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LD
GOLD 등급의 판매자 자료

[신자유주의]아시아의 경제위기와 자유화 및 사회적 자본

아시아의 경제위기와 자유화 및 사회적 자본
2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11.08 최종저작일 2005.11
23P 미리보기
[신자유주의]아시아의 경제위기와 자유화 및 사회적 자본
  • 미리보기

    소개

    아시아의 경제위기와 자유화 및 사회적 자본

    목차

    1. 문제의 제기

    2. 신자유주의의 생성, 전개, 그리고 양면성

    3. 신자유주의의 `수동혁명`?: 아시아 국가와 사회의 대응

    4. 결론

    본문내용

    경제위기를 계기로 동아시아의 국가와 사회가 거대한 전환의 소용돌이속에 놓여 있다. `동아시아 기적`을 배경으로 하였던 발전국가의 신화가 무너져내리고 포스트 발전국가의 앞날은 예측할 수 없는 불확실성으로 표현된다. 1997년 이후 진행되고 있는 경제위기의 원인을 둘러싼 많은 논의가 있었지만 발전국가의 유제인 크로니즘과, 신자유주의의 압박속에서 고삐풀린 망아지처럼 날뛰기 시작한 시장의 무부분별함이 맞물리면서 현재의 위기가 조성되었다는 데에 대부분 합의한다.
    동아시아에 대한 신자유주의의 이념은 1980년대 초, 중반 이 지역내 경제위기를 계기로 그 위력을 떨치기 시작하였다. 이때 영미형 신자유주의의 기원은 1970년대초 미국이 `국가의 실패`에 따른 경제위기로 자본통제를 기조로 하였던 브레튼우즈 질서를 깨기 시작하면서부터였다. 자국의 금융기관과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취해진 미국의 자본자유화 조치는 1982년의 외채위기, 1987년의 주식시장 붕괴 등을 거치면서도 전지구적 수준에서 경제자유화, 금융자유화를 이끌었다. 그것은 2차 대전 직후 금융자본에 대한 통제에 합의하였던 `제한적 자유주의`(embedded liberalism)의 퇴각이자 자유방임적 신자유주의의 등장이었다. 이로써 제한적 자유주의 시기에 구축되었던 국제적 수준에서의 사회적 자본이 파괴되면서 효율성과 경쟁력을 위한 `바닥으로의 경주`가 시작되었다.

    참고자료

    · 김성구. 2000. "시민운동의 구조조정정책과 4.13총선," 『사회진보연대』4월.
    · 박은홍·김지훈. 1999. "동남아 경제성장의 `결빙`과 금융위기: 타이와 인도네시아 사례를 중심으로," 『동남아시아연구』 제8호, 한국동남아학회.
    · 박은홍. 1999. "발전국가론 재검토: 이론의 기원, 구조, 그리고 한계," 『국제정치논총』 제39집 3호.
    · 박은홍. 2000. "구조조정과 민주주의: 이론과 경험," 『한국정치학회보』34집 2호.
    · 박은홍. 2000. "구조조정의 정치경제," 국제정치경제연구회 편. 『20세기로부터의 유산』, 서울: 사회평론.
    · 백창재. 1999. "국제금융의 세계화와 국가주권," 백광일·윤영관 편. 『동아시아:위기의 정치경제』, (서울: 서울대출판부).
    · 손 열. 1999. "일본 금융위기의 길," 백광일·윤영관 편. 『동아시아: 위기의 정치경제』, (서울: 서울대출판부).
    · 스트레인지, 수잔. 1997. "카지노 자본주의," 박건영 외 편역. 『국제관계론강의 2』, (서울: 한울)
    · 조희연. 2000. "한국 시민단체(NGO)의 역사, 현황과 전망," 김동춘 외, 『NGO란 무엇인가』, 서울: 아르케.
    · Aspinall, Edward. 1999. "The Indonesian Student Uprising of 1998," Arief Budiman, Barbara Hotley and Damien Kingsbury eds. Reformasi: Crisis and Change in Indonesia, (Clayton: Monash Asia Institute).
    · Clarke, Gerard. 1998. The Politics of NGOs in South-East Asia: Participation and Protest in the Philippines, (London:Routledge).
    · Cole, David and Betty Slade. 1996. Building a Modern Financial System:The Indonesian Experience, (Melbourne, Austral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 Eldridge, Philip J. 1995. Non-Government Organizations and Democratic Participation in Indonesia, (Kuala Lumpur: Oxford University Press).
    · Ford, Michele. "Challenging the Criteria of Significance: Lessons from Contemporary Indonesian Labour History," forthcoming article.
    · Gomez, James. 2000. "A Political Evaluation of the Asian Crisis: Prospects for Democracy," Johannen, Uwe, Jurgen Rudolph, and James Gomez. 2000. The Political Dimensions of the Asian Crisis, (Singapore: Select Books).
    · Hadiz, Vedi R. 2001. "New Organizing Vehicles in Indonesia: Origins and Prospects," Jane Hutchison & Andrew Brown eds. Organizing Labour and Globalising Asia, (London and New York:Routledge).
    · Jomo, K.S. 2000. "Crisis and the Development State in East Asia," Richard Robison et al. eds. Politics and Markets in the Wake of the Asian Crisis, (London: Routledge).
    · Johannen, Uwe, Jurgen Rudolph, and James Gomez. 2000. The Political Dimensions of the Asian Crisis, (Singapore: Select Books).
    · MacIntyre, Andrew. 1999. "Political Institutions and the Economic Crisis in Thailand and Indonesia," T.J. Pempel ed. The Politics of the Asian Economic Crisis, (Ithaca and London: Cornell University Press).
    · Manzetti, Luigi. 1993. "The Political Economy of Privatization through Divesture in Lesser Developed Economies," Comparative olitics, vol.25, no.4.
    · O`Donnell, Guillermo and Philippe C. Schmitter. 1986. Transitions from Authoritarian Rule, (Baltimore and London: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 Prudhisan, Jumbala. 1998. "Thailand Constitutional Reform Amidst Economic Crisis" Southeast Asian Affairs, (Singapore: ISEAS).
    · Przeworki, Adam. 1988. "Democracy as Contigent Outcome of Conflicts," Jon Elster and Rune Slagstad eds. Constitutionalism and Democracy, (Cambridge: Cambridge Univ. Press).
    · Pasuk Phongpaich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내용이 풍부하고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아 매우 만족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