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Carl Wellman저, 김만두 역, 『복지권론』, 홍익제, 1989
· 2. Richard Rose, Rei Shiratori, ed., 『The Welfare State : East and West』, oxford, 1986
· 3. 『대한민국 현행법령집』, 법제처, 1996
· 4. 『장애인 복지법령집』, 보건사회부, 1996
· 5. 권영성, 『신고 헌법학 원론』, 법문사, 1981
· 6. 권영오, 『경제질서와 경제규제』, 사상과 정책 Vol. 6 No.3, 경향신문사, 1989
· 7. 권오성, 『신정판 헌법학 원론』, 법문사. 1988
· 8. 김병하, 『특수교육의 역사적 이해』, 형설출판사, 1983
· 9. 김유성, 『사회보장법』, 동성사, 1985
· 10. 김중대, 『장애인복지론』, 홍익출판사, 1991
· 11. 김철수, 『신고 헌법학개론』, 박영사 , 1991
· 12. 박석돈, 『사회복지서비스법』, 도서출판 두엄, 1991
· 13. 박일경, 『신헌법학원론』, 법경출판사, 1986
· 14. 배동인, 『인간해방의 사회이론』, 전예원, 1997
· 15. 법제처, 『각국의 노인·아동·장애자복지관계법』, 법제자료 제 105집, 1979
· 16. 서준식, 『인권이란 무엇인가』, 사람생각, 1999
· 17.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현대사회와 장애자 복지』, 1988
· 18. 안병집, 강위영, 우재현 공저, 『장애자의 직업재활』, 형설출판사, 1984
· 19. 이성규, 『사회통합과 장애인 복지정치』, 나남출판, 1998
· 20. 이영희, 『과학기술의 사회학』, 한울, 2000
· 21. 이익섭, 『장애인의 이동훈련』, 정립회관, 2000
· 22. 장애인이동권 쟁취를 위한 연대회의, 『우리는 이동하고 싶다』, 장애인이동권 쟁취를 위한 연대회의, 2002
· 23. 장인협, 『사회복지학개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88
· 24. 竹原建二저. 편집부 역, 『장애자 문제와 사회보장론』, 법률문화사, 1985
· 25. 허영, 『한국헌법론』, 박영사, 1991
· 26.「2000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결과 요약」, 보건복지부·보건사회연구원, 2001
· 27.「2000년도 장애인의 실태조사 결과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 복지팀, 2001
· 28.「승강기제조 및 법률에 관한 법률」, 법률 제 5779호
· 29.「승강기제조 및 법률에 관한 법률시행규칙」, 산업자원부 공고 제2001 - 36호
· 30.「승강기제조 및 법률에 관한 법률시행규칙」, 산업자원부령 제63호
· 31. 강성룡, 「한국 심신장애자 복지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대석사학위논문, 1990
· 32. 권건보, 「장애인 기본권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98
· 33. 김덕준, 「한국의 사회복지 현황과 문제점」, 사회복지연구 제 7집, 중앙대사회사업학회, 1973
· 34. 김만두, 「인권으로서의 사회복지에 대한 체계적 연구 서설」, 강남 사회복지학교 사회 사업론집 제 11집, 1988
· 35. 김유성, 「ILO의 사회보장의 최저 기준에 관한 소고」, 서울대 법학연구소, 1983
· 36. 남상만, 「장애자복지의 이념과 우리 나라 심신장애자 복지법의 성격」, 대구대 사회복 지연구 제 13집, 1985
· 37. 민경식, 「서독 기본법에 있어서의 사회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1987
· 38. 박수혁, <<font color=aaaaff>..</fo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