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과학교육] 과학사 자료를 이용한 지구과학 학습 지도에 관한 연구

"[과학교육] 과학사 자료를 이용한 지구과학 학습 지도에 관한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124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03.10.08 최종저작일 2003.10
124P 미리보기
[과학교육] 과학사 자료를 이용한 지구과학 학습 지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3

    Ⅱ. 이론적 배경 5
    1. 과학철학적(인식론적) 배경 5
    2. 심리학적 배경 9
    3. 과학교육과 과학사 12

    Ⅲ. 과학사적 자료유형 개발 및 교과서 분석 16
    1. 자료유형 개발 16
    2. 중학교 교과서 분석 21
    3. 고등학교 교과서 분석 25
    4. 한국 지구과학사 반영 정도 분석 39
    5. 분석 종합 40

    Ⅳ. 설문 조사 결과 분석 41

    Ⅴ. 자료 개발 43
    1. 공기와 대기압 영역에 관한 유형별 자료 44
    2. 지구자기장 영역에 관한 유형별 자료 46
    3. 우주관에 대한 유형별 자료 50
    4. 온대성 저기압에 대한 Eij형 자료 64
    5. 한국 지구과학사를 이용한 Ea형 자료 66

    Ⅵ. 수업모형 개발 79
    1. 강의식 수업모형 80
    2. 과학사를 선행조직자로 이용하는 수업모형 80
    3. 과학사를 이용한 수정된 순환학습 모형 87
    4. 역할극 모듈 92

    Ⅶ. 결론 및 제언 100

    참고 문헌 103
    부록(Appendix) 107
    1. 과학사에 대한 흥미도 설문지 문항 107
    2. 중력 개념에 대한 과학사적 순환학습 검사지 108
    3. 역할극 대본 및 OHP 자료 110
    4. 영역별 지구과학사 연표 118
    5. 서양·한국 지구과학사 비교 연표 122
    ABSTRACT 123
    감사의 글 125

    본문내용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에 기초를 둔 과학사를 이용한 지구과학 개념학습 지도를 위한 수업 자료와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본 연구자가 개발한 5가지 과학사적 자료유형에 의거하여 중·고등학교 교과서를 교육과정에 따라 영역별로 비교·분석하였으며, 전국 439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된 과학사에 대한 흥미도를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 교육과정별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자료유형에서는 Eij형이, 자료영역에서는 천문 분야가 제일 우세하였다. 그러나 한국 지구과학사가 교과서에 포함된 정도는 극히 미미하였으며, 전반적으로 볼 때 과학사에 대한 인식이나 과학사를 도입하려는 노력이 매우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설문조사에서는, 주제와 동기영역에서 보통 이하의 낮은 흥미도를 보였다.
    이러한 기초연구를 토대로 지구과학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어지는 개념들의 학습에 이용될 수 있는 과학사적 자료를 서양 및 한국 지구과학사에서 찾아내어, 본 연구자가 개발한 5가지 유형으로 자료를 개발(공기와 대기압, 지구 자기장, 우주관, 온대성 저기압, 중력, 대륙이동설 그리고 한국 지구과학사에 포함된 내용들)하였으며, 이 자료들을 토대로 5가지 수업모형(강의식 Ⅰ, 강의식 Ⅱ, 선행조직자, 수정된 순환학습, 역할극 모듈)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자료와 수업모형은 과학사를 이용한 개념학습 지도에서 학생들의 오개념 교정은 물론 흥미 유발에 유용할 것이며, STS 교육과 민족과학의 정체성 확립에도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자료

    · 김국진. (1997). 지구과학에 대한 개인적 흥미와 정서적 능력에 따른 학습 성취도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김영식. (1995). 과학사 개론. 다산출판.
    · 김영식, 박성래, 송상용. (1992). 과학사. 전파과학사.
    · 김호권. (1988). 현대 교수 이론. 교육과학사, pp.165-197.
    · 문현경. (1997). 초등학생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 및 개념 성취도에 대한 학생활동 중심 학습모듈의 효과.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박성래. (1991). 민족과학의 뿌리를 찾아서. 동아출판사, pp.213-219.
    · --------. (1993). 한국인의 과학정신. 평민사.
    · 박승재. (1989). 과학교육. 교육과학사.
    · 송상용. (1984). 교양과학사. 우성문화사.
    · 신명경. (1993). 고등학교 지구과학(천문학) 교육과정에 있어서의 SATIS 수업모델 개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신일철, 신중섭. (1989). 현대의 교육철학. 서광사.
    · 양승훈, 송진웅, 김인환, 조정일, 정원우. (1996). 과학사와 과학교육 : 과학교육을 위한 과학사적 학습지도. 대우학술총서, pp.19-47.
    · 오진곤. (1989). 서양 과학사. 현대과학신서.
    · --------. (1996). 과학사 총설. 전파과학사, pp.52-219.
    · 이영기. (1995). 상식밖의 과학사. 새길.
    · 정병훈. (1995). 과학 및 과학교육 철학: 강의 교재. 서울대학교 과학교육과 대학원.
    · 정병훈, 박종석. (1995). 과학교육의 역사: 과학교육사 연구자료집2.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물리교육과 물리학습 연구실.
    · 한국 기상학회. (1993). 일반 기상학. 광림사, pp.11-41.
    · 한국 지구과학회. (1994). 지구환경과학 Ⅰ.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 Joyce, B., Weil, M. (1989). 수업모형. 형설출판사, pp.116-139.
    · Mason, S.F. (1987). 과학의 역사 Ⅰ, Ⅱ. 까치.
    · Anderson, N.D. (1992). Hidden Treasures for Science Teaching: United States Patents.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349162.
    · Brackenridge, J.B. (1989). Education in Science, History of Science, and the Textbook: Necessary vs. Sufficient. Interchange v20 n2, pp. 71-80.
    · Brause, R.S., Mayher, J.S. (1991). Search & Re-search: What the inquiring teacher need to know. The Falmer Press.
    · Brush, S.G. (1989). History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Interchange v20 n2, pp.60-70.
    · Castro, R.S, Carvalho, A.M.P. (1995). The Historic Approach in Teaching: Analysis of an Experience. Science and Education v4 n1, pp.65-85.
    · Chalmers, A.F. (1982). What is This Thing Called Science?: An Assessment of the Nature and Status of Science and Its Method, 2nd ed. St. Lucia, Queensland: University of Queensland Press.
    · Cohen, I.B. (1993). A Sence of History in Science. Science and Education v2 n3, pp.251-277.
    · Cushing, J.T. (1989). A Tough Act-History, Philosophy, and Introductory Physics: An American Perspective. Interchange v20 n2, pp.54-59.
    · DeBoer, G.E. (1991). A History of Ideas in Science Education: Implications for Practice. Teachers Colledge, Columbia University.
    · Eagleman, J.R. (1985). Frontal Cyclones. Meteorology: The Atmosphere in Action. A division of Wadsworth, Inc.
    · Garrison, J.W., Lawwill, K.S. (1993). Democratic Science Teaching: A Role for the History of Science. Interchange v24 n1-2, pp.20-39.
    · Glynn, S.M., Yeany, R.H., Britton, B.K. (1991). The Psychology of Learning Scien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 Kauffman, G.B. (1989). History in the Chemistry Curriculum. Interchange v20 n2, pp.81-94.
    · Kipnis, N. (1996). The Historical-Investigative Apprroach to Teaching Science. Science and Education v5 n3, pp.277-292.
    · Kutzbach, G. (1979). The Thermal Theory of Cyclones: A History of Meteorological Thought in the Nineteenth Century. Historical monograph series: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 Lochhead, J., Dufresne, R. (1989). Helping Students Understanding Difficult Science Concepts Through the Use of Dialogue with History.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in Science Teaching. Ed. by Don Emil Herget. Science Education & Department of Philosophy, Florida State University, Tallahasse, FL, pp.221-229.
    · Mattews, M.R.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 Philosophy of Science. New York & London: Routledge, pp.49-81.
    · -----------. (1991). History, Philosophy and Science Teaching. New Yok: Teachers Colledge Press.
    · -----------. (1989). A Role for History and Philosophy in School Science Teaching. Interchange v20 n2, pp.3-15.
    · Sanchez, L. (1989). On the Implicit Use of History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The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in Science Teaching. Ed. by Don Emil Herget. Science Education & Department of Philosophy, Florida State University, Tallahasse, FL, pp.306-311.
    · Solomon, J.,et al. (1992). 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History: Action Research in the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v29 n4, pp.409-421.
    · Tamir, P. (1989). History and Philossophy of Science and Biological Education in Israel. Interchange v20 n2, pp.95-98.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