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오바마 행정부 시기의 인종 갈등에 관한 연구 - 이민법 개정을 중심으로

"오바마 행정부 시기의 인종 갈등에 관한 연구 - 이민법 개정을 중심으로"에 대한 내용입니다.
18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8.04.18 최종저작일 2018.04
18P 미리보기
오바마 행정부 시기의 인종 갈등에 관한 연구 - 이민법 개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목차

    Ⅰ.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이론적 배경

    Ⅱ. 백인 기득권 사회의 역사적 변화
    1. 백인 기득권 사회의 형성
    2. 백인 기득권 사회의 현재
    1) 백인 기득권 사회의 미국적 가치
    2) 상징적 인종 차별 주의

    Ⅲ. 오바마 행정부의 이민법 개정을 둘러싼 갈등
    1. 이민법 개정의 배경
    2. 백인들의 위기의식

    Ⅳ.결론 및 함의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유럽 이민자의 개척 정신으로 시작된 미국은 이민의 나라, 기회의 땅, 자유의 나라로 알려진 다인종 국가다. 미국이 오 늘 날의 위치를 점하게 된 것은 전 세계로부터 유입된 이민자들을 포용했기 때문이라는 데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Ted Halstead and Michael Lind, 2002, p. 211). 이에 따라 나타나는 인종갈등은 필연적인 것이었으며 미국 역사의 시작에서부터 현재까지 미국사회의 큰 이슈로 자리 잡게 되었다. 2008년 미국 역사상 최초의 유색인종 대통령이 당선되었다. 그에 따라 전 세계인들은 오랫동안 미국 내의 골칫거리였던 인종 문제가 어느 정도 완화될 것이라고 기대했지만, 2014년 발생한 퍼거슨 사태를 대표로 많은 인종갈등 문제가 불거져 나오고 있다. 퍼거슨부터 볼티모어까지 미국은 인종갈등으로 인한 몸살을 앓고 있다. 시민들은 여기저기서 시위를 펼치고 있으며 타 인종간의 불신이 사회 전반으로 퍼지고 있다. 심지어 경찰과 시민은 서로 총을 쏘아대기까지 했다. 러시아, 북한, 중국 등에게 인권문제로 공격하던 미국은 오히려 내부의 치부를 드러냄으로써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위상을 잃어가고 있다. 미국이 국제사회에서의 헤게모니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내부의 인종갈등 문제를 해결해야만 한다.
    오바마 취임 이후 흑백갈등 심화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53%가 오바마 대통령의 취임 이후 미국 내 인종갈등이 나빠졌다고 답변했다. 36%는 인종 갈등이 오바마 대통령 집권 이전과 다름없다고 응답했으며, 상황이 나아졌다는 반응은 9%에 그쳤다. 갈등이 악화했다는 응답자는 인종별로 흑인은 45%이지만 백인은 56%에 달했다(bloomberg Politics, 2014). 백인들이 체감하는 인종갈등 현상이 더욱 증가한 것은 주목해야할 점이며 2014년 11월에 치러진 중간 선거는 상하원을 모두 장악한 공화당의 압승으로 끝났다. 이는 오바마에 대한 백인 기득권 사회의 지지율이 하락했다는 반증이며 오바마가 시행한 정책에 대한 반발로 해석할 수 있다.

    참고자료

    · 류재성 (2015),「오바마 행정부 시기 인종 간 불평등 및 인종주의 담론」,『다문화사회연구』, 8(1), 145-170
    · 임형백 (2012),「미국의 이민정책 연구 : 시기 구분과 특징」,『한국정책연구』, 12(2), 273-290
    · 강희원 (2010),「미국의 소수인종 통합정책 탐색: 교육, 복지, 언어정책을 중심으로」,『한국정책연구』, 10(1), 51-71
    · 유은경 (2009),「미국의 이민정책과 다문화주의: 히스패닉 동화 논쟁을 중심으로」
    · 이주영 (2003),『미국의 좌파와 우파, 살림지식총서』
    · 웨이네 E. 베이커 (2005),「미국적 가치의 위기: 현실과 지각」, 『프린스턴대학 출판사』
    · 은소라 (2013),「미국정치에서 히스패닉 계의 영향력 증대: 2008년과 2012년 대선을 중심으로」
    · 이형대 (2000),「미국의 지적 전통과 위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북미연구소』, 6(3), 53-79
    · Schuman, Howard, Charlotte Steeh, Laurence Bobo, and Maria Krysan. (1997),「Racial attitudes in America: Trends and interpretations」,『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 Kinder, D.R., & Sears, D. O. (1981),「Prejudice and politics: Symbolic racism versus racial threats to the good life」,『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hy』, 40(3), 414
    · Sears, D. O., & Henry, P. J. (2003),「The origins of symbolic racism」,『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2), 259
    · Tarman, C., & Sears, D. O. (2005),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symbolic racism」,『Journal of Politics』, 67(3), 731-761
    · Gilens, M. (2009), 「Why Americans hate welfare: Race, media, and the politics of antipoverty polic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Green, E. G., Staerkle, C., & Sears, D. O. (2006), 「Symbolic racism and Whites’ attitudes towards punitive and preventive crime policies」,『Law and Human Behavior』, 30(4), 435
    · Sidanius, J., Pratto, F., & Bobo, L. (1996), 「Racism, conservatism, affirmative action, and intellectual sophistication: A matter of principled conservatism or group dominance?」,『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3), 476
    · Pasek, J., Stark, T. H., Krosnick, J. A., Tomson, T., & Payne, B. K. (2014), 「Attitudes Toward Blacks in the Obama Era Changing Distributions and Impacts on Job Approval and Electoral Choice, 2008-2012」,『Public Opinion Quarterly』, 78(S1), 276-302
    · Banks, A. J., & Valentino, N. A. (2012), 「Emotional substrates of white racial attitudes」,『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56(2), 286-297
    · Tesler, M. (2012), 「The spillover of racialization into health care: How President Obama polarized public opinion by racial attitudes and race」,『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56(3), 690-704
    · Pew Hispanic Center, (2013), 「A Nation of Immigrants」, 『Pew Hispanic Center』, Washington, D.C., 29 January 2013, p. 3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