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SILVER
SILVER 등급의 판매자 자료

[증권] 주식 등의 전자등록제도의 의의와 특징

자료 인용한 부분, 참고문헌(각주) 확실히 달았습니다. 레포트 또는 논문 작성하시는데 많이 도움되실거에요.
13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5.04.28 최종저작일 2005.04
13P 미리보기
[증권] 주식 등의 전자등록제도의 의의와 특징
  • 미리보기

    소개

    자료 인용한 부분, 참고문헌(각주) 확실히 달았습니다. 레포트 또는 논문 작성하시는데 많이 도움되실거에요.

    목차

    1. 전자등록제도의 개념

    2. 전자등록부의 유가증권성 여부
    가. 전자유가증권의 개념 설정
    나. 전자등록부상 계좌의 유가증권성 검토
    다. 유가증권법정주의와의 관계

    3. 전자등록제도의 특징
    가. 권리의 공시방법의 전자화
    나. 등록에 의한 자격수여적 효력 및 권리이전적 효력

    본문내용

    1. 전자등록제도의 개념

    유가증권은 경제적 목적에 따라 금전시장증권(어음․수표 등), 자본시장증권 (투자증권: 주권․무기명사채권 등)과 재화유통증권(화물상환증․선하증권․창고증권 등)으로 분류되고 있는데, 주식 등의 전자등록제도는 주로 자본시장증권이 표창하던 권리를 실물발행 없이 전자적인 장부에 등록하는 제도를 가리킨다.
    주식 등의 전자등록제도는 주식․채권․단기금융상품․수익증권 등에 관하여 실물증권을 발행하지 아니하고 중앙등록기관 중앙등록기관은 전자등록부를 작성․관리하고 등록업무를 주관하는 기관을 말한다. 이에 대하여 예탁결제기관은 예탁자계좌부를 작성․관리하고 유통시장의 측면에서 업무를 관리하는 기관을 말하는데, 중앙등록기관의 업무와 예탁결제기관의 업무는 동일한 기관에서 수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의 전자등록부에의 등록만으로 실물증권에 의하여 표창되던 권리의 권리자 및 내용을 인정하고, 전자등록부를 통하여 그 권리의 이전․담보설정 및 행사를 가능하게 하는 제도이다. 이 제도에서는 권리를 유체물인 증권에 표창하는 대신에 정보처리시스템에 의하여 작성되는 전자등록부에의 등록을 권리의 공시방법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종래에 “증권무권화제도” 라는 용어를 사용하다가, 예컨대, 이철송, “예탁결제제도의 선진화와 증권무권화를 위한 법적 정비,” 증시효율화를 위한 예탁결제 및 무권화 제도 발전방향(증권예탁원 세미나, 1996. 10. 17); 鄭燦亨, ꡒ有價證券의 無券化制度,ꡓ證券預託決濟制度의 法的 課題,「比較私法」제3권 제2호(1996. 12); 최범수, “증권무권화의 의의와 추진방안,” 증시효율화를 위한 예탁결제 및 무권화 제도 발전방향(증권예탁원 세미나, 1996. 10. 17).
    최근에는 가상공간에서의 전자적인 증권거래(사이버 트레이딩)의 보편화와 전자문서의 법적 효력 인정 등의 영향을 받아 “전자증권제도” 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예컨대, 임종룡, “전자증권제도의 개요 및 도입필요성,” 증권시장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자증권제도 도입방향 세미나(증권예탁원․한국증권연구원, 2001. 10. 24); 정찬형, “전자증권제도 도입에 따른 법적 문제 및 해결방안,” 증권시장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자증권제도 도입방향 세미나(증권예탁원․한국증권연구원, 2001. 10. 24), 2쪽; 한국증권연구원, 앞의 연구보고서, 5쪽; 정찬형,

    참고자료

    · <국내문헌>
    · 국회법제사법위원회, “전자어음의발행및유통에관한법률제정에 관한 공청회,” 2003. 5. 23.
    · 김치원, “전자어음의발행및유통에관한법률안(조재환의원대표발의) 검토보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문위원 검토보고서(2001. 11. 30).
    · 김홍진, “일본의 공사채 법률 개혁방향,” 증권예탁원, 「일본증권시장개혁 자료집」(2002. 12).
    · 손진화․정경영, “전자금융거래법 제정에 관한 연구”(재정경제부 제출 연구보고서, 2002. 2).
    · 이철송, “예탁결제제도의 선진화와 증권무권화를 위한 법적 정비,” 증시효율화를 위한 예탁결제 및 무권화 제도 발전방향(증권예탁원 세미나, 1996. 10. 17).
    · 임종룡, “전자증권제도의 개요 및 도입필요성,” 증권시장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자증권제도 도입방향 세미나(증권예탁원․한국증권연구원, 2001. 10. 24).
    · 정경영, “전자금융거래법안의 문제점에 관한 고찰: 전자증권과 관련하여,” 「증권예탁」 제44호(2003. 2).
    · 정승화, “전자증권제도의 도입방향과 도입효과,” 증권법학회 제86회 정기세미나(2002. 3. 22).
    · 정승화, “전자투자증권의 법적 과제,” 전자금융의 법적 과제(Ⅰ): 전자유가증권을 중심으로, 워크샵 2002-03(한국법제연구원, 2003. 5).
    · 정완용, “전자상거래 지급결제제도와 전자식 유가증권제도에 관한 연구,” 전자상거래 활성화 워킹그룹 보고서(Ⅷ) 「전자상거래 법률제도연구」(산업자원부․한국전자거래진흥원, 2002. 1).
    · 정찬형, “전자증권제도 도입에 따른 법적 문제 및 해결방안,” 「증권예탁」 제40호(2001-4분기, 증권예탁원 10주년 특집호).
    · 정찬형, “전자증권제도 도입에 따른 법적 문제 및 해결방안,” 증권시장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자증권제도 도입방향 세미나(증권예탁원․한국증권연구원, 2001. 10. 24).
    · 증권예탁원, “직접간접운용방식 비교,” 증권예탁원 내부 검토자료(2003. 5).
    · 최범수, “증권무권화의 의의와 추진방안,” 증시효율화를 위한 예탁결제 및 무권화 제도 발전방향(증권예탁원 세미나, 1996. 10. 17).
    · 최승열, “전자선하증권의 법적 과제,” 전자금융의 법적 과제(Ⅰ): 전자유가증권을 중심으로, 워크샵 2002-03(한국법제연구원, 2003. 5).
    · <해외문헌>
    · ALI & NCCUSL, Uniform Commercial Code: Official Text and Comments, p.665 and Comment 18 to the Article 8-102.
    · George B. Delta & Jeffrey H. Matsuura, Law of the Internet(N.Y.: Aspen Law & Businesss, 1999), 9-72; Bo Yang, Digital Checks, Payment Technologies for E-Commerce, Weidong Kou, ed., Berlin, 2003, 9-2-1, 9.3, 9.4.
    · Securities Trading, etc. Consolidated Act 2002, Sec. 59(2): In this Act "electronic securities" shall mean negotiable, dematerialised securities registered with a central securities depository.
    · UCC §8-102(a)(15): "Security," except as otherwise provided in Section 8-103, means an obliga<font color=aaaaff>..</font>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전문 지식를 바탕으로 한 내용이 많아, 과제에 쉽게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