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한중일의 음식문화 비교

레포트에 관해서는 점수를 정말 안 주시던 교수님이셨는데 이 레포트 A 받았습니다-^^
2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05.18 최종저작일 2004.10
24P 미리보기
한중일의 음식문화 비교
  • 미리보기

    소개

    레포트에 관해서는 점수를 정말 안 주시던 교수님이셨는데
    이 레포트 A 받았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각 나라의 음식 문화적 특색
    1) 중 국
    2) 한 국
    3) 일 본
    2. 한국, 중국, 일본의 음식문화 비교
    1) 쌀 주식문화
    2) 감칠맛의 문화
    3) 젓가락의 사용
    4) 떡
    5) 곡류를 발효시킨 술
    6) 유제품 결여.
    7) 대두(大豆)의 발달
    8) 면
    3. 각 나라의 특색 음식
    (1) 중국의 음식
    1) 지역적 특색 음식
    2) 중국의 차(茶)
    3) 북경오리구이
    4) 제비집 요리
    (2) 한국의 음식
    1) 간식 및 음료
    2) 불고기
    3) 김치
    4) 비빔밥
    (3) 일본의 음식
    1) 스시
    2) 돈부리
    3) 사시미
    4) 지역별 음식 특징

    Ⅲ. 결 론

    Ⅳ. 느 낀 점

    본문내용

    Ⅰ.서론

    먹고살기에 빠듯했던 옛날과 달리 어느 정도 생활이 넉넉해지면서, 우리의 관심은 내가 늘 생활하는 지역이외의 지역으로 옮겨가기 시작했다. 이 중에서도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음식문화에 더욱 더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세계의 음식은, 물론 그 나라에 가서 먹어보는 것이 더 좋겠지만, 직접 그 나라에 가지 않고도 그 음식을 경험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예로, 우리나라에는 이탈리아 음식 전문점은 오래 전부터 이미 뿌리를 내렸고, 현재에는 베트남의 쌀 국수나, 인도 전문음식점 , 터키 전문음식점 등 그 동안 우리가 쉽게 접할 수 없었던 다른 나라의 음식점들이 유행하고 있다.
    또 현대는 일단 삼시 세끼 거르지 않고 먹는다는 것 자체가 중요했던 예전과는 달리, 더 좋은 음식, 더 맛있는 음식을 찾는다. TV를 틀면 어디서나 전국의 맛집이 소개되고, 서점에는 전국의 맛집을 소개하는 책이 범람하고, 대학생들은 맛집을 찾아다니는 동아리를 만들어 활동을 하고, 인터넷에서도 맛집을 찾아다니는 동호회가 범람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 속에서 나 역시도 자연히 음식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다.
    또한 음식은 그 음식의 재료에서 그 지역의 기후와 토지 조건을 반영하고 있고, 조리방법과 식사예절에서 그 지역의 독자성을 엿볼 수 있어, 개별적인 문화를 넘어 폭넓은 문명의 영향을 읽을 수 있다. 이러한 나라의 문화, 풍습, 기후가 그대로 반영된 음식문화를 탐구함으로써 그 나라를 알 수 있다는 달콤한 사실에 나는 음식문화를 비교해 보기로 마음먹었다. 특히나 세계에서 점점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세계인들을 매료시키고 있는 아시아의 음식을 탐구하고 내가 살고 있는 아시아를 좀 더 알아보고자 하는 마음을 먹었다. 아시아 중에서도 아시아를 이끌어 나가고 있는 유라시아 대륙의 서쪽에 나란히 있는 중국, 한국, 일본의 음식을 살펴보기로 했다.

    유라시아 대륙의 한 귀퉁이에 나란히 있으면서 아시아를 대표하는 세 나라.
    한국, 중국, 일본.
    이 나라들은 가까운 위치에 있어 공통점이 많으면서도 너무나 다른 음식문화를 가지고 있다.

    참고자료

    · 세계 속의 음식문화/ 구난숙 외/ 교문사 2001
    · 세계의 음식문화/ 동아시아식생활학회 연구회/ 광문각 1999
    · 중국의 음식문화와 중국요리/ 채영철 외 3명 공저/ 지구문화사 2003
    · 세계의 식생활문화 / 신애숙 / 선학출판사 2001
    · 한국의 음식문화/ 이효지/ 신광출판사 1998
    · http://100.naver.com/100.php?id=79741
    · http://blog.naver.com/happy2too.do?Redirect=Log&logNo=2303184
    · http://chinaeland.hihome.com/
    · http://cityscape.empas.com/feature/theme/newyear_jpn/
    · http://hill.shingu-c.ac.kr/~pm99b84/2cul..htm
    · http://kdaq.empas.com/dbdic/db_view.tsp?num=3204228&ps=src
    · http://kdaq.empas.com/dbdic/db_view.tsp?num=3236062&ps=src
    · http://kdaq.empas.com/dbdic/db_view.tsp?num=3735993&ps=src&pq=
    · http://kdaq.empas.com/kdic/kdic_view.html?sn=49621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6&dir_id=6&docid=158537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6&dir_id=6&docid=237208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6&dir_id=6&docid=240519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6&dir_id=601&docid=207347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8&dir_id=806&docid=133272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8&dir_id=806&docid=160076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8&dir_id=806&docid=166838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8&dir_id=806&docid=22845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8&dir_id=80603&docid=50878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8&dir_id=80604&docid=339911
    ·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8&dir_id=80604&docid=442509
    ·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한중일%20음식문화
    · http://www.allfull.co.kr/foods/sangeo.htm
    · http://www.cyr.co.kr/data/cook_01.html
    · http://www.dangmi.com/j01.htm
    · http://www.jeobunshop.com/FrontStore/dvProduct.phtml?pid=G_60354
    · http://www.kjjoy.com/%7Ekskim/index2.htm
    · http://www.noodlelovers.com/world/japan7.asp
    · http://www.o7o.com/krmain/china/about.htm
    · http://www.openchina21.com/
    · http://www.unionsteel.co.kr/
    · http://www2.rda.go.kr/fshp/jb005/korean/02_process/process.htm
    · http://yorizori.nacom.net/food_history_detail.htm#불고기
    · www.culinary.re.kr/04_sub/non/16/16-7.htm
    · www.inue.ac.kr/%7Eyhchoi/chopstick.htm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