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신자유주의의 경제 문화적 분석
1.신자유주의와 국제관계 : 경제적 측면에서 신자유주의의 원동력은 금융자본이다. 세계적으로 금융자본은 생산(노동)자본보다 약 10배의 규모이며, 새로운 세계시장을 찾아나서는 과정에서 ‘신자유주의’와 ‘자국보호주의’는 충돌을 일으키며, 이것이 국제역학의 총체다.9) (1)신자유주의 주도국 : 기술혁신 주도국으로서 초기에는 보호주의를 통하여 자국 산업을 성장시킨 후, 시장개척을 위하여 신자유주의를 표방하는 영미계 국가들이 이에 해당한다. (2)신자유주의 피해 사례 : ①인도:2백년 전 식민지 인도는 영국에 의해 방적, 철강 산업 등이 쇠퇴함. 최근에는 IT, 금융자본의 투기장화. ②중국:공산품 수입이 강요당하여 식민지화, 현재는 위엔화와 금리 문제로 미국과 금융전쟁 중 ③브라질:브라질은 신자유주의 모델을 구축하는 실험장으로 사용됨. 브라질 국민의 3분의 2가 식량 부족에 시달리고, 알바니아 다음의 최저 임금국이 됨. ④맥시코:워싱턴 컨센서스를 충실하게 지킨 모범국으로 칭찬, 그러나 임금수준은 붕괴, 빈곤 증가, 외국자본 유입되었으나 투기자금임. ⑤러시아:1993년 유니세프(UNICEF)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에 인구의 25%가 최저생활수준, 새로운 지배층은 막대한 부를 벌어들임. ⑥칠레:신자유주의 성공 국가로 거론되나, 영국 구리회사들이 칠레의 수출액에서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빠뜨리고 있다. 이것은 의도적 왜곡이다.10)
2.신자유주의와 한국 경제위기(imf)의 원인11)
(1)신자유주의적 원인 ①세계 금융자본의 과잉 축적과 투기자본화 ②지구화와 WTO 체제, 투기자본의 이동자유 ③무분별한 시장방임과 성급한 OECD 가입(가입추진 94년 외채 520억 달러, 97년 1,592억 달러) (2)내부적 원인 ①정경유착형 경제발전모델 ②허술한 금융관리 체계(외채 파악부재) ③과도한 환율개입 ④노사관계 악화 ⑤경제보다 정치우선순위 풍토
· 1) 김균 , 하이에크와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나남출판, p.85
· 2) 김성구 , 경제위기와 신자유주의, 문화과학사, 1998, p.109
· 3) 장세진, 밀튼프리드먼과 시카고학파의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나남출판, p.139
· 4) 김석진, 박민수, 세계화와 신자유주의의 비판을 위하여, 공감, 1997, p.13
· 5) 손호철, 신자유주의 시대의 한국정치, 푸른숲, 1999, p.361
· 6) 김성구, 심용보, 신자유주의와 공공부문 구조조정, 문화과학사, 2002, p.3
· 7) 김영호, 자유주의 운동의 이론과 정책, 시대정신, 통권 29호, 2005, p.12
· 8) Sadwings,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한겨레, 2001.5.15.
· 9) 프랑스와 셰네 지음, 김석진 옮김, 세기말 자본주의의 전망을 둘러싼 토론에 부쳐, 공감, 1997, p.32
· 10) 노암 촘스키 지음, 강주현 옮김, 그들에게 국민은 없다, 모색, 2000, p.27
· 11) 강기춘, IMF체제하의 한국경제, 제주대 경제학과 학술논문, 1998
· 12) 정무권, 국민의 정부의 사회정책, 세계화와 신자유주의, 나남출판, p.319
· 13) 하춘광, 신자유주의 이론과 지역복지정책, 동국대학교 대학원 동원논집, 2001. p.125
· 14) 김주현, 한국은 복지사회인가, 한국사회 이해의 새로운 패러다임, 나남출판, 2004, p.25
· 15) 김민경, 한국복지의 재조명, 현대윤리, 2005, p.67
· 16) 강내희, 신자유주의와 문화, 문화과학사, 2000, p.85
· 17) 이성형, 신자유주의의 빛과 그림자, 라틴아메리카의 정치와 경제, 한길사, 1999, p.125
· 18) 킴무디, 사회진보를 위한 민주연대 옮김, 신자유주의와 세계의 노동자, 문화과학사, 1999, p.15
· 19) 이상우 지음, 한국의 신자유주의적 교육개혁에 대한 비판적 고찰, 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사회전공, 2001, p.80
· 20) 천보선, 김학한, 신자유주의와 한국교육의 진로, 한울, p.270
· 21) 권영성, 헌법학 원론, 법문사, 1998, p.344
· 22) 김민경, 주식회사 업무감독기관의 지배구조 선진화 방안, 2005, p.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