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행에 민감한 청소년들 사이에서 여태껏 수많은 콘텐츠가 유행으로 소비되어왔다. SNS, 패션, 노래, 스타일 등 다양한 문화들이 유행이라는 명목 하에 형성되었고, 이는 더 나아가 사회의 흐름을 만들기도 하였다. 그 영향력에 대해 실감하기에 사회는 청소년들의 민감한 유행에 더욱 관심을 갖고 바라볼 수밖에 없다. 이 중 일부는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기도 한다.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청소년 자해’에 관한 내용이다. ‘자해가 대유행’이라는 선정적인 문구가 등장하기도 할 만큼 청소년 자해에 대한 이야기가 끊임없이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는 비단 ‘유행’이라는 말로 명명할 수 없는 문제임은 분명하다. 특히나 많은 청소년들이 행하고 있는 비자살성자해(Non-Suicidal Self-injury: NSSI 이하 ‘자해행동’으로 기술)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는 자살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자신의 신체에 의도적으로 상처를 내는 행동, 즉 죽음의 의도가 없는 자기 파괴적 행위를 칭한다(Nock, 2009). 베기, 심각한 긁기, 태우기 등이 포함되며 청소년과 초기 성인기에 많이 나타나 평생 유병률은 13.9~21.4%정도로 보고되고 있다(Nock & Facazze, 2009).
· 강경림, 김찬희, 정재원 (2019). 국내 중학생의 자살생각 빈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영과잉 음이항(Zero-Inflated Negative Binomial, ZINB) 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스트레스硏究, 27(3), 232-239
· 최진영, 김기현 (2019). 부모의 간접적 애정표현이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66), 185-217
· 김수진 (2017). 비자살적 자해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개관. 청소년학연구, 24(9), 31-53
· 이도영, 서혜영, 심인옥, 이혜미 (2015). 웃음치료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우울, 자살생각 및 적응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웰니스학회지, 10(2), 137-146
· 권혁진, 권석만 (2017). 한국판 자해기능 평가지(The Functional Assessment of Self-Mutilation)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3(1), 187-205
· 이동귀, 함경애, 정신영, 함용미 (2017). 자해행동 청소년을 위한 단기개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재활심리연구, 24(3), 409-428
· 김수진, 김봉환 (2015). 청소년 내담자의 반복적 자해행동의 의미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7(2), 231-250
· 정묘순, 서수균 (2014). 청소년 자살시도 예측변인. 한국청소년연구, 25(2), 145-171
· 이동귀, 함경애, 배병훈 (2016). 청소년 자해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4), 1171-1192
· 강주현, 신택수 (2015). 청소년기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22(5), 27-51
· 김재엽, 박하연, 황선익 (2017). 청소년기 학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24(11), 53-78
· 3김6민(3경), ,6 조1-경71원 (2019). 청소년의 건강위험행동과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 관련 요인.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36(3), 61-71
· 김소정 (2019).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와 SNS.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51-151
· 최연희, 장정남 (2014).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 우울 및 자살생각의 관계.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8(2), 285-297
· 유효숙, 서경희, 박영신, 이창주 (2016).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의 경험 및 이유. 한국심리학회학술대회 자료집, 311-311
· 성나경, 강이영 (2016).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자해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8(3), 855-873
· 손신영 (2014). 청소년의 자살생각, 자살계획, 자살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5(3), 1606-1614
· 천성문, 함경애 (2015). 청소년의 자살시도 및 극복경험에 관한 질적분석. 재활심리연구, 22(1), 59-79
· 김경미 (2018). 청소년의 정서적 지지망과 자살생각. 한국인구학, 41(1), 53-77
· 이혜림, 이영호 (2015). 청소년의 처벌민감성과 강화민감성이 불안, 우울,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2(12), 567-593
· 김치건 (2018). 청소년의 학교폭력, 가족탄력성, 무망감, 우울, 자살생각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아동복지학(61), 51-80
· 최인재 (201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분석. 청소년학연구, 21(10), 219-243
· 김두환, 우혜영 (2014). 한국 청소년의 사회적 삶과 자살생각(Suicidal Ideation). 사회화이론, 369-400
· 김원경 (2014). 한국 초, 중, 고등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 한국청소년연구, 25(3),199-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