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세포생물학]신경세포의 활성의존성 생존과 Nitric Oxide

신경세포의 활성의존성 생존과 Nitric Oxide
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11.22 최종저작일 1997.01
9P 미리보기
[세포생물학]신경세포의 활성의존성 생존과 Nitric Oxide
  • 미리보기

    소개

    신경세포의 활성의존성 생존과 Nitric Oxide

    목차

    서론
    Nitric oxide 연구의 약사 (略史)
    신경세포의 활성 의존성 생존 (activity-dependent survival)
    Calcium에 의한 신경세포 유전자 발현 조절
    NO: calcium에 의한 ras 활성화의 매개물질
    신경세포의 활성 의존성 생존에서의 NO의 역할은 ?
    References

    본문내용

    1970년대 초 David Hubel과 Torsten Wiesel (1981년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수상)은 고양이의 특정 성장기간 동안 한쪽 눈을 가렸을 때 대뇌 visual cortex의 ocular dominance column의 발생이 영구적으로 가리지 않은 눈에 해당되는 column으로 shift되는 현상을 발표하였다 (Hubel and Wiesel, 1970). 이 현상은, 시신경으로부터 synaptic input을 받는 thalamus의 lateral geniculate nucleus (LGN) 신경세포의 axon terminal이 visual cortex의 layer 4로 synapse를 형성할 때 시각 자극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이며, 이 과정에서 ligand/voltage-gated calcium channel인 NMDA-type glutamate 수용체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이 밝혀졌다. 그 후 다른 신경조직에서도 신경활성 (neural activity: synaptic neurotransmission과 ion channel들의 활성화)이 발생 및 세포 생존유지에 있어 중요한 조절인자임이 많이 보고되었고, 신경과학자들은 이 현상을 신경계의 활성 의존성 현상 (activity-dependent event)이라 부르고 있다 (reviewed in Shatz, 1991) 신경계 발생과정 중 또는 발생 완료 후의 많은 현상들 (예: 세포 분화, neurite outgrowth, axonal pathfinding, 세포 생존유지, synaptogenesis와 remodeling을 포함한 synaptic plasticity, neuronal injury 후의 repair 등)이 신경세포의 활성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총설에서는 신경세포의 생존에서의 신경활성의 역할에 대한 최근까지의 연구 결과 및 Nitric oxide (NO)의 역할에 대한 최근의 가설을 중심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참고자료

    · Aoki, C., Fenstemaker, S., Lubin, M., and Go, C. G. (1993) Brain Res. 620: 97-113.
    · Bailey, C. H., Bartsch, D., and Kandel, E. R. (1996) Proc. Natl. Acad. Sci. U. S. A. 93: 13445-13452.
    · Bito, H., Deisseroth, K., and Tsien, R. W. (1996) Cell 87:1203-1214.
    · Bito, H., Deisseroth, K., and Tsien, R. W. (1997) Curr. Opin. Neurobiol. 7: 419-429.
    · Bredt, D. S. and Snyder, S. H. (1994) Neuron 13: 301-313.
    · Dawson, T. M. and Dawson, V. L. (1996) Annu. Rev. Med. 47: 219-227.
    · Deisseroth, K., Heist, E. K., and Tsien, R. W. (1998) Nature 392:198-202.
    · Farinelli, S.E., Park, D. S., and Greene, L. A. (1996) J. Neurosci. 16: 2325-2334
    · Farnsworth, C. L., Freshney, N. W., Rosen, L. B., Ghosh, A., Greenberg, M. E., and Feig, L. A. (1995) Nature (London) 376: 524-527.
    · Finkbeiner, S. and Greenberg, M. E. (1996) Neuron 16:233-236.
    · Finkbeiner, S., Tavazoie, S. F., Maloratsky, A., Jacobs, K. M., Harris, K. M., and Greenberg, M. E. (1997) Neuron 19: 1031-1047.
    · Gallo, V., Kingsbury, A., Balazs, R., and Jorgensen, O. S. (1987) J. Neurosci. 1987 7: 2203-2213.
    · Ghosh, A., Carnahan, J., and Greenberg, M. E. (1994) Science 263: 1618-1623.
    · Gonzalez-Zulueta, M., Yun, H.-Y., Dawson, V. L. and Dawson, T. M. (1997) Soc. Neurosci. Abstr. U. S. A. 252.7.
    · Huang, Z., Huang, P. L., Panahian, N., Dalkara, T., Fishman, M. C., and Moskowitz, M. A. (1994) Science 265:1883-1885.
    · Hubel, D. H. and Wiesel, T. N. (1970) J. Physiol. 206: 419-436.
    · Koike, T. and Tanaka, S. (1991) Proc. Natl. Acad. Sci. U. S. A. 88: 3892-3896.
    · Kuzin, B., Roberts, I., Peunova, N., and Enikolopov, G. (1996) Cell 87: 639-649.
    · Moncada, S. and Higgs, A. (1993) New Engl. J. Med. 329: 2002-20012.
    · Lander, H. M., Hajjar, D. P., Hempstead, B. L., Mirza, U. A., Chait, B. T., Campbell, S., and Quilliam, L. A. (1997) J. Biol. Chem. 272:4323-4326.
    · Lander, H. M., Ogiste, J. S., Pearce, S. F. A., Levi, R., and Novogrodsky, A. (1995) J. Biol. Chem. 270: 7017-7020.
    · Lev, S., Moreno, H., Martinez, R., Canoll, P., Peles, E., Musac-chio, J. M., Plowman, G. D., Rudy, B., and Schlessinger, J. (1995) Nature (London) 376, 737-745.
    · Nathan, C. (1992) FASEB J. 6: 3051-3064.
    · Nathan, C. and Xie, Q. W. (1994) Cell 78: 915-918.
    · Nelson, R. J., Demas, G. E., Huang, P. L., Fishman, M. C., Dawson, V. L., Dawson, T. M. and Snyder, S. H. (1995) Nature 378: 383-386.
    · Nelson, R. J., Kriegsfeld, L. J., Dawson, V. L., and Dawson, T. M. (1997) Front. Neuroendocrinol. 18: 463-491.
    · ...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제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과제 제출일이 얼마 남지 않아 시간이 부족했는데, 이 자료 덕분에 과제를 제출 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