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초록>
금융규제 개혁의 주된 방향은 시장실패를 우려하는 정부의 지나친 개입을 최소한으로 줄여 민간부문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확대하고 이를 통한 경쟁 제고 및 금융의 효율성 증대, 국제금융시장에서의 경쟁우위 확보 그리고 개방화에 따른 자국 금융산업의 자생력 확보 등을 지향하고 있다. 한편, 2000년대 이후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전세계적으로 핀테크산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정부와 시장은 또다시 대립하고 있다.
전통적인 금융시장 규제개혁의 경우와는 달리 이번 핀테크산업 규제개혁의 경우에는 정보통신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비금융기관의 제3자 지급결제, P2P대출, 클라우드펀딩, 자산관리, 보안인증 등 와해성(Disruptive) 금융혁신을 둘러싸고 ‘금융정책당국-전통금융기관-신생비금융기관’간에 진입장벽 제거, 금산분리 완화 등 기존 금융질서에 대한 규제완화와 해킹, 위변조 등 새로운 금융사고 예방을 위한 신규규제 등 새로운 유형의 규제 개혁이 주요 쟁점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핀테크산업 현황을 진단하고 외국사례 등을 통해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핀테크 산업발전을 위한 규제개혁 과제를 도출하고 그 개혁방향을 모색해 보기로 하였다.
본 연구는 그동안 우리 금융당국에서 추진한 핀테크산업 육성 정책을 포관적으로 개관하고 관련 연구기관의 논문과 연구실적 등을 분석한 후 우리보다 먼저 핀테크 산업 육성정책을 추진한 외국 사례 등을 분석하여 과제와 정책적 시사점을 찾아보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주제어: 금융산업 경쟁력, 규제개혁, 산업활성화, 핀테크
(투고일자: 2000.00.00, 심사개시일자: 2000.00.**, 게재확정일자: 2000.00.**.)
* ○○대학교 ○○○학부 교수, ○○박사(Ph.D).
Ⅰ. 연구배경
자본주의 시장경제에서 금융은 그 본질적인 특성(시장성과 공공성)으로 인해 금융에 대한 정부와 시장의 대응은 늘 대립되어 왔다. 정부는 금융의 공공성을 이유로 금융시장의 안정성을 추구하다보니 건전성 등 각종 규제로 금융의 자율성을 제약하려 하고, 반면에 시장은 금융기관의 수익성을 이유로 정부의 각종 규제로부터 금융의 자율성을 확대하려는 시도를 끊임없이 추구하여 왔다.
· 박재석, 김민진, “핀테크와 금융혁신”, BC카드 빅데이터센터, 2017.2.
· 이충열, 정군오, “전자금융과 핀테크의 이해, - 금융사고와 범죄 방지 및 소비자보호를 중심으로, 한국금융연구원, 2016.2.
· 최공필, 안창현, “한국경제의 분석 제22권 제2호”, 한국금융연구원, 2016.8.
· 강일용, “정보화 시대의 은행 '클라우드 컴퓨팅' 이해하기 (3)”, IT동아, 2017.7.19.
· 정기영, “제8회 클라우드 프론티어 2017”, KT, 2017.6.20.
· 길재식, “농협-KT, 금융권 최초 클라우드 존 구축”, 전자신문 3면, 2016.8.18.
· 삼성SDS IT 인사이트, 빅데이터 트렌드 “① 빅데이터 트렌트 및 국내외 성공사례, 빅데이터 트렌드 ② 차세대 금융! 금융분야 빅테이터 분석 활용 사례”, 2017.6.
· 서울경제신문 리빌딩 파이낸스 2017, “불붙은 블록체인... ‘규제체인’에 묵인 한국, 2017.8.15.
· 김명아, “핀테크 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 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15.11.
· 고제헌, “핀테크의 부상: 비전통적 은행의 등장, ‘SH 이슈 리포트’(15-7호), 한국주택금융공사, 2015.4, 4편
· 김종우·박진형·신근호·이선애·최광현, “은행과 인터넷 애널이 함깨 본 핀테크”
· LGERI 리포트, “규제 많은 미국이 핀테크를 선도하는 이유”, 2014.12.10.
· KISA, “미국의 핀테크 규제와 발전전략”, ‘Industrial Internet Issue Report’, 2015.5.
· 배재광, “예측 가능한 규제, 혁신서비스 우선 수용”, ‘이슈&트랜드’, 2015.5.18.
· 김종현, “국내외 핀테크 산업의 주요 이슈 및 시사점”, DIGIECO, 2015.2.25.
· 배재광, “글로벌 핀테크 산업동향-미국편”, 한국인터넷진흥원, 2015.5.
· KB 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영국의 테크시티와 핀테크”, KB 지식 비타민(2015-8호), 2015.1.28.
· 장대한, “영 핀테크 산업 급성장의 요인은?”, KOTRA 해외비지니스 정보포털-해외시장 뉴스-산업·기술 트랜드, 2015.11.6.
· 정유신, “핀테크의 확대추세와 금융투자회사의 대응방안”, 서강대학교 LINC사업단, 2015.
· 금융보안원, “영국 핀테크 시장 및 주요정책현황”, 2015.11.9.
· 황나영, “글로벌 금융테크(Fintech)기업 현황 및 은행에 대한 시사점”, ‘ISSUE & INSIGHT’ (2014-6호), 우리금융경영연구소, 2014.7.18.
· 자본시장연구원, “중국의 제3자 결제시장의 발전현황”, 중국 금융시장 포커스 2017년 여름호.
· KOTRA 해외시장뉴스, “거대한 공룡, 중국 핀테크 산업”, 2016.4.
· 서봉교, “중국 핀테크 산업 성장과 규제완화”, ‘한국경제연구원 정책연구’ (2016-27), 2017.1.
· 금융위원회 “핀테크 산업 활성화 방안”, 2015.5.6.
· 금융위원회, “핀테크 산업 활성화를 위한 단계별 추진전략과 향후 과제”, 2015.5.20.
· 금융위원회, “2단계 핀테크 발전 로드맵” 기본방향 발표, 2015.10.24.
· 삼정KPMG, “국내 핀테크 산업 규제 및 정책방향 리뷰”, 스타트업 경영 360.
· 이지언, “핀테크 활성화의 필요성과 과제”, 한국금융연구원 금융브리프 제26권 제12호, 2017.6.9.
· UK Trade & Investment(2014), Landscaping UK fintech.
· http://insights.venturescanner.com/2015/04/07/fintech-ecosystem-update-april-2015/
· Venture Scanner(2015), Fintech ecosystem update(April 2015).
· http://www.gov.uk/government/publications/landscaping-uk-fintech
· FCA, “A Review of the regulatory regime for crowd funding and the promotion of non-readily realisable securities by other media”, Financial Conduct Authority, Feb.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