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민주(1994).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자기능력지각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서리, 유제민(2016). 특성화 고등학생의 친구관계 및 학업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3(12), 691-706.
· 김선숙(2011). Wee센터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연구. 목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원정 (2004). 청소년 개인특성,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가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정원(2000). 집단 따돌림 가해-피해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성향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김진아(2015)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가 정서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6(3), 359-377.
· 김현순(201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종단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21(3), 409-437.
· 도수정(2010).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또래 관계가 배려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문경여(2005). 또래관계 향상을 위한 독서치료 동화 선정 및 프로그램 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문주희, 백지숙(2012).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 교사관계가 학업효능감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초기 청소년과 중기 청소년 비교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0(3), 39-50.
· 박은정, 이유리, 이성훈(2018).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에 대한 학교급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2), 31-56.
· 박은조(2000). 중학생의 우울성향과 학교적응의 관계.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재연(2017).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학교폭력,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친구, 가족, 교사의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43(2), 263-289.
· 신현숙, 송종화, 김현주(2005). 대입수험생의 학업스트레스, 비관성 및 사회적 위축의 관계모형검증. 교육연구, 28, 121-142.
· 안수영(2007).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여성가족부(2017). KOSIS 통계표 2017년 청소년종합실태조사 : 스트레스. (검색일: 2018.11. 18.).
· 오승환(2009).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 우울·자아존중감·생활만족도의 매개효과분석-. 학교사회복지, 16, 53-73.
· 유경연(2015). 중학생의 공격성과 또래관계 질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안진, 한유진, 김진경(2002). 초기 청소년의 공격성과 또래관계의 질. 아동학회지,23(3), 79-90.
· 유한규(1997). 청소년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윤신예, 채규만(2016). 청소년의 학업 스트레스가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3(12), 1-24.
· 이서영(2015). 고등학생의 자기수용, 또래관계의 질 및 학교적응의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이신애(2017). 또래칭찬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교우관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채진영(2012). 아동의 학업스트레스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9(1), 71-87.
· 최인재 (201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분석. 청소년학연구, 21(10), 219-243.
· Anita Woolfolk(2015). 교육심리학. [김아영, 안도희, 양명희, 이미순, 임성택, 장형심 역]. 서울: 박학사 교육심리학(12판). 서울: 박학사. (원본출간년도: 2013).
· Boivin, M., Hymel, S., & Bukowski, W. (1995). The roles of social withdrawal, peer rejection, and victimization by peers in predicting loneliness and depressed mood in childhood. Developmental and Psychopathology, 7(4), 765-785.
· Crick. N.R., & Grotpter. J.K. (1995). Relational aggression, gender, and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6(3), 710-722.
· Karaman, M. A., Nelson, K. M., & Vela, J. C. (2018). The mediation effects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locus of control between academic stress and life satisfaction in undergraduate students. British Journal of Guidance & Counseling, 46(4), 375-384.
· Marcus, R. F., Krammar, C. (2001). Reactive and proactive aggression; attachment and social competence predictors.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62(3), 260-275.
· Nelson, L. J., Rubin, K. H., & Fox, N. A. (2005). Social withdrawal, observed peer acceptance, and the development of self-perceptions in children ages 4 to 7 yea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0(2), 185-200.
· Rubin, K. H., Burgess, K. B., Kennedy, A. E., & Stewart, S. S. (2003). Social withdrawal and inhibition in childhood. In E. Mash, E. J. & Barkley, R. A. (Eds.). Child Psychopathology (pp. 372-406). New York: The Guilford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