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교육심리학] 개념형성과 문제해결

개념형성과 문제해결에 관한 리포트
12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06.03 최종저작일 2004.10
12P 미리보기
[교육심리학] 개념형성과 문제해결
  • 미리보기

    소개

    개념형성과 문제해결에 관한 리포트

    목차

    1. 개념의 형성
    1) 개념(concept)의 정의와 기능
    (1) 정의
    (2) 기능
    2) 고전적 개념과 모호 개념
    (1) 고전적 개념 - 정의적 특성
    (2) 모호 개념(Fuzzy concept)
    ① 원형(prototype)
    ② 본보기(exemplars)
    (3) 학급에서 개념을 효과적으로 가르치기 위한 전략들
    3) Edna Heidbreder의 개념학습에 대한 실험의 시사점
    4) Bruner, Goodnow & Austin의 개념학습에 대한 실험(1956) - 가설-검증 이론
    (1) 고전적 입장에서 개념학습, 개념획득을 연구
    (2) 개념형성과정에 사용되는 전략
    ① 수용방법(reception method)
    ② 선택방법(selection method)
    (3) 개념형성의 규칙
    ① 접속․결합개념(conjunctive concept)
    ② 분리․비결합개념(disjunctive concept)
    ③ 관계개념(relational concept)
    (4) 개념형성에 대한 실험 결과

    2. 문제해결
    1) 문제와 문제해결의 의미
    (1) 문제
    (2) 문제 해결
    2) 문제의 유형
    (1) 잘 구조화된 문제들(Greeno, 1978)
    ① 배열 문제 (arrangement problems)
    ② 구조의 귀납(inducting structure)
    ③ 변형 문제 (transformation problems)
    (2) 잘 구조화되지 않은 문제
    ① 선택적 부호화(selective encoding)
    ② 선택적 결합(selective combination)
    ③ 선택적 비교(selective comparison)
    (3) 쟁점
    * 문제해결의 단계(IDEAL) (Bransford & stein, 1984)
    3) 문제표상 표상 (Define goals and represent the problem)
    (1) 문제를 어떻게 지각하고 표상하느냐
    (2) 적절한 표상의 조건(Mayer & b., 1992)
    (3) 부화(Incubation)
    4)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Explore possible strategies)
    (1) 행동주의의 시행착오(Trial and Error)
    (2) 형태심리학의 통찰(Insight)
    (3) 연산법(Algorism)
    (4) 발견법(Heuristic)
    ① 수단-목표분석(means-ends analysis)
    ② 유추에 의한 사고(analogical thinking)
    ③ 전진작업 전략(working-forward strategy)
    ④ 후진작업 전략(working-backward strategy)
    5) 문제 해결에 장애가 되는 요인들
    (1) 기능적 고착(functional fixedness)
    (2) 반응 갖춤새(response set) =mental set
    (3) 융통의 중요성

    본문내용

    1) 개념(concept)의 정의와 기능
    (1) 정의
    개념은 아이디어, 물체, 사람, 또는 경험을 집단별로 묶은 범주 범주(category) : 같은 성질의 것이 딸려야 할 부류 또는 범위로서 사물의 개념을 분류할 때 가장 기본적이고 보편적인 최고의 유개념로서, 이 범주에 속하는 구성원들은 일정한 속성들을 공유한다. 좀더 쉽게 우리가 관찰한 것을 어떤 기준에 따라서 비슷한 것끼리 분류를 하고, 거기에 이름을 붙인 추상적인 용어가 개념이다.
    (2) 기능
    ① 범주화(categorization)를 통한 인지적 절약(cognitive economy) 엄청난 양의 정보를 손쉽게 다룰 수 있는 크기의 단위로 조직해 주는 기능.
    ② 지각적 정보와 비지각적 정보를 연결.
    주어진 정보 이상의 것을 알게 해주는 추론기능.
    ③ 개념들이 조합되어 복합개념과 복합 사고를 형성.

    2) 고전적 개념과 모호 개념
    (1) 고전적 개념 - 정의적 특성
    “개념 X를 안다는 것은 X에 속하는 사례들이 가지고 있는 공통적인 특성들을 안다는 것이다.” 어떤 개념에 속하는 모든 사례들은 그러한 특성들을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하며, 그러한 특성을 가진 사례들은 반드시 그 개념의 범주에 속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념에 관한 규정적 속성 이론은 우리가 핵심적 특징들에 의해 구체적인 사례들을 알아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참고자료

    · 교육심리학의 이해, 신명희 외 공저, 학지사, 1998.
    · 교육심리학, 임창재 저, 학지사, 1995.
    · 교육심리학, 김아영 외 공역, 학문사, 2001.2.제3판.
    · 교육심리학의 이해, 박아청, 교육과학사, 1999
    · 교육심리학-수업을 위한 심리학적 원리와 적용, 강영하 외 공역,아카데미프레스, 2004
    · 교사를 위한 교육심리학, 강승희 외 공저 , 서현사, 2004
    · 현대의 사회과교육, 차경수 저, 학문사, 1996
    · http://www.aistudy.com/psychology/thinking_oh.htm#_bookmark_20734e0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