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국제관계사 뮌헨협정/로카르노조약 배경, 과정, 의의, 평가

"국제관계사 뮌헨협정/로카르노조약 배경, 과정, 의의, 평가"에 대한 내용입니다.
12 페이지
워드
최초등록일 2019.07.15 최종저작일 2018.11
12P 미리보기
국제관계사 뮌헨협정/로카르노조약 배경, 과정, 의의, 평가
  • 미리보기

    목차

    1. 뮌헨협정
    1) 배경
    2) 과정
    3) 의의, 평가

    2. 로카르노 체제(조약)
    1) 배경
    2) 내용, 과정
    3) 의의, 평가

    본문내용

    1. 뮌헨협정
    (1) 배경
    체코슬로바키아는 제1차 세계대전으로 오스트리아 제국이 붕괴되자 주로 체코인과 슬로바키아인으로 구성된 신생국가로 탄생하였다. 체코인과 슬로바키아인이 합쳐서 1,000만 명, 그리고 그 밖의 소수민족들은 거의 500만 명에 달하였다. 이 소수민족 중 가장 많은 민족이 독일인으로서 230만 명에 이르렀다. 이들은 주로 독일 • 체코, 오스트리아 • 체코의 국경지대인 주데텐란트(Sudetenland)에 살고 있었다. 당시 체코의 동맹관계를 보면 로카르노 조약, 프랑스 • 체코 조약, 소련 • 체코 조약, 그리고 루마니아 • 유고 • 체코 3국의 소 협상(petiteentente)이 주축을 이루었다. 로카르노 조약은 독일의 동부 국경에 대해서는 아무런 보장도 규정하고 있지 않다.프랑스,체코 조약에 의하면 도발하지 않았는데도 독일이 체코를 침공하는 경우에는 프랑스는 자동적으로 체코를 지원하게 되어 있다.그리고 소련,체코의 조약에 의한 소련의 지원은 위의 프랑스, 체코의 조약에 따른 프랑스의 의무이행이 선행조건으로 되어 있다.소 협상은 헝가리에 대한 동맹이지 독일에 대한 동맹은 아니었다.결국 유사시 체코를 지원할 수 있는 관건은 프랑스가 쥐고 있었다.

    참고자료

    · 함규진, 『조약의 세계사』, 미래의 창, 2014.12.22, 뮌헨 협정- 11개월 동안의 평화, 그리고 제2차 세계대전의 불씨
    · 김용구, 『세계외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5. 25, 체코슬로바키아 문제의 대두
    · 김용구, 『세계외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5. 25, 뮌헨 협정과 체코슬로바키아의 붕괴
    · 홍성곤. 『네빌 체임벌린과 반공산주의(반소련주의)』. 서양사연구. 2013. 49(0) : 281-312
    · A. L. Rowse, Appeasement A Study in Political Decline 1933-1939(New York, 1961), pp.118, 83.
    · B.. J. C. Mckercher, “The Foreign Office, 1930-39: Strategy, Permanent Interests and National Security,” Contemporary British History, 18:3(Autumn 2004), p.87.
    · 배진영, 월간조선 뉴스룸, “평화만을 추구하다 전쟁 불러들인 네빌 체임벌린 2018. 06”
    ·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E&nNewsNumb=201806100042, 2018.12.14
    · Ishaan Tharoor, The Washington post, “In defense of Neville Chamberlain, hindsight’s most battered punching bag July 20, 2015”,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worldviews/wp/2015/07/20/in-defense-of-neville-chamberlain-hindsights-most-battered-punching-bag/?noredirect=on&utm_term=.e3a5f9cb2f56, 2018.12.14
    ·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뮌헨협정”,
    · http://premium.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08m1128a, 2018.12.16,
    · 한국 위키 백과사전, “뮌헨협정”,
    · https://ko.wikipedia.org/wiki/%EB%AE%8C%ED%97%A8_%ED%98%91%EC%A0%95, 2018.12.15
    · 채인택, 중앙시사매거진, “[사라예보 암살-뮌헨협정에서 배우는 대북협상] 순진한 평화주의 성급한 무력행사 모두 전쟁의 참화 초래 2018.04.16”, http://jmagazine.joins.com/economist/view/320737, 2018.12.15
    · 채인택, 중앙일보, “[채인택의 글로벌 줌업] 히틀러에 평화 구걸 체임벌린 … 2차대전 부른 ‘뮌헨의 교훈’2017.09.15”, https://news.joins.com/article/21938453, 2018.12.16
    · 김용구, 『세계외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5. 25, 안정과 혼란의 공존
    · James Taylor, Imperial War Museum, “How Britain hoped to avoid war with Germany in the 1930s, 2018.1.8”, https://www.iwm.org.uk/history/how-britain-hoped-to-avoid-war-with-germany-in-the-1930s, 2018.12.16
    · Daryl Worthington, NewHistorian, “The Munich Pact, 2014.9.30”,
    · https://www.newhistorian.com/munich-pact/1340/, 2018.12.16
    · Richard Cavendish, History Today, “The Munich Conference, 2008.11.11”,
    · https://www.historytoday.com/richard-cavendish/munich-conference, 2018.12.16
    · Erol Araf, The Canadian Jewish News, “The Nobel Peace Prize for Hitler prize for Hitler and Chamberlain. 2015.9.8”, https://www.cjnews.com/news/international/nobel-peace-prize-hitler-chamberlain, 2018.12.16
    · 한영준, 파이낸셜 뉴스, “뮌헨의 회담, 하노이의 대화, 그리고 ‘평양의 선언’ 2018.09.29”, http://www.fnnews.com/news/*************07894, 2018.12.16
    · 김인영, 오피니언 뉴스, “[9/29 오늘]히틀러의 위장평화에 속은 뮌헨협정 2018.09.28”, http://www.opinio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511, 2018.12.16
    · 안영국, 전자신문 Etnews, “홍준표, ‘남북정상회담 이전 회담보다 후퇴’…처칠처럼 뮌헨협정 미몽 알리겠다. 2018.04.30”, http://www.etnews.com/*************0, 2018.12.16
    · Gasiorowski, Zygmunt, “Stresemann and Poland after Locarno,” Journal of Central European Affairs, 1958.
    · Gatzke, Hans W., “Gustav Stresemann: A Biographical Article,” Journal of Modern History, 1964.
    · Grün, George A., “Locarno: Idea and Reality,” International Affairs, 1955
    · Jacobson, Jon, Locarno Diplomacy, Germany and the West, 1925~1929, Princeton, 1972.
    · Rösler, Helmut & Erwin Hözle, eds., Locarno und die Weltpolitik, Göttingen, 1969.
    · Stambrook, F, G., “’Das kind’—Lord d’Abernon and the Origins of the Locarno Pact,” Central European History, 1968.
    · Craig, Gordon, & Felix Gilbert, eds, The Diplomats, 1919~1939, Princeton, 1953
    · 윈스턴 처칠, 『제2차 세계대전』, 까치 출판사, 2016, 차병직 옮김
    · 김명구, 『안재홍의 1920년대 구미(歐美) 정세 인식』, 대구사학회, 2018.05, p.9-10
    · 안재홍, 1925년의 세계형세대관(2), 조선일보(1925.12.23)
    · 안재홍, 1925년의 세계형세대관(4), 조선일보(1925.12.27)
    · 안재홍, 1925년의 세계형세대관(2), 조선일보(1925.12.23)
    · 안재홍, 반동선상의 세계와 그 추세, <개벽> 55, 1925.1. p.33
    · 안재홍, 1925년의 세계형세대관 (3), 조선일보(1925.12.24)
    · 안재홍, 정간중의 세계사정-가조인된 보장조약 (1), 조선일보(1925.10.20)
    · 안재홍, 1929년 국제정세대관 (1), 조선일보(1930.1.1)
    · 네이버 지식백과, 로카르노조약[Locarno Treaties, Traités de Locarno, Verträge von Locarno] (21세기 정치학대사전, 한국사전연구사),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726987&cid=42140&categoryId=42140, 2018.12.16
    · Richard J Evans, Richard J Evans, “Chamberlain and Appeasement: the Differing Views of Historians”, http://www.richardjevans.com/lectures/chamberlain-appeasement-differing-views-historians/, 2018.12.16
    · 한국 위키 백과 사전, “로카르노 조약”,
    · https://ko.wikipedia.org/wiki/%EB%A1%9C%EC%B9%B4%EB%A5%B4%EB%85%B8_%EC%A1%B0%EC%95%BD, 2018.12.16
    ·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로카르노 조약”,
    · http://premium.britannica.co.kr/bol/topic.asp?article_id=b06r1694a, 2018.12.16
    · 곽인찬, 파이낸셜 뉴스, “평화는 거저 오지 않는다 2018.05.07”, http://www.fnnews.com/news/20*************784, 2018.12.16
    · 홍영식, 한국경제, “[홍영식의 논점과 관점]되새겨야 할 ‘이승만의 투쟁’2018.05.15”, http://news.hankyung.com/article/*************, 2018.12.16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제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과제 제출일이 얼마 남지 않아 시간이 부족했는데, 이 자료 덕분에 과제를 제출 할 수 있었습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