수업 중에 멀티미디어를 일정시간 이상 사용하도록 교사들에게 종용하고 있으며 수업에 사용할 멀티미디어의 제작은 물론 구입에도 많은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따라서 교사들을 보급되는 멀티미디어자료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심지어 학생이나 학부모로부터 click man이라는 비아냥을 사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교육매체가 발달하고 새로운 교육방법이 개발된다고 하여도 이들을 실행시키는 것은 교사이기 때문에 이러한 교육환경의 변화는 오히려 교사의 역할을 더욱 가중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볼 수 있다. 특히 교사 개인이 가진 내적인 특성들은 교육에 있어서 더욱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다.

    참고자료

    · 김순택 외 6(1995), 현대수업원론 : 서울 : 교육과학사
    · 교육학대백과사전 3권(1998).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서울 : 하우동실
    · 박완희(1998). 수업총론. 부산 : 경성대학출판부
    · 박준영(1998). 교육의 이론적 이해. 서울 : 학지사
    · 부산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1999). 학급담임교사의 길잡이. 부산 : 반도인쇄사
    · 이홍우(1981). 현대교수이론. 서울 : 교육과학사
    · 임창재(1994). 학습양식. 서울 : 형설출판사
    · 정범모와 이성진(1984). 학업성취의 요인. 교육과학신서 16. 서울 : 교육출판사
    · 황정규(1992).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 교육과학사
    · Bandura, A.(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 Bloom,B.J(1968). Learning for Mastery. UCLA: Evaluation Comment, 1.
    · Butler,k.(1987). Learning and teaching style in theory and practice. Columbia, CT: The Learner`s Dimension
    · Conti. G. J. & Welborn. R. B(1986) - Conti & R. Welborn(1986)Teacher-Learning Stylle and the Adult Learner Lifelong Learning 9(8), 20-24
    · Cory,S.M.(1967). The Nature of Instruction, in P. C. Lange(ed). Programmed Instruction, The Sixty-Sixth Year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 Chicago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Dunkin, M. J. & Bidddle, B. J.(1974). The study of teaching , New York : Holt, Rinchart & Winston
    · Encyclopedia of Educational Research 5th ed.(1982). New York : FREE Press
    · Flanders, N. A.(1970). Analyzing Teaching Behavior, Reading, Mass: Addison-Wesley.
    · Fischer, B. B. & I. Fischer(1979). Style in teaching and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36(4)
    · Garger,S. & Guild,P.(1984). Learning styles : The crucial difference. Curriculum review.
    · Gregorc,A. F. (1984). An adult`s guide to Style. Columbia, CT: Gregorc Assocates, inc.
    · Guild, P. B. (1994). The learning style connection. Educational Leadership, 51(8)
    · Heil, H. D. (1989). Effective strategies for teaching minority students. Bloomington, IN:NEA.
    · Hosford, P. L.(1973). An Instruction Theory : A Beginning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Ins
    · Joyce,B.R. & WeiL,M.l(1984). Models of teach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 Kuchinskas, G. (1979). Whose cognitive style makes the difference? Education Leadership, 36.
    · Lippit,R. White,R(1960). Leader behavior and member reaction in three social climate, in Dorwin Cartwright and Alvin Zander(eds.), Group Dynamics, Evanston : Row Peterson
    · Nespor, J. (1987). The role of beliefs in the practice of teaching. Journal of Curriculum Studyies, 19(4)
    · Reigeluth, Charles, M.(1999). Instruction-design theories by cognitive development and education. New York; Academic Press.
    · Woods, D.R(1995). Teaching &Learning : What can research tell u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25
    · Write,C.J & Nuthall,G.(1970).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behaviors and pupil achievement in three experimental science lessons. American Education Research Journal, 7.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