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안로, 용천담적기, 한국고전종합DB.
· 조영암 역, 고금소총, 명문당, 1977.
· 정용수 편역, 일본 동양문고소장본 – 고금소총 · 명엽지해, 국학자료원, 1998.
· 김현룡, 한국문헌설화 4, 건국대학교출판부, 1999,
· 미하일 바흐친, 이덕형 · 최건영 역, 프랑스와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 문화, 아카넷, 2001.
· 김기형 역주, 「강릉매화타령 - 梅花歌라」 · 「배비장전」, 한국고전문학전집 35,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5,
· 장효현 · 윤재민 외 편저, 「지봉전」 · 「종옥전」 · 「오유란전」 · 「종옥전」, 교감본 한국한문소설 – 애정세태소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7,
· 장덕순, 「설화의 소설화」, 동아문화 7, 서울대 동아문화연구소, 1967, 95-121.
· 곽정식, 「<오유란전> 연구 – 입사식의 서사적 수용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국어교육,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85, 213-229.
· 김종철, 「<배비장전> 유형의 소설연구」, 관악어문연구 10,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1985, 201-229.
· 박일용, 「조선후기 훼절소설의 변이양상과 그 사회적 의미(上)」, 한국학보 14.2, 일지사, 1988, 79-114.
· 박일용, 「조선후기 훼절소설의 변이양상과 그 사회적 의미(下)」, 한국학보 14.3, 일지사, 1988, 77-99.
· 여세주, 「정남훼절담의 형성과 사회적 의미」, 한민족어문학 16, 한민족어문학회, 1989, 259-278.
· 이원수, 「남성훼절설화의 실상과 의미」, 국어교육연구 21, 국어교육학회, 1989, 69-94.
· 신영주, 「<정향전> 연구」, 인문과학연구 3, 상명대 인문과학연구소, 1995, 129-145.
· 박기현, 「숙종설화 연구」, 동남어문논집 15, 동남어문학회, 2002, 23면. 163-215.
· 허용호, 「가면극의 축제극적 구조: 봉산탈춤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36, 한국민속학회, 2002, 271-313.
· 김준형, 조선조 패설문학 연구, 고려대 박사논문, 2003.
· 정선희, 「<오유란전>의 향유층과 창작기법의 의의」, 한국고전연구 9, 한국고전연구학회, 2003, 95-126.
· 이기대, <정향전> 한문본의 이본 양상과 형성 과정, 우리어문연구 24, 우리어문학회, 2005, 135-171.
· 임수현, 「<지봉전>의 플롯의 역학」, 한국고전연구 11, 한국고전연구학회, 2005, 80-117.
· 조은상, 「<종옥전>에 나타난 성적 불안 극복과 아버지 세계로의 회귀」, 문학치료연구 3, 한국문학치료학회, 2005, 137-170.
· 조혜란, 「고소설에 나타난 남성 섹슈얼리티의 재현 양상」, 고소설연구 20, 한국고소설학회, 2005, 381-411.
· 주형예, 「<배비장전>의 성적 환상 - 남성 향유층의 괘락적 전유와 도덕적 전가 방식」, 여성문학연구 15, 한국여성문학학회, 2006, 201-228.
· 박길희, 「훼절소설에 나타난 기생의 형상」, 남도문화연구 14, 순천대, 2008, 138-169
· 윤채근, 「조선 후기 남성훼절 서사에 나타나는 섹슈얼리티의 양상」, 한국한문학연구 42, 한국한문학회, 2008, 45-86.
· 김수연, 「<오유란전>에 나타난 남성성장과 웃음의 의미」, 열상고전연구 30, 열상고전연구회, 2009, 185-216.
· 강상순, 「조선 전기 패설류 필기에 재현된 사랑과 그 담론화 방식」, 고전과 해석 8집,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10, 365면
· 김현영, 「<종옥전>을 활용한 문학치료 사례 연구-"남녀서사"의 진단과 치료」, 겨레어문학 44, 겨레어문학회, 2010, 355-391.
· 김미령, 「‘훼절 모티프’를 통해 본 장르적 특성 - <두 신하를 살린 성종대왕의 기지>, <지봉전>의 대비적 고찰」, 한국언어문학 81, 한국언어문학회, 2012, 159-191.
· 이송희, <종옥전>, <오유란전>, <금강탄유록>에 나타나는 민중축제의 구조와 그 의미, 고려대 석사논문, 2012.
· 조도현, 「<지봉전의 역사인물 형상화를 통해 본 작가의식」, 인문사회 21, 아시아문화학술원, 2015, 549-573.
· 여홍상, 「카니발 [Carnival, Karnaval]」, 문학비평용어사전 인터넷판, 국학자료원, 2006.
· 한국역사정보 통합 시스템 장서각 디지털 아카이브, 한국구비문학대계.
· 한국고전공합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