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문헌>
· 1. 단행본
· 김병렬, 『독도냐 다케시마냐』, (서울:다다미디어, 1996)
· 이근수․성채기,『세계분쟁의 양상과 전망』(서울:국방연구원, 1994)
· 이종학, 『한반도의 抑止戰略理論』, (서울:형설출판사, 1979)
· 이한기, 『한국의 영토』, (서울:서울대학교 출판부, 1969)
· 임덕순, 『정치지리학원론』, (서울:일지사, 1977)
· 정갑용․Jon M. Van Dyke․주문배,『독도영유권에 관한 국제법적 쟁점 연구』, (서 울: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4)
· 2. 논문․논설
· 김명기,“12해리 영해선포와 대한해협”,『국제문제』, (서울:극동문제연구소, 1977)
· 김석현, “일본의 경제수역선포에 대한 한국의 대응”,『수산계』,1996
· 김현수, “독도의 해양법상 지위”,『해양전략』, 제93호, (서울:해군대학, 1996)
· 박관숙,“獨島의 법적 지위”,『국제법 논총』, 제1권, 제1호, (서울:공화출판사, 1975)
· 박유봉, “독도 영유권 분쟁에 대한 한국의 대응”,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1998)
· 배진수, “동아시아 잠재적 분쟁지역 및 분쟁양상”,『국방학술논총』제11집 (1) (서 울:한국국방연구원, 1997)
· ______, “세계의 도서영유권 분쟁사례와 독도”,『국제정치논집』, 제38집 2호, (서 울:한국국제정치학회, 1998)
· 신용하, “독도의 100문 100답”,『신동아』, 5월호, 2000
· 유철종, “獨島와 동북아 해양 질서의 향방”,『WIN』, 5월호, 1996
· ______, “동북아 해양 질서와 獨島 영유권 분쟁”,『동북아』, 제3호, 1996
· 윤병익, “독도의 영유권에 관한 법적 연구”,(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4)
· 윤정석, “일본은 왜 말썽인가?”,『신동아』, 7월호, 1978
· 이시영,“독도 영유권 분쟁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최장근, “독도 영토의 해결방안 무엇인가”,『통일로』, 제92호, 1996
· 3. 기타
· 1952년 4월 25일자 일본측 각서, 자료집
· 국회사무처 법제예산실, 『독도문제』, 예산 정책 참고 자료 96-03
· <외국문헌>
· 1. 일본
· 田中薰 監修,『世界地圖帳』,東京: 平凡社, 1963
· 2. 서양
· Alan J. Day, Border and Territorial Disputes (Harlow:Longman, 1982)
· Charles S. Gochman & Russell J. Leng, "Militarized Disputes, Incedents, and Crises:Identification and Classification," (International Interactions, Vol.14 No.2 (1988)
· Gary Goertz & Paul F. Diehl, "A Territorial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System,"International Interactions, vol,15. No.1 (1988)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Territorial Changes and International Conflict (New York:Routledge, 1992)
· James E. Dougherty and Robert L. Pfaltzgraff, contending Theories of International Realations (New York:Harper & Row, 1990)
· Lewis A. Coser, The Function of Social C<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