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TINUM
PLATINUM 등급의 판매자 자료

EU 공급망 실사법상 공정거버넌스 구축에 대한 검토

"EU 공급망 실사법상 공정거버넌스 구축에 대한 검토"에 대한 내용입니다.
20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5.03
20P 미리보기
EU 공급망 실사법상 공정거버넌스 구축에 대한 검토
  • 본 문서(hwp)가 작성된 한글 프로그램 버전보다 낮은 한글 프로그램에서 열람할 경우 문서가 올바르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최신패치가 되어 있는 2010 이상 버전이나 한글뷰어에서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미리보기

    소개

    "EU 공급망 실사법상 공정거버넌스 구축에 대한 검토"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서 설
    II. 코로나 팬데믹 이후 소득 불균형 심화
    Ⅲ. 현대적 재분배에 대한 헌법상 복지 거버넌스
    Ⅳ. EU 공급망 실사법상 공정거버넌스 구축
    Ⅴ. 결 론

    본문내용

    <국문초록>

    코로나 19 팬데믹 이후 소득 불균형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헌법이 추구하는 가치인 국민생활의 균등한 향상을 사회적 기본권 보장을 통해 실질적 평등을 달성하여 소득 불균형 심화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정부 실패에 대해 국민부담의 증가와 책임주체의 부재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는 상황에서 사회 구성원의 참여와 협력이 중요시되는 협력적 거버넌스(Collaborative Governance)는 복지 거버넌스의 영역 내로 민간 기업을 끌어들여 복지의 질을 높이면서 기업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할 필요가 있다. 사회성과연계채권(SIB)을 적극 활용하여 정부의 재정 문제를 완화하고 EU 공급망 실사법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 주제어: EU 공급망 실사법, 현대적 재분배, 협력적 거버넌스, 정부실패, 사회적 통합

    <Abstract>

    A Study on The Review of Construction of Fair Governance Under the EU Proposal for Directive on Corporate Sustainability Due Diligence Law
    -focusing on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deepening
    income imbalance after the COVID-19 pandemic-
    Since the COVID-19 pandemic, income imbalance has been intensifying.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I would like to find a way to improve income imbalance by enhanc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 achieve practical equality by guaranteeing basic social rights to improve the equal improvement of national life.
    In the constitution, the meaning of "social" in a social welfare state is a modification to the absolute guarantee of personal freedom, including private property rights, and it can be said that the meaning of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justice is implied in the function of the state.

    참고자료

    · 민경국,『하이에크, 자유의 길 : 하이에크의 자유주의 사상 연구』, 한울, 2007.
    · 심경섭 외 5인,『경제학원론 제2판』, 법문사, 2013.
    · 에스핑앤더슨,『복지 자본주의의 세 가지 세계』, 박시종(역),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7.
    · James Ferguson,『분배정치의 시대』, 조문영(역), 여문 책, 2017.
    · 강노경, “EU 공급망실사지침 주요내용과 기업사례”, 한국무역협회, 2022.
    · 권혁구·이정윤, “물류시설 관련 계획체제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 한국교통연구원, 2011.
    · 김종대 등 4인, “성공적 CSR 전략으로서 CSV에 대한 평가”, KBR 제20권 제1호, 2016.
    · 이종환 외 3인, “규제지체 해소를 위한 유연성 제고방안: 신산업 중심으로”, 한국행정연
    · 구원 연구보고서, 2020.
    · 정종구 · 손정구, “코로나19 동선공개에 대한 법적 고찰: 개인정보 및 사생활 침해의 문제를 중심으로”, 법학논고 제70집, 2020.
    · 최창용 외, “공공부문의 사회적 가치 중심 개혁”, 한국개발연구원, 2019.
    · 황정훈, “분배의 정의 실현수단으로써 공공부조수급권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8.
    · , “하이에크의 이론에 입각한 상대적 빈곤해소에 관한 법적 연구”, 한국법학회 법학연구 제19권 제1호, 2019.
    · , “스마트도시법에 기초한 스마트 공유도시 복지공동체 구축에 관한 담론”, 한국법학회 법학연구 제19권 제4호, 2019.
    · , “소득 불균형 심화와 개선방안 검토”, 제도와 경제 제14권 제4호, 2020.
    · , “코로나 팬데믹에 대응한 메타버스 복지플랫폼 구축에 대한 검토”, 법이론실무연구 제10권 제2호, 2022.
    · Bajardi, Paolo, et al. “Human mobility networks, travel restrictions, and the global spread of 2009. H1N1 pandemic.” PloS one, vol. 6 no. 1, 2011.
    · Department Of Communicable Disease Survaillance and response, “Consensus Document on the Epidemiology of SARS”,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3.
    · Engels, Infektionsschutzrecht als Gefahrenabwehrrecht?, DÖV 2014, 464 ff.
    · Erdle, Infektionsschutzgesetz. Kommentar, 5. Aufl., 2016.
    · Gilmore, Norbert, et al. “International travel and AIDS.”, Aids, vol. 3 no. 1, 1989.
    · Person, Bobbie et al, “Fear and stigma: the epidemic within the SARS outbreak,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vol. 10 no. 2, 2004.
    · Porter, M.E., and M.R. Kramer, “Creating Shared Value”, Harvard Business Review, 89(1-2), 2011.
    · Sivan Kohn, Daniel J. Barnett, Costanza Galastri, Natalie L. Semon, and Jonathan M. Links, “Public Health-Specific national Incident Management Trainings: Building a System for Preparedness”, Public Health Reports, Vol.125, 2015.
    · 沼尾波子,『地域包括ケアシステム構築と行政の役割』, 産業経営プロジェクト報告書35巻2号, 2012.
    · 畑本裕介,『社会福祉行政のこれから-<社会保険>化と行政空間の変容』, 人間福祉学部紀 要(山梨県立大学)7号, 2012.
    · 寺本 惠, “後見制度支援信託の槪要”, 登記情報, 第604號, 民事法情報センタ-, 2012.
    · G・エスピン・アンデルセン, 渡辺雅男・渡辺景子訳,『ポスと工業経済の社会的基礎―市場・ 福祉国家・家族の政治経済学』, 桜井書店, 2000.
  • 자료후기

      Ai 리뷰
      코로나 팬데믹의 장기화로 인한 소득불균형 심화 현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강화와 사회성과연계채권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