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고소설에 대해서

국문학 개론 고소설 중에서 영웅, 군담, 역사, 가정, 가문 소설에 대한 내용입니다.
26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7.06.27 최종저작일 2006.04
26P 미리보기
고소설에 대해서
  • 미리보기

    소개

    국문학 개론 고소설 중에서
    영웅, 군담, 역사, 가정, 가문 소설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Ⅰ. 古小說(고소설)
    1. 개념
    2. 명칭
    3. 출현 시기에 대한 논의
    4. 고소설의 형성과 전개과정
    5. 특징
    6. 무명 작자의 암초
    Ⅱ. 英雄小說(영웅소설)
    1. 英雄小說(영웅소설)의 개념
    2. 영웅소설의 유형에 따른 개념
    3. 영웅소설의 발생배경
    4. 영웅소설의 특징
    5. 대표작품
    Ⅲ. 軍談小說(군담소설)
    1. 군담소설의 정의
    2. 군담소설의 종류
    3. 군담소설의 특징
    4. 대표작품
    Ⅳ. 歷史小說(역사소설)
    1. 역사소설의 정의
    2. 역사소설의 배경
    3. 역사소설의 특징
    4. 대표작품
    Ⅴ. 가정소설
    1. 가정소설의 정의
    2. 가정소설의 분류
    3. 대표작품
    Ⅵ. 家門小說(가문소설)
    1. 가문소설의 개념
    2. 가문소설의 명칭과 창작목적
    3. 가문소설의 연원과 형성
    4. 구조 및 특징
    5. 대표작품

    본문내용

    Ⅰ. 古小說(고소설)
    1. 개념
    古小說(고소설)은 新小說(신소설)이 나오기 이전까지의 소설을 지칭한다. 고소설의 개념을 논의하자면 莊者(장자)가 말한 小說(소설)이라는 용어에서부터 출발하게 된다. <<莊者(장자)>>의 <外物篇(외물편)>을 보면“소설을 꾸며 높은 명성과 아름다운 명예를 구한다”고 한 것이 소설이란 말의 첫 出典(출전)이다. 이때의 ‘소설’은 상대방의 환심을 사려는 의도 아래 꾸며진 재담의 의미이고, 허튼 수작이나 자질구레한 이야기 따위의 잡문을 포함한다. 桓譚(환담)의 <引新論(인신론)>, 班固(반고)의 <漢書(한서)>, <藝文志(예문지)>에서 그러한 자취를 찾아볼 수 있는데, 어느 쪽이나 인신론의 차원을 벗어나지 않는다. 개념이 이러하니 그 범위는 詩話(시화)뿐만 아니라 地理書(지리서), 雜錄(잡록), 雜說(잡설), 才談(재담), 逸事奇聞(일사기문) 같은 것까지 두루 포함된다. 고려시대나 조선전기까지는 시화나 잡록, 잡설, 재담, 사기문 등을 모두 소설이라고 하였지만, 임진란을 전후로 하여 통속소설, 연의소설, 음희소설, 전기 등의 말이 종종 보이니, 이 시기에 소설이라는 용어가 정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근대의 갑오경장 이후 새로운 사조에 편승하여 소설이 창작되었는데, 새로운 소설 창작자들은 의식적으로 그들의 소설을 전대의 소설과 구별하기 위해 新小說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전대의 소설을 古代小說, 舊小說, 옛 소설 등의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다.

    참고자료

    · 정주동, 『고대소설론』형설출판사, 1984
    · 박태상, 「조선조 가정소설 연구-계모형·쟁총형 소설을 중심으로」, 연대 박사논문, 1989
    · 이수봉, 『가문소설연구』, 형설출판사, 1978
    · 유쾌제, 『한국 가정소설 연구』고려대 민족문화 연구소, 1988
    · 崔元植, 韓國近代小說史論, 創作社, 1986
    · http://www.seelotus.com
    · 권혁래, 조선후기 역사소설의 계보와 성격, 고전 산문의 계보적 연구, 국학자료원, 2001
    · 金起東, 韓國古典小說硏究, 敎學社, 1981
    · 徐大錫, 軍談小說의 構造와 意味,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5
    · 古典小說의 基礎硏究,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엮음, 太學社, 2001
    · 김대숙 「女人發福說話의 硏究」,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1988
    · 조동일, 민중영웅 이야기, 문예출판사, 1992
    · http://100.naver.com/100.nhn?docid=122944
    · 조동일, 영웅의 일생, 그 문학사적 전개 동아문화10집, 서울대 동아문화연구소, 1971
    · 정덕양, 영웅소설의 전개와 그 변모양상에 관한 연구
    · 임성래, 英雄小說의 有形硏究, 太學社, 1990
    · 김장동, 古典小說의 理論, 太學社,,1989
    · 鄭鉒東, 洪吉童傳硏究(民族文化社, 1999)
    · 金戊祚, 西浦小說硏究(螢雪出版社, 1976)
    · 金東旭, 春香傳 根源說話考(최현배선생 화갑기념논문집, 1954)
    · 張德順, 深靑傳의 民間說話的 試考(思想界 31, 1956)
    · 鄭鉒東, 梅月當 金時習 硏究(新雅社, 1965)
    · 李在秀, 金鰲新話考 : 韓國小說硏究(宣明文化社, 1969)
    · 國文學槪論 새문사 김광순 외 공저
    · 小說家 合殘叢小語 近取臂喩 以作短書 治身理家 有可觀之辭 (李選注 <文選> 31, 引新論)
    · 小說家者流 蓋出於稗官 街談巷語 道聽塗說者之所造也 (<漢書> 藝文志 諸子略小說十五家 千三百八十篇序
    · 정병설, 『완원회맹연 연구』, 태학사, 1998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학업에도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