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전자빔가속기를이용한오염부지의복원

본 연구에서는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오염부지의 현장외 복원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최근 폐수처리, 상수처리, 슬러지 처리, 배기가스 처리 등에 비효율적인 기존 기술의 대체기술로 활발하게 연구 및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는 전자빔 조사 공정을 오염토양의 복원에 활용하고자 한다. 전자빔 조사 공정에 의한 난분해성 유기 오염 물질로 오염된 부지의 신속한 정화가능성을 평가하고, 실용화 가능성이 있는 전자빔 조사 공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4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7.05.16 최종저작일 2007.01
44P 미리보기
전자빔가속기를이용한오염부지의복원
  • 미리보기

    소개

    본 연구에서는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오염부지의 현장외 복원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최근 폐수처리, 상수처리, 슬러지 처리, 배기가스 처리 등에 비효율적인 기존 기술의 대체기술로 활발하게 연구 및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는 전자빔 조사 공정을 오염토양의 복원에 활용하고자 한다. 전자빔 조사 공정에 의한 난분해성 유기 오염 물질로 오염된 부지의 신속한 정화가능성을 평가하고, 실용화 가능성이 있는 전자빔 조사 공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목차

    요약
    1. 제목
    2. 조사 배경, 목적
    3. 조사 내용
    4. 조사 결과

    1. 서론
    1.1 조사 배경 및 목적
    1.1 조사 내용 및 범위
    1. 오염부지 복원 기술 및 동향
    1.1 오염부지 복원 기술
    1.1 토양 복원기술의 동향
    1. 전자빔 가속기를 이용한 오염부지의 복원
    1.1 전자빔 가속기
    1.1 전자빔 가속기의 활용
    1.1 전자빔 조사 이론
    1.1 전자빔 가속기를 이용한 오염부지 복원 사례
    1.1 전자빔 조사 공정을 응용한 오염부지 복원 기술
    1.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제목

    전자빔 가속기를 이용한 오염부지의 복원기술 개발

    2. 조사 배경, 목적

    최근 국내에서 토양 및 지하수의 오염문제는 물 및 공기 오염문제에 이어 새로운 환경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1996년 1월부터 토양환경보전법이 시행됨에 따라 토양오염 조사 및 복원 사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나 다양하고 복잡한 토양오염문제를 종합적으로 다루기에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2001년 3월 토양환경보전법이 개정되면서 토양오염조사를 활성화 할 수 있는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최근에는 국내사간의 인수과정에서도 부지에 대한 토양오염조사를 실사의 중요한 분야로 인식하고 있으며, 도심에서의 재개발 사업시 부지내의 오염토양이나 매립폐기물로 인해 주민들의 민원이나 법적 분쟁이 증가 하고 있어, 사인간의 부지 거래 시에도 부지의 과거용도나 오염 여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는 등 토양오염문제에 대한 인식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국토가 좁은 우리나라는 가용토지의 제한으로 오염된 부지를 신속하게 정화하여 지하수 등의 2차 오염을 방지하고 그 부지를 재이용할 수 있는 복원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른 선진국의 토양오염 복원 기술 및 정책을 그대로 따라갈 것이 아니라 선진국의 경험을 최대한 활용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저비용, 고효율 처리기술의 개발, 적용이 시급하며 선진 외국기술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 정책적 뒷받침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오염부지의 현장외 복원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최근 폐수처리, 상수처리, 슬러지 처리, 배기가스 처리 등에 비효율적인 기존 기술의 대체기술로 활발하게 연구 및 실용화가 진행되고 있는 전자빔 조사 공정을 오염토양의 복원에 활용하고자 한다. 전자빔 조사 공정에 의한 난분해성 유기 오염 물질로 오염된 부지의 신속한 정화가능성을 평가하고, 실용화 가능성이 있는 전자빔 조사 공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참고자료

    · 1. 기준학, 토양정화기술 및 시장동향. 현대 VIP 리포트 제 26호, 1-23, 1999
    · 2. 김광수, 유도윤, 최희철, 정문경, 유류오염토양 현장복원기술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1998.
    · 3. 대구염색공단, 전자선가속기-TSBC를 이용한 염색폐수 처리기술 개발 고고자료, 방문조사
    · 4. 양해영, 전자빔 가속기를 이용한 유기화합물의 산화분해반응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영남대학교, 1998.
    · 5. 염익태, 안규홍,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In Situ 토양세척, 한국토양환경학회지, 2(2), 2-24, 1997
    · 6. 원양수, 한도흥, 박완식, Tatiana Stuchinskaya, 이홍승, 전자빔을 이용한 흐름반응기에서 Trichloroethylene/Air 분해, 한국대기환경학회지, 17(1), 97-104, 2001.
    · 7. 전병성, 토양환경보전 정책 방향, 환경관리공단, 토양복원에 관한 심포지움, 1002.
    · 8. 한국토양환경학회, 오염토양복원기술 및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1997.
    · 9. 환경부, 환경백서, 2002
    · 10. 김석구, 김이태, 정장식, 유영석, 지재성, 김영성,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한 오염부지의 현장외 복원기술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연구보고서, 2002.
    · 11. Abdul, A.S., and Gibson, T.L., Laboratory studies of surfactant-enhanced washing of polychlorinated biphenyl from sandy material, Environ. Sci. Technol., 25, 665-671, 1991.
    · 12. Anderson, W.C., Innovative Site Remediation Technology : Thermal Desorption, Volume 6. Washington D.C. : U.S. EPA, Office of Solid Waste and Emergency Response. EPA 542-B-93-011, 1993.
    · 13. Jafvert, C.T. Surfactant/cosolvents, Groundwater remediation technologies analysis (GWRTAC), pp 40, 1996.
    · 14. Borrely, S.I., Cruz, A.C., Del Mastro, N.L., Sampa, M.H.O., and Somessari, E.S., Radiation processing of sewage and sludge. A review, Progress in Nuclear Energy, 33, 3-21, 1998.
    · 15. Chmielewski, A.G., Tyminski, B., Iller, E., and Zimek, Z., Elentron-beam flue-gas treatment process upscaling, in Environmental applications of ionizing radiation, Ed. by Cooper et al., John Wiley & Sons, chap.12., 1998.
    · 16. Cooper, W.J., Alvarez, F., and Turner, G., High voltage environmental applications, Inc., Electron beam technology, Innovative technology evaluation report, EPA/540/R-96/504, 1997.
    · 17. Cooper, W.J., Curry, R.D., and Oshea, K.E., Environmental applications of ionization radication. John Whley & Sons, Inc., 1998.
    · 18. Cooper, W.J., Keacham, D.E., Nickelsen, M.G., Lin K., Ford, D.B., Kurucz, C.N., and Waite, T.D., The removal of TCE and PCE from aqueous solution using high energy electrons, Air & Waste, 43, 1358-1366, 1993.
    · 19. Dureaux, S.B., A compendium of cost data for environmental remediation technology, Los Alamos National Laboratory, LA-UR-96-2205, 1996.
    · 20. Gray, K.A., and Cleland, M.R. Environmental radiolysis for soil and sediment treatment : A review of chemistry, design, and economic issues. J. Adv. Oxid. Technol. 3(1), 22-36, 1998.
    · 21. Gray, K.A., Hilarides, R.J., Radiolytic treatment of dioxin contaminated soils, Radiat, Phys. Chem., 46, 1081-1084, 1995.
    · 22. Hidakam, H., Jou, H., Nohara, K., and Zhao, J.,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the hydrophobic pesticide permethrin in fluoro surfactant/titanium dioxide aqueous dispersions, Chemosphere, 25, 1589-1597, 1992.
    · 23. Hilarides, R.J. and Gray, K.A., Guzetta, J., Cortellucci, N., and Sommer, C., Radiolytic degradation of dioxin on soil : Optimal conditions and economic considerations, Environmental Progress, 13, 263-267, 1994.
    · 24. Hilarides, R.J. and Gray, K.A., Radiolytic degradation of 2,3,7,8-TCDD in artigicially contaminated soil, Environ. Sci. Technol. 28, 2249-2258, 1994.
    · 25. http://www.epa.gov/sw-846/txmain.htm, SW-846 On-Line Test Methods for Evaluating Solid Waste Physical/Chemical Methods.
    · 26. ICRU, Stopping powers for electrons and positron ICRU Report 37, International Comission on Radiation Units and Measurements, Bethesda, 1984.
    · 27. Kurucz, C.N., Waste, T.D., Cooper, W.J., and Nickelsen, M.G., Full-scale electron beam treatment of hazardous wastes - effectiveness and costs, Proceedings of the 45th Industrial Waste Conference, May 8-10, Indiana, USA, 1990.
    · 28. Lee, D.H., Cody, R.D., and Hoyle, B.L., Laboratory evaluation of the use of surfactants for ground water remediation and the potential for recycling them, Groundwater Monitoring & Remediation, 21, 49-57, 2001.
    · 29. Lee, M. and Fountain, J.C., Laboratory experments for a treatability study of surfactant to remediate organic pollutant (Non-aqueous phase liquid) in a contaminated zone, Environ. Eng. Res, 4(1), 1-11, 1999.
    · 30. Mckeown, J., Cleland, M.R., Lawrence, C.B., and Singh, A., Engineering studies for soil detoxification and sludge disinfection with the IMPELA accelerator, in Environmental applications of ionizing radiation, Ed, by Cooper et al., john Wiley & Sons, chap.35. 1998.
    · 31. Mŭĉka, V., Personal communication, Professor of nuclear sciences and physical engineering, Czech Technical University, 2002.
    · 32. NCRP, Radiation protectiondesign guidelines for 0.1-100MeV Particle accelerator facilities : 1977. National Counsil on Radiation Protection and Measurements, 1977.
    · 33. Nickelsen, M.G., Cooper, W.J., Lin, K., Kurucz, C.N., High energy electron beam generation of oxidants for the treatment of benzene and toluene in the prosence of radical scavengers, Wat. Res., 28(5), 1227-1237, 1994.
    · 34. Salimov, R.A. et al. BINP`s accelrators for environmental applications, in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