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민주주의]한국의 사이버 민주주의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연세대학교 교양수업 [대중문화의 이해] 중간 과제로 제출하여 좋은 성적을 받았던 리포트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1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04.26 최종저작일 2006.04
12P 미리보기
[전자민주주의]한국의 사이버 민주주의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소개

    본 자료는 연세대학교 교양수업 [대중문화의 이해] 중간 과제로 제출하여 좋은 성적을 받았던 리포트입니다. 많은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목차

    1. 서 론
    2. 인터넷과 민주주의
    3. 인터넷의 정치적 활용
    4. 정보제공형 전자민주주의
    5. 토론형 전자민주주의
    6. 결 론

    본문내용

    < 본문中 >
    그간 사이버 민주주의의 미래에 관한 연구는 인터넷에의 접속이 평등(equality), 권능(empowerment), 그리고 안락(ease)의 새로운 세계를 가져올 것이라는 낙관적 전망과(Luke 1998, 124) 이를 부정하는 숱한 경험적 사례들이 제시되는 과정을 거쳐왔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통해 적어도 ‘새로운 기술에 다원주의와 자유에 대한 잠재적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다하나 특별한 노력 없이 그러한 가능성이 현실화될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은 상당히 위험스러운 생각이라는’ (Barber 2000/2001, 2) 사실에 대한 합의는 얻어진 것으로 본다. 정보통신기술 자체가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거나 위협하지는 않는다. 중요한 것은 기술이 가지고 있는 참여적, 민주적 잠재성을 어떻게 극대화시킬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사이버 민주주의에 대한 논의는 정보통신기술의 특성과 이것이 민주주의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민주주의를 위해서 정보통신기술을 어떻게 이용할 것인가에 더 많이 고민하여야 할 것이다. 즉 사이버 공간 상에 어떻게 ‘공공건축물’(public architecture)을 만들어갈 것인가에 대해 보다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사이버 공간상에 대화, 상호접촉, 숙의, 교육, 참여 등을 조장하고 확산하는 ‘공공 건축물’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들에 대한 해답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즉 사이버 공간에서 제공되는 정보가 양적인 확장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까지 만족시킬 수 있는가? 사이버 정치참여와 현실공간의 정치참여와 같은 정치적 효능감을 제공하고 결과적으로 시민의 정치참여 확산을 가져올 수 있는가? 사이버 공간이 개인들의 일방적인 발언의 장이 아니라 공공문제를 토론하고 사회적 합의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공론의 장이 될 수 있는가? 인터넷의 확산이 개인의 고립과 사회적 단절이 아닌 다양하고 이질적인 요소들이 공존하는 사이버공동체의 구현이라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가?
    본 논문은 한국 경험을 중심으로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진단을 내리고 사이버 공공건축물을 만들기 위한 몇 가지 제안을 할 것이다. 제2장은 전자민주주의에 관한 이론적 논의로서 실질적 참여민주주의 구현을 가능케 하는 인터넷의 특성은 무엇이며, 인터넷을 활용한 전자민주주의의 모델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제3장에서는 한국사회의 인터넷 이용률과 정치적 활용실태를 살펴봄으로써 과연 인터넷 사용이 확산됨에 따라 인터넷의 정치적 영향력의 강화도 기대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정보제공형 전자민주주의 모델이 한국의 현실에서 얼마나 구현되고 있는지 그리고 한계와 해결의 노력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제5장은 토론형 전자민주주의의 현실에 대한 진단이다. 현재 사이버 공간이 숙의민주주의에서 추구하는 공공영역(public sphere)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는지 평가하고 공론의 장으로 기능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참고자료

    · 김형준 2003. “미디어와 인터넷 선거운동에 대한 평가.” 한국정치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회의 발표논문 『2002년 대선 평가와 차기 행정부의 과제』. 2003년 2월6일. 한국프레스센터.
    · 박선희 2003. “인터넷 언론의 16대 대선보도 분석: 《오마이뉴스》와 《프레시안》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재단 학술회의 『대선 미디어영향력 변화와 발전전략』 2003년 2월14일. 한국 언론재단.
    · 윤영민. 2000. 『사이버 공간의 정치』 서울: 한양대학교 출판부.
    · 최성모 편. 1998. 『정보사회와 정보화정책』서울: 나남.
    · 한국인터넷 정보센터 2003. 『인터넷 이용자수 및 이용행태 조사』
    · Arterton, Christopher 1987. Teledemocracy: Can Technology Protect Democracy?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 Corrado, Anthony & Charles Firestone eds. 1996. Elections in Cyberspace: Towards a New Era in American Politics, Nashington D.C.: Aspen Institute.
    · Davis, Richard 1999. The Web of Politics: The Internet’s Impact on the American Political System,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Elshitain, J. B. 1987. “Democracy and the QUBE Tube.” The Nation. August.
    · Hague, Barry N. & Brian D. Loader. 1999. Digital Democracy: Discourse and Decision-making in the Information Age. London: Routledge.
    · Luke, Timothy W. 1998. “The Politics of Digital Inequality: Access, Capability and Distribution in Cyberspace.” Chris Toulouse & Timothy W. Luke(ed), The Politics of Cyberspace.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 Newman, Bruce I. 1999. The Mass Marketing of Politics: Democracy in an Age of Manufactured Images. Thousand Oaks, CA: Sage.
    · Norris. Pippa. 2000. “Democratic Divide?” 미국정치학회 연례학술대회 발표논문. 8월31일-9월2일. Washington D.C..
    · Oldenberg, Ray 1989. The Great Good Place: Cafes, Coffee Shops, Community Centers, Beauty Parlors, General Stores, Bars, Hangouts, and How They Get You Through the Day. New York: Paragon House.
    · Rheingold, Howard 1993. The Virtual Community: Homesteading on the Electronic Frontier, Reading, MA: Addison-Wesley.
    · Riley, Thomas B. . 2001. The Riley Report (Feb.) www.rileyis.com/ report/index.html.
    · Rogers, Everett M. 1986.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New Media in Society, New York: Free Press.
    · Shenk, David. 1997. Data Smog: Surviving the Information Glut. New York: HarperCollins.
    · Westen, Tracy. 1998. “Can Technology Save Democracy?” National Civic Review(March) www. geser.net/westen.htm.
  • 자료후기

      Ai 리뷰
      자료의 품질이 높고, 전문적인 내용이 많아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지식판매자에게 감사드리며, 계속해서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