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중서, 『역사와 인간』, 작가, 2001.
· 김치수, 「채만식의 유고 - 소년은 자란다」, 『한국소설의 공간』, 열화당, 1976.
· 김우종, 『한국현대소설사』,성문각, 1987.
· 김윤식, 「채만식의 문학세계」, 작가론 총서 『채만식』김윤식 편, 문학과지성사, 1984.
· 김윤식ㆍ 김현공저, 『한국문학사』,민음사, 1979.
· 김치수, 「채만식의 유고」『문학과지성』, 1972.
· 곽종원, 『풍자와 자조 - 채만식론』 한국단편문학대계 3권, 삼성출판사, 1975.
· 권영민, 「카프시대 계급문학 운동의 성격」, 『한국민족문학론연구』, 민음사, 1991.
· 방민호, 『채만식 중ㆍ 단편 대표소설 선집』, 다빈치, 2000.
· 송민호, 『일제말 암흑기 문학연구』, 새문사, 1991.
· 이래수, 『채만식 소설연구』, 이우출판사, 1986.
· 염무웅, 「식민지적 민족 현실과의 대결」, 『채만식』, 지학사, 1985.
· 염무웅, 「8․15 직후의 한국문학」, 『민중시대의 문학』, 창작과 비평사, 1979.
· 정현기, 「1930년대 소설개관」, 『1930년대 민족문학의 인식』, 한길사, 1990.
· 조창환, 『해방전후 채만식 소설연구』,태학사, 1997.
· 채만식, 『소년은 자란다』, 정음사, 1972.
· 채만식, 「낙조」, 『잘난사람들』, 민중서관, 1948.
· 최원식, 『채만식의 역사소설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1976.
· 홍기삼, 「채만식론」, 『상황문학론』, 동화출판사, 1974.
· 황국명, 『채만식소설연구』, 태학사, 1998.
· 황한식,「미군정하농업과 토지개혁정책」,강만길 외(편),『해방전후사의 인식2』, 한길사, 1985.
· <참고논문>
· 구중서, <한국소설의 전통연구 - 리얼리즘 맥락을 중심으로>(중앙대 박사학위논문, 1985)
· 강봉기, <채만식연구-30년대 풍자소설을 중심으로>(서울대대학원 석사논문, 1977)
· 김인환, <희극적 소설의 구조원리>(고려대대학원 박사논문, 1981)
· 민현기, <채만식연구-풍자소설을 중심으로>(서울대대학원 석사논문, 1977)
· 박천화, <채만식 비평가연구>(중앙대대학원 석사논문, 1986)
· 이훈, <채만식소설연구>(서울대대학원 석사논문, 1981)
· 장양수, <채만식의 민족주의 문학연구>(동아대대학원 박사논문, 1987)
· 한지현, <리얼리즘 관점에서 본 「탁류」 연구>(연세대대학원 박사논문, 19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