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BRONZE
BRONZE 등급의 판매자 자료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어려움과 이들을 위한 서비스 현황 조사 및 대책 연구 리포트A+

본 리포트를 활용한다면 꼭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1. 본 리포트는 가족복지학 수업에서 A+를 받은 우수 리포트 입니다. 2. 본 리포트를 활용하여 좋은 결과가 있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21 페이지
한컴오피스
최초등록일 2014.02.01 최종저작일 2014.02
21P 미리보기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어려움과 이들을 위한 서비스 현황 조사 및 대책 연구 리포트A+
  • 미리보기

    소개

    본 리포트를 활용한다면 꼭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1. 본 리포트는 가족복지학 수업에서 A+를 받은 우수 리포트 입니다.
    2. 본 리포트를 활용하여 좋은 결과가 있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목차

    1. 알코올 중독자 가족에 대한 이해

    2.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어려움
    1) 알코올 중독자 부인
    2) 알코올 중독자 자녀
    3) 알코올 중독자 성인자녀

    3. 알코올 중독자 가족에 대한 서비스 현황과 대책
    1) 알코올 중독자 가족을 위한 프로그램
    2) 가족친목
    3) 가족치료
    4) 단독가족치료
    5) 부부치료
    6) 알코올 중독자 자녀에 대한 개입

    본문내용

    1. 알코올 중독자 가족에 대한 이해 알코올 중독자 가족이란 가족 중 한 사람이 알코올 중독자인 경우를 말한다. 대개 아버지나 어머니 중 한 사람이 알코올 중독자인데, 대부분의 문헌이 남편이나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자인 경우만을 다루는 경향이 있다. 여성이 알코올 중독자인 경우에는 남편들은 대개 포기하여 한부모가족이 되거나 아예 여성 알코올 중독자와 소식을 끊기도 한다. 그에 비해 남편이 알코올 중독자인 경우 부인은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남편의 알코올 중독 문제를 고쳐 보려고 온갖 노력을 다한다. 여성은 성장과정에서 남을 배려하는 쪽으로 사회화되어서 남편이 알코올 중독자이더라도 가능하면 가정을 지키려는 경향을 보인다. 똑같은 알코올 중독문제를 가지고 있더라도 당사자가 부인인가 혹은 남편인가에 따라 가정의 유지가능성이 달라지며, 가족 간의 역동성, 상호작용 또한 매우 다르게 전개된다. 더구나 여성이 알코올 중독자인 가정은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아 그 실태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남편이나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자인 가족에 국한시켜 다루고자 한다.

    2. 알코올 중독자 가족의 어려움1) 알코올 중독자 부인 모든 ‘알코올 중독자와의 결혼생활’에 대해 일반화 시키는 것은 무리가 있지만 알코올 중독자의 부인은 알코올 중독자인 남편을 통제하려고 한다. 알코올 중독자 부인은 현실에 직면하여 남편에게 정서적으로 철회하고, 술을 마시지 못하도록 술병을 숨기는 등의 행동을 하게 된다. 남편의 술 문제를 다른 사람에게 숨기기 위해서 사회적으로 고립되기도 하고,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가장의 책임을 맡기도 한다. 남편을 술 문제로 인해 부모로서, 남편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한다. 남편은 특히 술에 만취되었을 때에는 신체적, 정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는데, 때로는 자신의 역할을 회피하기 위해서 술을 마시기도 한다. 그에 대한 반응으로 부인은 술을 마시지 말라고 위협하고나, 때로는 술을 마시도록 부추기기도 한다. 남편의 술 문제를 숨기려고 애를 쓰고, 또 함께 술을 마시다 결국 부인도 알코올 중독자가 되는 경우도 있다.

    참고자료

    · 김혜련(1995). 알코올 중독자 재발예방을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에 관한 연구: 사회기술훈련의 효과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혜련, 최윤정(2004). 알코올 중독자 가족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사회복지연구, 23, 43-75.
    · 양옥경, 김연수(2004).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 개발 연구. 가족복지학, 14, 225-261.
    · 장수미(2001). 알코올중독자 가족의 적응유연성 증진을 위한 개입모형 개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1, 53-77.
    · Ablon, J. (1974). Al-Anon family groups: impetus for learning and changd through the presentation of alternative.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28, 30-45.
    · Ballard, M., & Cummings. E. M. (1990). Response to adults’ angry behavior in children of alcoholic and nonalcoholic parents.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51(2), 195-209.
    · Booze-Allen, & Hamilton, Inc. (1974). An assessmnet of the needs of and resources for children of alcoholic parents. Papered for National Institute on Alcohol Abuse and Alcoholism.
    · Burk, J. P., & Sher, K. M. (1990). Labeling the children of an alcoholic: Negative stereotyping by mental health professional and peer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51(2), 151-163.
    · Capdevila, C. (1990). Codependency: A critique. Journal of Psychoactive Drugs, 22, 285-292.
    · Cermak, T. (1990). Evaluating and treating adults. Mineapolis, MN: Johnson Institute Books.
    · Chafetz, M., Blane, H., & Hill, M. (1997). Children of alcoholics: observations in a child guidance clinic. Quarterly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32, 687-698.
    · Clair, D., & Genest, M. (1987).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adjustment of off-spring of alcoholic father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48(4), 345-355.
    · Coles, C. D., & Platzman, K. A. (1992). Fetal alcohol effects in preschool children: Research, Prevention, and Interrention. In office of Substance Abuse Prevention(Ed.), Identifying the needs of drug-affected children: Public Policy issues(OASP Prevention Monograph No. 11, DHHS publication NO. ADM 92-1814, 59-86). Washington, DC: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es.
    · Collins, R. L. (1990). Family treatment of alcohol abuse: Behavioral and systems perespective. In R. L. Collins, K. E. Leonard & J. S. Searles (Eds.), Alcohol and the family(pp. 296-297). New York: The Guilford press.
    · Corder, B. F., Hendricks, A., & Corder, R. F. (1964). An MMPI study of a group of wives of alcoholics. Quarterly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25, 551-554.
    · Cork, M. (1969). The Forgotten children. Toronto: Alcoholism and Drug Addiction Research Foundation.
    · Curran, P. J., & Chassin, L. (1995). A Longitudinal study of parenting as a protective factor for children of alcoholic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57, 305-313.
    · Dumont, M., & Provost, M. A. (1999). Resilience in adolescents: protective role of social support, coping strategies, self-esteem, and social activities on experience of str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8(3), 343-363.
    · El-Guebaly, N., & Offord, D. R. (1997). The offspring of alcoholics: A critical review.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4(4), 357-365.
    · Fraser, M. W., Richman, J. M., & Galinsky, M. J. (1999). Risk, protection, and resilence: Toward a conceptual framework for social work practice. Social Work Research, 23(3), 131-143.
    · Goldenberg, I., & Goldenberg, H. (1980). Family therapy: An overview. Monterey, CA: Brooks/Cole.
    · Goodwin, D. W., Schulsinger, F., Hermansen, L., Guze, S. B. & Winokur, G. (1973). Alcohol problems in adoptee raised apaprt from biological parent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28, 238-243.
    · Gorman, J. M., & Rooney, J. F. (1979). The influence of Al-Anon on the coping behavior of wives of alcohoic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40, 1030-1038.
    · Harper, J., & Capdevila, C. (1990). Codependency: a critique. Journal of Psychoactive Drugs, 22(3), 285-92.
    · Harter, M. W. (1990). Resilient children of alcoholics. Doctoral dissertation, Georgia State University-College of Arts and Sciences.
    · Hecht, M. (1973). Children of alcoholics.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 1764-1767.
    · Henderson, D. C. (1983). Family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lcoholism. Social Work in Health Care, 8(4), 79-94.
    · Herman-Stahl, M., & Petersen, A. C. (1996). The protective role of coping and social resources for depressive symptoms among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dolescence, 25, 773-753.
    · Herman-Stahl, M., & Petersen, A. C. (1996). The protective role of coping and social resources for depressive symptoms among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Youth Adolescence, 25, 773-753.
    · Hill, R. (1949). Families under stress: Adjustment to the crisis of war separation and reunion. New York: Harper & Brothers.
    · Hinderman, M. (1975). Children of alcoholic parents. Alcohol Health and Research World, 76, 2-6.
    · Holaday, M., & Terrell, D. (1994). Resiliency characteristics and rorschach variabl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evere burns. Journal of Burn Care & Research, 15(5), 455-460.
    · Howe, B. (1989). Alcohol educatiom: A handbook for health and welfare professions. London: Tavistock/ Routledge.
    · Howe, D. (1995). Attachment theory for social work practice. Basingstoke: macmillan Press.
    · Jackson, J. K. (1954). The adjustment of the family to the crisis of alcohoilsm. Quarterly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15, 562-586.
    · Kasl, C. D. (1989). Women, sex and addiction. New York: Mandarin.
    · Kaufman, E. (1992). The application of the basic principles of family therapy to the treatment of drug and alcohol abusers. In E. Kaufman & E. Kaufman (Eds.), Family therapy of drug and alcohol abuse (2nd ed., pp. 287-314). Boston: Allyn & Bacon.
    · Lawson, G., Peterson, J. S., & Lawson, A. L. (1983). Alcoholism and The Family: A guide to treatment and prevention. Rockville, MD: Aspen Systems Corporation.
    · Levin, J. D. (1990). Alcoholism: A biopsychosocial approach. New York: Hemisphere Publishing Corporation.
    · McCrady, B. S. (1992). Behavioral treatment of the alcoholic marriage. In E. Kaufman & P. Kaufman (Eds.), Family therapy of drug and alcohol abuse(pp. 19-210). Boston: Allyn & Bacon.
    · McDonald, D. (1956). Mental disorders in wives of alcoholics. Quarterly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17(2), 282-287.
    · Nastasi, B. K., & Dezolt, D. (1994). School interventions for children of alcoholics. New York: Guilford Press.
    · Neff, J. A. (1994). Adult children of alcoholic or mentally Ill parents: Alcohol consump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a tri-ethinc community sample. Addicitive Behaviors, 19, 185-197.
    · Orford, J., Oppenheimer, E., Egert, S., Hensman, C., Hensman, C., & Guthrie, S. (1976). The cohesiveness of alcoholism, complicated marriages and tis influence of treatment outcom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28, 318-339.
    · Palmer, N. (1997). Resilience in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A Nonpathological Approach to Social Work Practice. Health & Social Work, 22(3), 201-209.
    · Palmer, N. (1991). Exploring resiliency in adult children of alcoholic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Kansas.
    · Pandina, R. J., & Johnson, V., (1990). Serious alcohol and drug problems among adolescents with a FH(+) alcoholism.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51, 278-282.
    · Paolina, T. J., McCrady, B., Diamond, S., & Longabough, R. (1976). Psychological disturbances in the spouses of alcoholic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37(11), 1600-1608.
    · Pattison, E., & Kaufman, E. (1979). Family therapy in the treatment of alcoholism. In M. R. Lansky (Ed.), Family therapy and major psychotherapy. New York: Grune & Strraon.
    · Robinson, B. E., & Rhoden, J. L. (1998). Working with children of alcoholics: The practitioner’s handbook (2nd ed.).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
    · Roosa, M. W., Bearks, J., Sandler, I. N., & Pillow, D. R. (1990). The role of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 predicting symptomatology in adolescent self-identified children of alcoholic parents. Americen Journel of Community Psycholopy, 18(5), 725-741
    · Salinas, R. C., O’ Farrell, T. J., Jones, W. C., & Cutter, H. G. (1991). Services for families of alcoholics: A national survey of veterans Affairs treatment program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52(6), 541-546.
    · Schaffer, J. B., & Tyler, J. D. (1979). Degree of Soberity in male aloholics and coping styles used by their wives. british Journel of psychistry, 135, 431-437.
    · Smith, C., & Carlson, B. E. (1997). Stress, coping, and resilience in children and youth. Social Service Review, 71(2), 231-256.
    · Solboda, S. (1974). The children of alcoholics: A neglected problem. Hospital and Community Psychiatry, 25(9), 605-606.
    · Stuart, R. (1980). Helping couples change: A social learning approach to marital therapy. New York: Guilford press.
    · Thomas, E. J., Santa, C., Bronson, D., & Oyserman, D. (1987). Unilateral family therapy with spouses of alcoholics, Journal of Social Service Research, 10, 145-163.
    · Velleman, R. (1992). International effect-A review of environmentally oriented studies conco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lcohol problems and family disharmony in the geresis of alcohol and other problems Ⅱ: The intergenerational effects of family disharmony.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Addiction, 27(4), 367-389.
    · Webb, W. (1993). Cognitive behavior therapy with children of alcoholics, 40, 170-177.
    · Wegscheider, S. (1981). Another chance: Hope and health for alcoholic family. Palo Alto, CA: Science and Behavior Books.
    · Whalen, T. (1953). Wives of alcoholics. Quarterly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14(4), 632-641.
    · Wolin, S., & Wolin, S. (1995). Resilience among youth growing up in substance-abusing families.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42(2), 415-429.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7 오전