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속미인곡` 연구

송강 정철의 <속미인곡>의 논의거리인 대화전개 방식에 관한 논문입니다. 기존 논의를 검토부터 논의 재정리까지 오랜 시간 걸려서 작성한 논문입니다. 송강 정철의 가사는 이미 당대 선인들로부터 그 성가를 높이 평가 받아왔다. 특히 많은 찬사를 받은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세편은 송강의 가사 중 손꼽히는 작품으로 문학사적 공헌은 오래전부터 입증되어왔다. 송강의 세편의 가사 문학작품 중 <속미인곡>은 가장 뛰어나다는 평을 받고 있다. 미인곡계의 두 작품인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은 여인의 목소리를 빌려 임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노래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속미인곡>은 <사미인곡>과 거의 같은 때에 창작된 작품으로 <사미인곡>을 짓고 난 다음에 된 것이다. <속미인곡>은 <사미인곡>의 후편으로 알려져 있으나, <속미인곡>이 지닌 가치는 실로 크다 말할 수 있다. <속미인곡>은 기존의 가사와는 달리 ‘대화체’라는 새로운 형식상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대화체’가 구체적인 화자와 청자 및 발화상황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속미인곡>의 작품 안에 등장하는 화자와 청자 그리고 발화상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속미인곡>의 작품 전반의 내용이해를 위해 기본적으로 선행되어져야 할 연구라 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속미인곡>의 연구는 많이 이루어진바 본고에서는 기존 논의들의 주장과 각 논의들이 가진 문제점을 검토해보고 이를 토대로 <속미인곡>의 구성상의 특징으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대화 단락은 어떻게 구분되어 지며, 그 단락이 전개되어 가는 양상은 어떠한지, 작품에 등장하는 화자들의 관계는 어떠한지 등을 살펴보고 <속미인곡>의 구성형식을 재정리해보고자 한다.
1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7.11.22 최종저작일 2007.01
13P 미리보기
`속미인곡` 연구
  • 미리보기

    소개

    송강 정철의 <속미인곡>의 논의거리인 대화전개 방식에 관한 논문입니다. 기존 논의를 검토부터 논의 재정리까지 오랜 시간 걸려서 작성한 논문입니다.

    송강 정철의 가사는 이미 당대 선인들로부터 그 성가를 높이 평가 받아왔다. 특히 많은 찬사를 받은 <관동별곡>, <사미인곡>, <속미인곡> 세편은 송강의 가사 중 손꼽히는 작품으로 문학사적 공헌은 오래전부터 입증되어왔다.
    송강의 세편의 가사 문학작품 중 <속미인곡>은 가장 뛰어나다는 평을 받고 있다. 미인곡계의 두 작품인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은 여인의 목소리를 빌려 임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노래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속미인곡>은 <사미인곡>과 거의 같은 때에 창작된 작품으로 <사미인곡>을 짓고 난 다음에 된 것이다. <속미인곡>은 <사미인곡>의 후편으로 알려져 있으나, <속미인곡>이 지닌 가치는 실로 크다 말할 수 있다. <속미인곡>은 기존의 가사와는 달리 ‘대화체’라는 새로운 형식상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대화체’가 구체적인 화자와 청자 및 발화상황을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속미인곡>의 작품 안에 등장하는 화자와 청자 그리고 발화상황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속미인곡>의 작품 전반의 내용이해를 위해 기본적으로 선행되어져야 할 연구라 할 수 있다. 이에 관한 <속미인곡>의 연구는 많이 이루어진바 본고에서는 기존 논의들의 주장과 각 논의들이 가진 문제점을 검토해보고 이를 토대로 <속미인곡>의 구성상의 특징으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대화 단락은 어떻게 구분되어 지며, 그 단락이 전개되어 가는 양상은 어떠한지, 작품에 등장하는 화자들의 관계는 어떠한지 등을 살펴보고 <속미인곡>의 구성형식을 재정리해보고자 한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송강 정철의 생애
    2.2. <속미인곡>의 대화구분과 전개방식
    2.2.1. 기존 논의의 검토
    2.2.2. 기존 논의의 문제점
    2.3. <속미인곡>의 대화구분과 전개방식의 재정리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2.2. <속미인곡>의 대화구분과 전개방식

    2.2.1. 기존 논의의 검토

    <속미인곡>은 그 서술방식이 화자 간의 대화체로 이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각 행의 화자가 누구인지 면밀히 밝혀보고자, 각 화자의 대화 구분에 앞서 <속미인곡>의 각 행에 번호를 부여한 뒤 대화의 전개에 따른 특징을 살펴보기로 하자.

    <續쇽美미人인曲곡>

    (1) 뎨 가 뎌 각시 본 듯도 뎌이고
    (2) 天텬上샹 白玉옥京경을 엇디야 離니別별고
    (3)  다 뎌 져믄 날의 눌을 보라 가시고
    (4) 어와 네여이고 내 셜 드러 보오
    (5) 내 얼굴 이 거동이 임 괴얌즉가마
    (6) 엇딘디 날 보시고 네로다 녀기실
    (7) 나도 님을 미더 군디 전혀 업서
    (8) 이야 교야 어러이 구돗디
    (9) 반기시 비치 녜와 엇디 다신고
    (10) 누어 각고 니러 안자 혜여니
    (11) 내 몸의 지은 죄 뫼티 혀시니
    (12) 하히라 원망며 사이라 허믈랴
    (13) 셜워 플텨 혜니 造조物믈의 타시로다
    (14) 글란 각 마오 친 일이 이셔이다
    (15) 님을 뫼셔 이셔 님의 일을 내 알거니
    (16) 믈  얼굴이 편실 적 몃 날일고
    (17) 春츈寒한 苦고熱열은 엇디야 디내시며
    (18) 秋츄日일冬동天쳔은 뉘라셔 뫼셧고
    (19) 粥쥭早조飯반 朝죠夕셕 뫼 녜와 티 셰시가
    (20) 기나긴 밤의 은 엇디 자시고
    (21) 님 다히 消쇼息식을 아므려나 아쟈니
    (22) 오도 거의로다 일이나 사 올가
    (23) 내  둘  업다 어드러로 가쟛 말고
    (24) 잡거니 밀거니 놉픈 뫼 올라가니
    (25) 구롬은니와 안개 므일고
    (26) 山산川쳔이 어둡거니 日일月월을 엇디 보며
    (27) 咫지尺척을 모거든 千쳔里리 라보랴
    (28) 하리 믈의 가  길히나 보쟈 니
    (29) 람이야 믈결이야 어둥졍 된뎌이고
    (30) 샤공은 어 가고 븬 만 걸렷니
    (31) 江강天텬의 혼쟈 셔서 디  구버보니
    (32) 님다히 消쇼息식이 더옥 아득뎌이고
    (33) 茅모簷쳠 자리의 밤듕만 도라오니
    (34) 半반壁벽靑쳥燈등은 눌 위야 갓고
    (35) 오며 리며 헤며 바니니
    (36) 져근덧 力녁盡진야 풋을 잠간 드니
    (37) 精졍誠셩이 지극야 의 님을 보니
    (38) 玉옥  얼굴이 半반이나마 늘거셰라
    (39) 의 머근 말 슬장 쟈 니
    (40) 눈믈이 바라 나니 말인들 어이며
    (41) 情졍을 못다야 목이조차 몌여
    (42) 오뎐된 鷄계聲셩의 은 엇디 돗던고
    (43) 어와 虛허事로다 이 님이 어 간고
    (44) 결의 니러 안자 窓창을 열고 라보니
    (45) 어엿븐 그림재 날 조 이로다
    (46) 하리 싀여디여 落낙月월이나 되야 이셔
    (47) 님 겨신 窓창 안 번드시 비최리라
    (48) 각시님 이야니와 구 비나 되쇼셔.


    총 96句의 48행인 <속미인곡>은 임과 이별한 여인의 사정과 임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대화체로 풀어나가는 구성형식을 취하고 있다. <속미인곡>에 등장하는 화자 수의 설정은 학자마다 이견이 있으나, 대체로 두 명의 화자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지금까지의 <속미인곡>의 구성형식에 관한 연구들을 살펴보면 많은 논의의 주장이 일치됨을 보이지 못한다. 본고에서는 <속미인곡>에 등장하는 화자를 갑녀와 을녀로 가칭하고 연구된 논의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참고자료

    · 김사엽, 『松江歌辭』, 문호사, 1959.
    · 김학성․권두환 편,『新編古典詩歌論』, 새문사, 2005.
    · 박금자․장소원․신지연 공저, 『언어예절』,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3.
    · 서영숙, 「<속미인곡>의 서술방식과 의미」, 『한어문교육』,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1999.
    · 이문규, 「<續美人曲> 小考」, 『한국고전시가작품론 2』, 집문당, 1995.
    · 田英鎭 編著, 『송강 가사(松江歌辭)-다산 시선(茶山詩選)』, 홍신문화사, 1995.
    · 정재호, 「續美人曲의 內容分析」,『韓國歌辭文學論』, 집문당, 1982.
    · 조세형. 「송강가사의 대화전개방식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90.
    · 崔台鎬, 『松江文學論考』, 역락, 2000.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