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방부전사편찬위,『대몽항쟁사』, 국방부전사편찬위, 1988
· 김상기,『고려시대사』, 동국문화사, 1961
· 박선식,『산전수전 고려사』, 푸른나무, 2000
· 박용운,『고려시대사』(개정증보판), 일지사, 2008
· 박종기,『5백년 고려사』, 푸른역사, 1999
· 신안식 외 19인,『논쟁으로 읽는 한국사 1. 전근대』, 역사비평 편집위원회, 2009
· 윤용혁 외 7인,『한국사 20 -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국사편찬위원회, 1994
· 한국역사연구회,『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2』, 청년사, 1997한국역사연구회,『한국역사입문 2』, 풀빛, 1995.
· 강진철,「몽고의 침입에 대한 항쟁」,『한국사 7』, 1973
· 김상기,「삼별초와 그의 난에 대하여」,『진단학보 9⦁10⦁13』, 1938~1941
· 김윤곤,「삼별초의 대몽항전과 지방 군현민」,『동양문화 20⦁21』, 1981
· 김일우⦁이정란,「삼별초 대몽항쟁의 주도층과 그 의미」,『제주도사연구 11』, 2002
· 나종우,「고려 무인정권의 몰락과 삼별초의 천도항몽」,『원광사학 4』, 1986
· 민병하,「최씨정권의 지배기강」,『한국사 7』, 국사편찬위원회, 1973
· 신안식,「고려 원종 11년(1270) 삼별초항쟁의 배경」, 『명지사론 13』, 2002
· 신안식,「고려 원종대 민의 동향에 대한 일고찰」,『경대사학』, 1993
· 안병우,「무인란, 한국사의 분수령인가」,『역사비평 24』, 1994
· 오영선,「무신정권과 사병」,『역사비평 29』, 1995
· 윤용혁,「1270년 삼별초의 봉기와 남천에 관하여」,『한국사연구 84』, 1994
· 윤용혁,「삼별초 대몽항전을 보는 여러 시각」,『고려 삼별초의 대몽항쟁』, 일지사, 2000
· 윤용혁,「삼별초 진도정권의 성립과 그 전개」,『한국사연구 84』, 1994
· 윤용혁,「삼별초 항몽정권의 진도항전」,『박경국교수정년기념사학논총』, 1994
· 윤용혁,「최씨무인정권의 대몽항전자세」,『사총 21⦁22』, 1977
· 이이화,「몽골의 침략과 30년 항쟁」,『한국사 이야기 7』, 한길사, 1999
· 이익주,「삼별초는 무엇을 위해 싸웠나」,『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2』, 청년 사, 1997
· 池內宏,「고려의 삼별초에 대하여」,『사학잡지』37-9, 1926
· KBS 역사스페셜 39 - 삼별초, 진도에 또다른 고려가 있었다,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