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방부, 1989, 「휴전사 : 한국전쟁」,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 김영작 공저, 1998, 「한국전쟁과 휴전체제」,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집문당.
· 한홍구, 2003, 대한민국사, 한겨레신문사.
· K.S 타미야, 1993, 「판문점 일기」, 소나무.
· 김명기, 2003, <특집: 휴전 50년, 무엇이 문제인가? 휴전협정은 잘 지켜져 왔는가?-휴전협정 위반에 대하여는 햇볕정치와는 무관하게 즉각적인 대응조치를 취해야 한다>,「북한」2003년7월, 북한연구소.
· 김명기, 2003, <정전협정의 미래>,「통일한국」2003년7월, 평화문제연구소.
· 김보영, 정전회담 쟁점과 정전협정, 역사비평 2003 여름, 역사문제연구소.
· 최철영, 변화하는 남북관계와 정전협정의 대안, 역사비평 2003 여름, 역사문제연구소.
· 김성진, 2000, <시사초점: 외교다변화로 미국견제, 북·일 수교는 촉진>,「통일한국」2000년2월, 평화문제연구소.
· 김성진, 2000, <집중분석: 평화협정, 최대 난제로 부상>,「통일한국」2000년11월, 평화문제연구소 김성한, 2000,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방향과 평화협정의 내용>,「전략연구」2000년7월,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김용규, 2001, <특집: 휴전협정→평화협정 전환의 제문제/북, 평화협정 주장 그 속셈은 무엇인가?>,「북한」2001년7월, 북한연구소.
· 박동삼, 1998, <한반도 평화체제,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북한」1998년4월, 북한연구소.
· 박동삼, 2001, <특집: 휴전협정→평화협정 전환의 제문제-한국전쟁과 휴전협정의 의미>,「북한」2001년7월, 북한연구소.
· 박명림, 2004, <특집: 한반도 평화와 민주법학; 남북평화협정과 한반도 평화-잠정 초안의 원칙, 내용, 비전>, 「민주법학」제25호, 민주주의법학연구회.
· 박태균, 2003, <특집: 정전협정 50년, 불안한 평화-1950년대 미국의 정전협정 일부조항 무효선언과 그 의미>,「역사비평」2003년5월 여름호, 역사문제연구소.
· 박헌옥, 1995, <정전협정 그 이후: 북한의 정전협정파기공세와 평화협정 주장의 저의>,「북한」1995년7월, 북한연구소.
· 신준영, 1995, <북한의 평화협정대안, `새로운 평화체제`를 말한다 >,「말」1995년11월, 월간 말.
· 이철기, 2001,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정치․군사분야의 과제-평화 협정 체결과 국제적 보장 확보가 관건>,「통일한국」, 평화문제연구소.
· 정재돈, 2003, <창을 닫으며-주권국가의 길은 평화협정 체결부터>,「말」2003년7월, 월간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