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장애인]중도장애인의 가족들이 갖는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중도장애인의 가족들이 갖는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1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6.04.14 최종저작일 2001.12
18P 미리보기
[장애인]중도장애인의 가족들이 갖는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소개

    중도장애인의 가족들이 갖는 스트레스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목차

    Ⅰ. 서 론

    Ⅱ. 가족의 어려움

    Ⅲ. 가족의 대처모델과 자원

    Ⅳ. 문제에 대한 대처전략

    Ⅴ. 결 론

    본문내용

    최근 삶의 중도에 혈압, 뇌출혈 등 순환기장애, 교통사고, 산업재해 등으로 인해 중도에 장애를 갖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래서 이들 가족들이 갖는 스트레스(어려움)에 대한 대처전략을 알아본다. 우선 어려움은 기본적인 육체적 부담이외에 재활과정에 나타나는 가족 개인의 활동제한, 경제적․사회적․정서적 어려움, 시간부족, 재활과정에 만나는 사람과의 의사소통 등의 문제가 있다.
    대처를 하기 위한 자원으로는 건강, 정서적․사회적 지원, 경제적 여유, 종교적 신앙 등이 있고 이외에 가족의 협력과 이해, 유머, 긍정적인 사고, 문제해결능력, 사회적 기술, 대인관계 능력, 전문가의 지지 등을 활용할 수 있다.
    대처전략으로는 배우자, 가족 구성원간의 정서적 협력, 친구, 이웃, 친척, 재활서비스기관 등의 사회적 지지, 상호 존중, 희망과 안정을 유지하려는 노력, 경제적 안정, 긍정적 사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위한 의사소통 등이 필요하다.
    이외에 중도장애인을 위해 가족이 최적의 재활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가족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다양한 대처전략과 프로그램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Ⅰ. 서 론


    장애는 발생 전에 조직적인 교육과 사회계몽 등으로 예방하고 발생시 조기에 최적의 치료와 재활서비스로 장애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장애발생시 개인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가족이 갖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대처하는 것도 중요한 요인이다.
    최근 산업재해, 교통사고, 각종 질환 등으로 선천적인 장애보다 중도에 장애가 발생하는 가족이 증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1,335,000명의 장애인 가운데 1,193,000명이 후천적 장애인이고 혈압, 뇌출혈 등 순환기 장애인이 195,000명으로 가장 대표적인 중도장애로 나타났다. 교통사고는 매년 21,000명에서 33,000명이고 산업재해는 20,000명에서 29,000명으로 보고되고 있다(중앙일보, 2001, 4, 19).
    중도장애인의 재활에는 의료적, 신체적, 심리적, 교육적, 직업적, 사회적, 가족적 등의 다양한 지원이 요구되지만 가족의 역할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교통사고 장애인의 사회․심리적 안정을 되찾기 위해서는 배우자 및 가족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가족의 역할과 책임 그리고 이해와 도움 그리고 가족간의 유대강화가 매우 필요하고 전문가의 적절한 조언이 요구된다(한국지체장애인협회, 1995).

    참고자료

    · 김용석, 김소자(2000). 앉아 있는 허수아비, 서울 : 도서출판 예가.
    · 오세철(1996). 뇌성마비아 부모의 양육문제에 대한 대처자원 및 대처전략 고찰,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제24호,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이영호(2000). 장애아동 부모 어떻게 도울 것인가, 서울 : 학문사.
    · 이재원(1989), 스트레스 유형 및 스트레스 대처 방략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 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정숙희(2000). 정신장애인의 가족들이 갖는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대구 : 대구재 활연구, 제9집. 대구광역시장애인재활협회.
    · 한국지체장애인협회(1995). 교통사고 장애인 사회복귀 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 : 한국지체장애인협회.
    · Barbarin, O. A.(1984). Hughes, D., & Chesier, M. A. Stress, coping and marital functioning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cance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7, 473-480.
    · Beresford, B. A.(1994). Easing the strain : assessing the impact of a Family Fund grant on mothers caring for a severely disabled child, Child : Care, Health and Development, 19.
    · Bowe, F. G.(2000). Birth to five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New York : International Thomson publishing Ins.
    · Brown, A., & Hepple, S.(1989). How parents cope. Hertford: Barnardo`s.
    · Cauble, A. E.(1988). Parental coping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innestota.
    · Gammon, E. A., & Rose, S. D.(1990). The coping skills training program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an experimental evaluation. Research on Social Work Practice. 1, 244-256.
    · Kasari, C., & Sigman, M.(1997). Linking parental perceptions to interactions in
    · young children with autism,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27, 39-57.
    · Kirk, S. A., Gallagher, J. J., & Anastasiow, N. J.(2000). Educating Exceptional Children. New York : Houghton Miffin Company.
    · Lavee, Y., Sharlin, S., & Katz, R(1996).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marital quality : An integrated mother-father model, Journal of family Issues, 17. 114-135
    · Lazarus, R. S., & Folkman, S.(1984). Coping and Adaptation, In Gentry, W. D.(ed.). Handbook of behavioural medicin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 Livneh, H.(1999). Psychosocial Adaptation to Heart Diseases : The role of coping strateg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Vol63,3, 24-30.
    · McCubbin, H., & Patterson, J.(1983). The family stress process : The double ABCX model of family adjustment and adaptation. In McCubbin, H., Sussman, M., & Patterson, J.(eds.), Advances and developments in family stress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Haworth.
    · McCubbin, M.(1989). Family stress and family strengths: A comparison of single-and two-parent families with handicapped children.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2. 101-110.
    · Naseef, R. A.(1988). What helps Familes of exceptional Children to cope successfull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mple. 10-21.
    · Roach, M. A., & Orsmond, G. I.(1999). Mothers and Fathers of Children with Down Syndrome: Parental Stress and Involvement in Childcare.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104, 433-439.
    · Russell, A.(1997). Individual and family factors contributing to mothers and fathers positive paren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1, 111-132.
    · Sloper, P., & Turner, S.(1993). Risk and resistance factors in the adaptation of parents of children with severe physical disability.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4. 167-188.
    · Thompson, R. J., Zeman, J. L., Fanurik, D., & Sirotkin-Roses, M.(1992). The role of parent stress and coping and family functioning in parent and child adjustment to Duchenne muscular dystroph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8. 11-19.
    · Turnbull, A., & Turnbull, H. R.(1997). Families professionals, andexceptionality : A special partnership(3rd ed.). Upper Saddle River, NJ : Merrill.
    · Webater, S. C.(1991). Strategies for helping families with conduct disordered children.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2. 1047-1062.
    · Westling, D. L.(2000). Teaching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New Jersey : Prentice-Hall.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