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선사상-선정(禪定)에 관한 전문용어 정리

인도와 중국의 선사상에 대한 전문적인 용어들을 검토, 정리한 레포트. 선불교와 선학에서 사용되어지는 중요 핵심 용어 32개를 일목요연하게 여러 참고문헌을 통하여정리. 본문내용요약을 참조해주세요.
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8.01.02 최종저작일 2007.12
6P 미리보기
선사상-선정(禪定)에 관한 전문용어 정리
  • 미리보기

    소개

    인도와 중국의 선사상에 대한 전문적인 용어들을 검토, 정리한 레포트.
    선불교와 선학에서 사용되어지는 중요 핵심 용어 32개를 일목요연하게 여러 참고문헌을 통하여정리. 본문내용요약을 참조해주세요.

    목차

    1. 禪(jhāna, 싼쓰끄리트어 dhyāna) : 禪, 禪那, 靜慮, 思惟修
    2. 禪定(jhāna -samādhi 복합어)
    3. 三昧(Samādhi) - 定, 定慧, 三昧, 三摩地, 等持, 正受
    4. 定(Samādhi) 또는 등지(等持)
    5.止觀/覺觀(사마타, 비파사나와 śamatha-vipaśyanā/samatha-vipassanā : 止, 三摩他)
    6. 사띠(念 : smṛti / sati ) / 四念處(Cattāro satipaṭṭhānā)
    7. 삼파자나(正知 : saṃpajāna, sampajañña)
    8. 尋伺(vitarka-vicāra / vitakka-vicāraṇā) : 思惟分別
    9. 捨(upekkhā /upekṣā)
    10. 捨念淸淨(upeka-sati-parisudhi)
    11. 五蓋(pañca nivaraṇā )
    12. 四無色(Arūpasaññā-samāpatti)
    13. samāpatti : 定, 三摩鉢底, 等至
    14. 如實知見(yathabhutañāṇadassana)
    15. 不善法(akusala dhammā)
    16. 憂喜(somanassa -domanassāna)
    17. 苦樂(dukkhasukha)
    18. 增上心學(adhicitta)
    19. 業處(kammaṭṭhāna / karma-sthāna)
    20. 十遍滿(Kasiṇa)
    21. 파판짜(papañca)와 papañca-saññā-saṅkhā
    22. 쌍카(saṅkhā)
    23. 相(nimitta) / 定相 samādhi-nimitta
    24. 心一境性(cittaikāgratā, cittekaggatā)
    25. anussati: 佛隨/護念, Buddhānussati /法隨/護念,Dhammānussati /僧隨/護念, Sanghāussati /戒隨/護念, Silānussati
    26. 如理作意 : yonisomanasikāra /yoniśo-manaskāra
    27. 想受滅定(saññā vedayita nirodha) / 滅盡定(nirodha-samāpatti)
    28. 무상정(無想定 : asaṁjñā-samāpatti / asaññā-samāpatti)
    29. 오정심관(五停心觀)
    30. 分別(vikalpa)
    31. 行相(akara)
    32. yoga : 瑜伽
    <참고문헌>

    본문내용

    1. 禪(jhāna, 싼쓰끄리트어 dhyāna) : 禪, 禪那, 靜慮, 思惟修
    선은 빨리어 jhāna의 음사인 선나의 준말이다. jhāna는 선(禪), 선나(禪那), 선정(禪定), 명상, 정려(靜慮) 등으로 풀이할 수 있다. 선 이라는 개념은 인도에 아리아인이 침입하기 이전(BC 1300년경)부터 있었던 것으로 불교이전에 요가의 수행법(브라만brāhman과 아트만ātman을 인식하고 일치시키기 위한 수행법)으로..
    3. 三昧(Samādhi) - 定, 定慧, 三昧, 三摩地, 等持, 正受
    삼매는 Samādhi의 음역으로 마음을 집중하여 적정한 상태로 들어가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삼매를 통해 진리에 다다를 수 있는데 등지(等持), 또 정수(正受) ·정심행처(正心行處)으로 의역할 수 있다. 삼매는 원시 불교에서 설해지고 있지만 대승불교시대에 와서 일행삼매..
    5.止觀/覺觀(사마타, 비파사나와 śamatha-vipaśyanā/samatha-vipassanā : 止, 三摩他)
    止와 觀의 빠알리어는 Samatha와 Vipassanā이다. 일반적으로 Samatha는 ‘고요하다’라는 의미를 지닌 ‘sam’이라고 하는 어원으로 설명된다. 평온, 마음의 평온, calm(고요, 조용함, 잔잔함, 평온)이나 peace(평화)나 tranquility(침착, 차분함) 또는 serenity(淸明, 淸澄)등으로 英譯된다. 한역 止로 옮긴 이유는 止를 설하는 佛典에서..(중략)..viipassanā는 vi와 passanā로 나누어생각할 수 있다. vi가 가진 뜻은 ‘exactly(정확하게)’, ‘perfectly(완벽하게)’, inwardly(안으로), intrinsically(본질적으로)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passanā는..
    26. 如理作意 : yonisomanasikāra /yoniśo-manaskāra
    yoniso는 근원으로부터, 근본적으로, 현명하게, 적절하게, 순서에 맞게, 차례차례 등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참고자료

    · 1. 조준호,「초기불교경전에 나타난 수행에 관한 용어와 개념의 검토(Ⅰ)」, 『한국선학』제3호
    · 2. 전재성, 『빠알리語辭典』, 韓國佛敎大學出版社(1994:서울)
    · 3. 권오민, 『아비달마 불교』, 민족사(2003;서울)
    · 4. 조준호,「붓다는 수정주의(修定主義)를 버렸는가.」, 『한국선학』제11호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