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동남아시아 테러리즘 연구

동남아시아 테러리즘 연구
15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01.14 최종저작일 2007.10
15P 미리보기
동남아시아 테러리즘 연구
  • 미리보기

    소개

    동남아시아 테러리즘 연구

    목차

    동남아시아 테러리즘 연구
    1. 서론
    2. 동남아시아 테러리즘 정세
    1)환경
    2)역사
    3)분석
    3. 동남아시아 이슬람 테러리즘
    1)배경
    2)테러리즘네트워크
    3)알카에다
    4)제마이슬라미아
    4. 동남아시아 이슬람 테러리즘의 한계
    1)이슬람테러리즘의 한계
    2)분리독립주의
    5.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이때까지 동남아시아는 그저 아름다운 관광지로 인식되어왔으며, 실제로 한국인을 포함한 여러 국가의 관광객이 자주 이용하는 친숙한 관광지이기도 하다. 그러나 전 세계가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거대한 테러리즘의 공포에 시달리고 있는 현재 동남아시아는 테러와의 전쟁 제2의 전선으로 주목받고 있다.

    9.11 테러 이후 미국은 동남아시아의 테러리스트 단체와 알 카에다의 관계에 대해 주목하기 시작했으며, 동남아시아가 알 카에다를 포함한 수많은 테러리스트들의 본거지로 변모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기 시작했다. 또한 전문가들은 동남아시아가 중동에 못지않은 알 카에다의 주요 활동지역이며, 앞으로 동남아에서 테러리스트들의 활동이 더욱 커질 것 이라 지적하였다. 뉴스위크 한국판. 2001.10.03


    2002년 10월 인도네시아 발리의 한 나이트클럽에서 발생하여 202명이 사망한 발리 폭탄테러는 제마 이슬라미아(Jemaah Islamiah)라는 테러리스트 단체의 이름을 전 세계에 널리 각인시킨 계기가 되었다.
    제마 이슬라미아는 본래 90년대 초에 창설된 이슬람 테러리스트 단체였으나 그동안 그 실체와 능력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었다. 그러나 이 사건 이후 동남아시아를 포함한 각국이 알 카에다의 뒤를 이은 제마 이슬라미아라는 새로운 국제 테러리스트 단체의 등장에 주목했으며, 긴장하기 시작했다. 또한 미국은 제마 이슬라미아를 ‘국제 테러리즘의 경향(Patterns of Global Terrorism)’보고서에 ‘외국 테러리스트 단체(Foreign Terrorist Organization)`로 규정했다. http://en.wikipedia.org/wiki/Jemaah_Islamiyah

    참고자료

    · 1) 뉴스위크 한국판. 2001.10.03
    · 2) http://en.wikipedia.org/wiki/Jemaah_Islamiyah
    · 3) 배긍찬. “동남아 테러문제와 역내 전략환경의 변화”, 외교안보연구원 정책연구시리즈 2002
    · 4) http://www.futurepolitics.co.kr/Board/PDS/View.asp?TableName=Security&Num=79
    · 5) 서울 신문. 2004.10.15.
    · 6) 배긍찬. “동남아 테러문제와 역내 전략환경의 변화”, 외교안보연구원 정책연구시리즈 2002
    · 7) 여기서 말하는 동남아시아에는 호주, 캄보디아, 피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뉴질랜드, 파푸아 뉴기니, 필리핀, 싱가포르, 북베트남, 베트남이 포함된다.
    · 8) http://www.kida.re.kr/woww/
    · 9) Donga,com 2004.04.28
    · 10) Mark Manyin, Emma chanlett-Avery, Richard Cronon, Larry Niksch, Bruce Vaughn. "Terrorism in Southeast Asia". CRS Report for Congress 2004.08.13
    · 11) http://jkim.mireene.com/bbs/zboard.php?id=favorites&no=87
    · 12) 주간한국. 2001.10.16
    · 13) http://www.inni-mission.pe.kr/aceh01.htm
    · 14) Dana R. Dillon, "Southeast Asia and the Brotherhood of Terrorism", the Heritage foundation. 2004.12.20
    · 15) http://user.chollian.net/~b1205/jaryoseel/Indonesia.htm
    · 16) `Bin Laden Connections To Philippine Terror Explored`, International Review. 2002. 02. 07
    · 17) http://en.wikipedia.org/wiki/2000_Al_Qaeda_Summit
    · 18) Yeo Weimeng. "The battle on terror`s second front". Asia Times Online 2005.03.01
    · 19) 뉴스위크 한국판. 2001.10.03
    · 20) 빈 라덴은 특히 필리핀과 인연이 있는데, 오랫동안 아부 사야프 그룹(Abu Sayaf Group)을 지원했으며, 함발리와 정기적으로 접촉한 모하메드 자말 칼리파(Mohammed Jamal Khalifa)는 빈 라덴의 처남이다
    · 21) http://en.wikipedia.org/wiki/Bojinka
    · 22) 요제프 보단스키 저, 최윤자, 이윤섭 공역 <오사마 빈 라덴> (서울: 도서출판 명상,2001) P.109
    · 23) Andrew Tan."The Threat of Terrorism in Southeast Asia: Threat and Responses" Council of Asian Liberals and Democrats
    · 24) Mark Manyin, Emma chanlett-Avery, Richard Cronon, Larry Niksch, Bruce Vaughn. "Terrorism in Southeast Asia". CRS Report for Congress 2004.08.13
    · 25) 국민일보 2002.10.17
    · 26) 조선닷컴 2003.08.06
    · 27) CNN.com 2004.02.26
    · 28) John Gershman, “Is Southeast Asia the Second Front?," Foreign Affairs, July/August 2002, Vol. 81, No. 4, pp. 60-74.
    · 29) 문광건 외. <뉴 테러리즘의 오늘과 내일>, (서울: 국방연구원,2002) P.211
    · 30) http://jkim.mireene.com/bbs/zboard.php?id=favorites&no=87
    · 31) 문광건 외. <뉴 테러리즘의 오늘과 내일>, (서울: 국방연구원,2002) P.207
    · 32) 뉴스위크 한국판 2004.04.07
    · 33) Dana R. Dillon, "Southeast Asia and the Brotherhood of Terrorism", the Heritage foundation. 2004.12.20
    · 34) ABC News Online 2005.01.11
    · 35) 문광건. <뉴 테러리즘의 오늘과 내일>, (서울: 국방연구원,2002) P.205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