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을 난타하라,공연 난타 해외진출 성공요인,난타 세계시장 현황

"필리핀을 난타하라,공연 난타 해외진출 성공요인,난타 세계시장 현황"에 대한 내용입니다.
29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4.06.02 최종저작일 2014.06
29P 미리보기
필리핀을 난타하라,공연 난타 해외진출 성공요인,난타 세계시장 현황
  • 미리보기

    목차

    Ⅰ. 난타란?
    Ⅱ. 난타 연혁
    Ⅲ. 공연 · 난타 세계시장 현황
    Ⅳ. SWOT 분석
    Ⅴ. 난타 해외진출 성공요인 분석
    Ⅵ. 진출 가정 : <1> 인도
    Ⅶ. 진출 가정 : <2> 필리핀

    본문내용

    1) 공연 세계시장 현황

    공연 상품은 영화, 음반 등 다른 엔터테인먼트 상품에 비해 제품 수명이 길고(10년이상), 일반적으로 해외 공연 시장의 경우 국내 시장과는 달리 영화시장의 1.5~2배 이상의 시장 규모를 가진 매력적인 산업이다.

    -공연 상품의 특성

    ①영화 대비 1.5~2배의 시장 규모
    ②소득 수준 향상과 함께 구매력 증가
    ③장기적 상품 수명(5~10년)
    ④대중의 요구에 맞게 계속적 보완 가능
    ⑤안정적, 지속적 수익 창출

    <중 략>

    (표1)을 보면 한국의 공연 수는 아직 다른 나라에 비해 적은 편이지만 꾸준히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경쟁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표2)를 보면 매우 다양한 장르의 공연이 성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장르로서 ‘난타’가 진입할 수 있는 시장이라고 분석할 수 있다. 2) 한류로 인한 ‘난타’에 대한 자연스러운 이목 집중 가능성
    앞서 보았던 것처럼 필리핀 사람들은 한국 사람을 싫어한다는 특징이 있었다. 하지만 연예인 얘기라면 조금 다르다. 필리핀은 한류 열풍이 부는 동남아시아의 중심이다. 드라마를 시작으로 최근에는 아이돌 가수를 중심으로 한 친(親)한류 열풍이 불고 있는 나라이다. 최근 2011년 가수 2NE1의 콘서트는 8천여 개의 좌석이 모두 매진되었으며 가수 슈퍼주니어의 콘서트 총 매출은 95만 달러에 육박했다. 필리핀 야후에서는 한국 음악만을 다루는 블로그를 개설했고 한 방송사에서도 한국 음악 관련 방송을 정규편성 해 방송하고 있다. 필리핀에서 이런 한류열풍은 자연스럽게 한국의 문화에 대한 호기심을 가진다. 따라서 ‘난타’의 한국적인 요소가 가미된 공연은 이들이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요소를 포함한다고 분석할 수 있다.

    참고자료

    · 『세계를 난타한 남자 문화CEO 송승환』 ( 북키앙 2003 )
    · 『디지털 시대의 글로벌 경영사례』 ( 서울경제경영 2005 )
    · 『공연산업 해외진출 전략_아시아』 ( 예술경영지원센터 2011 )
    · 『Trade and Investment Guide to India』 ( 주인도대사관 2006 )
    · 『필리핀 바로 알기』 ( 좋은땅 2012 )
    · 『역사와 문화를 알면 필리핀이 보인다』 ( 해피&북스 2008 )
    · http://nanta.i-pmc.co.kr/nanta/Main.aspx
    · 김윤희, 박치완, 「인도의 문화코드와 글로컬문화콘텐츠」, 국제지역연구 제 14권 제4호 , 2011
    · 이옥순 , 「인도 결혼식과 반짝이는 금」, <CHINDIA Journal> 14권 , 2007
    · KOTRA 문화서비스 사업팀, 「2012 서비스업 해외진출 가이드(엔터테인먼트)」, KOTRA, 2006
    · 박희, 「필리핀의 대중매체와 문화적 변형에 대한 연구 : 지식인들에 대한 의식조사를 중심으로 」, 아시아 연구, 2004
    · “한국의 '난타' vs 서양 '스톰프' ” 네이버뉴스, 2000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5&aid=0000031227
    · “음악, 또 음악 런던올림픽 폐막식은 브리티시 록 페스티벌” 마이데일리, 2012
    · http://www.mydaily.co.kr/new_yk/html/read.php?newsid=201208130825358271
    · “세계 정상 퍼포먼스 ‘탭덕스’ 와 ‘스텀프’ 한국무대” 한겨례, 2005
    · http://www.hani.co.kr/kisa/section-005005000/2005/12/005005000200512141842613.html
    · “1년에 250억 식지 않는 한류 난타” 이데일리, 2013
    ·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I51&newsid=01826966602676408&DCD=A405&OutLnkChk=Y
    · “난타 작년 한해 100만, 통산 810만 관객 돌파 대기록” 뉴데일리, 2013
    ·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137697
    · “난타 어느덧 15년… 기념 전시회 연다” , 독서신문, 2012
    · http://www2.readersnews.com/sub_read.html?uid=37408&section=sc1
    · “세계 열광시킨 ‘난타’…관광韓流를 공연韓流로 바꾼 문화전사” 헤럴드경제, 2012
    ·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20713000233&md=20120715003102_AP
    · “문화예술의 코리아스탠더드 '난타', 다시 주목해야하는 이유” 아시아경제, 2013
    ·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3011014125487925&nvr=Y
    · “태국서 만나는 원조 한류, 방콕 난타 전용관 오픈” 데일리안, 2013
    ·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320886&sc=naver
    · “영화 천만관객 버금가는 '난타', 85% 이상이 외국인 관광객” 노컷뉴스, 2013
    ·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2370552
    · “NANTA, 브로드웨이 난타하다…뉴욕 첫공연 기립박수 열광” 동아일보, 2003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20&aid=0000207137
    · “브로드웨이 `난타`에 매료돼다” 디지털타임스, 2003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9&aid=0000042852
    · “난타, 브로드웨이 장기공연” 디지털타임스, 2003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7&oid=078&aid=0000012476
    · “오프 브로드웨이 전용관 '난타' 화려한 개막” 연합뉴스, 2004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0585101
    · “(인터뷰) 브로드웨이 '난타'한 문화 CEO, 송승환 PMC 대표” 대한민국정책포털, 2005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7&oid=078&aid=0000012476
    · http://ent.sina.com.cn/h/2004-04-13/1734363740.html
    · http://tv.people.com.cn/GB/166419/15808514.html
    · http://baike.baidu.com/view/6121096.htm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